[include(틀:오도 유아무 덱 관련 문서)]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주인공들의 에이스 몬스터)] ||<#0D98BA><-3><:>'''{{{#!html블루 투스 버스트드래곤}}}'''|| ||<:><#eef2fb><|7>{{{#!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블루투스 버스트 드래곤.png|width=100%]]}}}|| || '''등장 시리즈''' || [[유희왕 고 러시!!]] || || '''사용 캐릭터''' || [[오도 유아무]] || || '''첫 수록''' || [[파멸의 레퀴엠!!]] || || '''서포트''' || [[드래곤족(유희왕 러시 듀얼)|드래곤족]] || || '''소속 테마군''' || [[하이테크드래곤]] || || '''재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 ||<#0D98BA><-3> {{{#!html초광속 액세스로 승리의 페어링! 전자의 바다에서 나타나 강림! 이리 와!}}} '''{{{#!html블루 투스 버스트드래곤!}}}'''[br]{{{#!html超光速アクセスで勝利のペアリング!電子の海より現れ降臨!おいでヨ!}}}'''{{{#!html碧牙の爆速竜!}}}''' || [목차] == 설명 == || [[파일:碧牙の爆速竜.jpg|width=100%]] || [[파일:碧牙の爆速竜(711B).jpg|width=100%]] || || 일반판 || [[세븐일레븐]] 콜라보 캠페인 버전 || || [[파일:碧牙の爆速竜(CCC1).jpg|width=100%]] || || COCO'S 콜라보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블루 투스 버스트드래곤, 일어판명칭=碧牙の爆速竜(ブルー・トゥース・バーストドラゴン), 영어판명칭=Bluetooth Burst Drag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1500, 종족=드래곤족, 조건=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공격력 1500 이하)를 전부 파괴한다. 그 후\,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효과로 파괴한 몬스터의 수] × 300 올린다.,)] [[유희왕 러시 듀얼]]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벽아의 폭속룡'이라 쓰고 '[[블루투스|블루 투스]] 버스트드래곤'이라 읽는다. 효과는 덱 맨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상대 필드의 공격력 1500 이하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고 턴 종료시까지 파괴한 몬스터의 수만큼 공격력을 300 올리는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효과. 사실상 [[로얄데먼즈 인베이전]]의 상위 호환에 가까운 효과다. 1500 이하의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를 파괴하기에 레벨 4 이하의 웬만한 몬스터는 전부 파괴할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해 파괴한 수만큼 공격력이 300 오르기에 타점도 최대 3400까지 올릴 수 있어 훌륭한 어태커로도 활약할 수 있다. 다만 필드에 공격력이 1500을 초과하는 몬스터만 있는 경우에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메인 에이스로 쓰고 싶다면 [[라이트웨이브 드래곤]]같은 타점을 낮추는 카드와 연계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카드명은 애니메이션 방송용 자막에서는 [[나카구로]]의 위치가 다른 'ブルートゥース・バースト・ドラゴン'으로 표기되기도 했다. 실제 작중에 묘사된 카드에는 'ブルー・トゥース・バーストドラゴン'으로 올바르게 적혀 있으며, 공식 트위터에서도 후자의 표기를 사용한다. 속성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효과의 조건이 모두 전작 [[카미조 타츠히사]]의 에이스였던 [[연격룡 드라기아스]]와 같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XbqQgbUcAE8oQ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XbqRnbUEAAY_B2.jpg|width=100%]]}}} || ||<-2> [[https://twitter.com/YuGiOh_RUSHDUEL/status/1546690815841316864|설정화]] || 속성과 종족, 공격명, 푸른색이라는 키워드, 그리고 사용자의 직업까지 여러모로 [[푸른 눈의 백룡]]을 오마주한 카드이다. 한국어로는 와닿지 않지만 일본어 이름 기준으로 보면 더욱 와닿는데, 블루아이즈->블루 투스로 눈에서 이빨로 바뀌었다. 블루XX즈 XX트 드래곤이라는 이름을 계승한 것. 푸른 눈의 백룡을 오마주했지만, 테마가 다르다는 점에서 OCG의 [[푸른 얼음의 백야룡]][* 이쪽도 원판명은 블루아이'''스''' 화이트'''나이츠''' 드래곤으로, 원작명을 비틀어 만들었다. 국내판에서는 말장난은 살리지 못했다.]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 원작 ==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오도 유아무]]의 에이스 몬스터로 등장. 작중에서는 3화의 [[카부라기 츄파타로]]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공격력 2500의 [[마법양녀 메에~구양]]을 뚫기 위해 소환, 1300 남은 라이프를 300까지 깎아 마법 카드 [[드래고닉 가차지]]를 발동해 공격력을 2900까지 끌어올려 메에~구를 파괴하는데 성공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공격력이 400씩 올라간 [[α번 드레이크]]와 [[어플리저드]]의 다이렉트 어택으로 마무리. 8화 [[아타치 마냐]]와의 듀얼에서도 어김없이 소환되었으며 작중 처음으로 효과가 공개. 마냐의 하급 몬스터 둘을 쓸어버리고 필드마법으로 벌어진 크게 공격력 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효과로 타점을 올리며 [[치료의 신동 다이안 켓]]을 일방적으로 파괴해 유아무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22화의 [[키리시마 로비안]]과의 듀얼에선 유아무와 유히가 협력하여 공격력을 1500 까지 내린 [[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를 효과로 파괴했다. 42화에서 [[조인테크]]는 원래 [[오도 유아무]]의 덱이라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원래는 [[오도 유히]]의 에이스였을 수도 있다. 47화에선 유아무의 몸을 빼앗은 [[다마무]]가 사용했다. 유히의 묘지에서 [[타마봇]]을 빼앗은 후 [[타마봇 버스트드래곤]]으로 퓨전되었다. 51화에선 다마무가 [[그 녀석]]과의 듀얼에서 빌려썼다. 자세한 로그는 비공개지만 그 녀석 필드의 최상급 3장을 효과로 전부 파괴하고 직접 공격하거나 이후 [[조인테크 버스트드래곤]]으로 퓨전하는 등 큰 활약을 했다. 55화에서는 [[부스터 와이반]]과의 퓨전으로 마침내 메인 진화체인 [[블루 투스 인핸스드 버스트드래곤]]으로 진화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당시 필드 상황상 승리하기 위해선 인핸스드가 효과를 쓰자마자 자괴하여 이 카드를 다시 소생시킬 필요가 있었고, 결국 모처럼 진화했음에도 피니시는 이 카드가 냈다. 6쿨에서는 비중이 크게 줄어들었는데, 이는 해당 시즌의 핵심 키워드인 [[다크니스(유희왕 러시 듀얼)|다크니스]]와의 연결점을 이 카드가 아닌 레드부트가 가져가버렸기 때문이다. 79화가 되어서야 오랜만에 제대로 등장해 피니셔가 되었으나, 해당 화에서도 활약 자체는 레드부트가 더 많았다. 공격명은 '[[멸망의 버스트 스트림|멸망의 버스트 스트리밍(滅びのバーストストリーミング)]]'으로, 이 또한 푸른 눈의 백룡의 오마주이다. 효과명은 '멸망의 데이터 이레이징(滅びのデータ・イレーシング)'. 정크 데이터를 정리하는 모습을 표현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파멸의 레퀴엠!!|デッキ改造パック 破滅のレクイエム!!]] || RD/KP10-JP017 || [[울트라 레어]][br][[러시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블루 투스 인핸스드 버스트드래곤]] === === [[타마봇 버스트드래곤]] === === [[조인테크 버스트드래곤]] === === [[레드부트 부스트드래곤]] === === [[RB 드래폰]] === === [[푸른 눈의 백룡]] === [[분류:유희왕/러시 듀얼/드래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