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체스 세계 챔피언)] ||<-2> '''{{{+1 {{{#fff Vladimir Kramnik}}}}}}[br]{{{#fff Влади́мир Бори́сович Кра́мник}}}[br]{{{#fff 블라디미르 보리소비치 크람니크}}}''' || ||<-2>{{{#!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6px; margin-bottom:-6px" [[파일:4364464246.png |width=100%]]}}} || ||<|2> '''출생''' ||[[1975년]] [[6월 25일]]([age(1975-06-25)]세)||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투압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타이틀''' ||[[그랜드 마스터#s-2.1|GM]] (1992) || || '''[[체스 세계 챔피언|{{{#fff 세계 챔피언}}}]]''' ||2000-2006 (PCA)[br]2006-2007(통합) || || '''[[Elo 레이팅|{{{#fff Elo 레이팅}}}]]''' ||[[https://ratings.fide.com/profile/4101588|2817]] (최대 레이팅) || ||<-2> [[https://ratings.fide.com/profile/4101588|[[파일:Fide 아이콘.jp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블라디미르 크램닉은 [[러시아]]의 [[체스]] 선수이자 14대 [[체스 세계 챔피언|세계 챔피언]]이다. == 상세 == 2000년 [[가리 카스파로프]]를 꺾고 PCA 챔피언에 오른다. 2006년 FIDE 챔피언 토팔로프와의 통합 챔피언전에서 승리하며 1992년 이후 다시 유일한 챔피언이 되었다. 2007년 [[비스와나탄 아난드]]에게 타이틀을 빼앗긴다. 96년 [[딥 블루]]와 시합을 가졌던 전 챔피언 카스파로프와 마찬가지로, 크램닉도 2006년 딥 프릿츠와 경기를 가졌다. 96년과의 차이점은 컴퓨터 기술 발전으로 당시 딥 블루는 [[슈퍼 컴퓨터]]였지만 딥 프릿츠는 일반 컴퓨터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이었다는 것. 결과는 4무 2패로 패배. [include(틀:체스게임, info=Deep Fritz vs Kramnik, a8=, b8=, c8=, d8=, e8=, f8=Nw, g8=, h8=Kb, a7=Qb, b7=, c7=, d7=, e7=, f7=, g7=Pb, h7=, a6=, b6=, c6=, d6=, e6=, f6=, g6=, h6=Pb, a5=, b5=, c5=, d5=, e5=Pw, f5=, g5=, h5=, a4=Pb, b4=Pb, c4=, d4=, e4=Q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 b2=Pw, c2=, d2=, e2=, f2=, g2=Pw, h2=Pw, a1=, b1=, c1=Bb, d1=, e1=, f1=, g1=, h1=Kw, caption=흑차례)] 딥 프릿츠와의 2경기에서 딥 프릿츠(백)는 다음 수에 Qh7로 [[체크메이트]]를 노리고 있다. 하지만 크램닉(흑)은 '''1수 메이트''' 위험을 보지 못하고 다른 수를 두어 게임에서 패배했다.(34...Qe3?? 35.Qh7#) 세계 최고수가 스탠다드 경기에서 1수 메이트를 못 본건 유래가 없던 일이다. 이는 '''세기의 [[블런더]]'''로 불리며 체스 역사에서 최악의 수를 뽑을 때 항상 들어가곤 한다(...) 체스베이스 사이트는 게임 평가에서 이 수에 대해 ???를, GM 수잔 폴가는 ?????를 주었다. 2019년에 은퇴를 선언했고 경쟁 게임에는 출전하지 않고 있다. 2020년 [[구글 딥마인드]]와 협업해서 [[알파고#알파제로|알파제로]]와 무승부를 줄이고 더 참신한 오프닝 이론이 나올 수 있는 [[변형 체스]]를 연구했다.[[https://www.chess.com/ko/article/view/keuraemnig-kramnik-gwa-alpajero-alphazero-ceseureul-dareuge-boneun-bangbeob|#]] 크램닉은 '''[[캐슬링]]을 금지'''한다면 킹이 더 오래 위험한 위치에 있게 되므로 공격적이고 역동적인 게임을 유도한다고 평가했다. 그래서 2021년에 직접 아난드와 No-castling chess 이벤트 매치를 열어서 경기했다. == 기풍 == 약점이 없는 단단한 기풍으로 굉장히 꺾기 힘든 선수로 꼽혔다. 변칙적인 수를 두기보단 메인라인 연구를 극한까지 파고들어 [[체스 오프닝|오프닝]] 이론과 [[엔드게임]] 스킬에서 우위를 가지는 스타일이었다. 그래서인지 인공지능 일치도가 [[가리 카스파로프]]보다 높으며, 현 챔피언 [[망누스 칼센]]에 이은 '''역대 2위'''이다. "백으로 이기고 흑으로 비긴다."는 전략을 잘 썼다. 오늘날 흑의 드로우 웨폰으로 악명높은 [[루이 로페즈]]의 [[베를린 디펜스]]도 크램닉이 카스파로프와의 챔피언전에서 주무기로 사용한 이후 주목받기 시작했다. == 기타 == 체스를 둘 때 화장실을 많이 가기로 유명했다. 통합 챔피언전을 할 때, 그 전부터 서로 앙숙이었던 토팔로프가 크램닉이 화장실 가는 것에 치팅을 하기 위해 가는 것 아니냐는 신경전을 벌였고[* 사이가 매우 안 좋았던 둘은 체스 두는 도중에 자유롭게 먹으라고 준비해둔 간식 종류와 간식 먹는 시간까지 규제하는 등 사소한 것에서까지 신경전을 벌였다. 화장실같은 경우도 치팅 안 하는 거 다 알고 있지만 멘탈을 긁기 위해 태클을 걸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에 크램닉은 통합전을 거부하였고 한 게임을 부전패 당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카스파로프를 꺾고 챔피언에 올랐지만 정작 [[Elo 레이팅]]은 여전히 카스파로프가 1위였고, 카스파로프가 은퇴할 때까지 넘지 못했기 때문에 최강자 대우는 못받은 [[콩라인]]이다. 키가 195cm로 엄청난 장신이다. 또한 [[강직성 척추염]]을 앓고 있어 건강 문제가 은퇴 전까지 대회 참여에 많은 악영향을 줬다. [각주] [[분류:1975년 출생]][[분류:러시아의 체스 선수]][[분류:크라스노다르 지방 출신 인물]][[분류:체스 세계 챔피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