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998년에 발매된 [[스타크래프트]]의 확장팩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브루드 워]]의 [[게임 음악|주제곡]]이다. [[제이슨 헤이즈]]의 [[http://archive.is/v5LXF|발언]]에 따르면, 본인은 합창이 나오는 후반부를 작사 및 작곡하였고, [[글렌 스태퍼드]]는 여성 소프라노가 나오는 전반부 작사 및 작곡하였다고 한다. 후반부는 Dearest Helena의 작곡가 제이슨 헤이즈가 담당. [[A Call To Arms]]와 함께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의 개별 문서가 있는 음악이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의 인트로 영상에서 막 [[코프룰루 구역]]에 도착한 [[지구 집정 연합#s-2.2.1|UED 원정대]]의 총사령관 [[제라드 듀갈]] [[제독]]과 그의 참모이자 부사령관 [[알렉세이 스투코프]] 제독이 [[알렉산더(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알렉산더]]에서 [[스타크래프트/캠페인/에피소드 5|저그에 의해 함락되는 자치령의 거주지 행성의 지표면을 바라보며]] 듣던 바로 그 곡이다. 해당 곡이 나오는 [[https://youtu.be/icvheC_XuBM|인트로 영상]]의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부하 [[장교]]인 [[맘스틴]]이 통신으로 ''"제독님, 몇 분 내로 식민지인들의 기지가 제압당할 것입니다. 개입할까요?"''[*원문 "Admiral, the colonists' base will be overrun in a matter of minutes. Shell we intervene?"]라고 하자 듀갈 제독이 ''"궤도에 진입하게, 맘스틴. 충분히 봤으니."''[*원문2 "Take us into orbit, Mr. Malmsteen. We've seen enough."]라고 하는 부분. 그리고 스투코프 제독이 자신의 [[지포|지포 라이터]]를 닫으면서[* 이 장면에서만 라이터 닫는 소리가 울려퍼진다.] 기함 알렉산더가 기수를 돌려 떠나고, 절망적인 표정으로 그들을 바라보는 자치령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해병]]과 무심한 듯 [[락 음악]]을 듣고 있는 또 다른 해병,[* 저글링 2마리를 [[유탄]]으로 죽인 다음, 설명해준 뒤 바로 바이저를 닫는다. [[전투순양함]]이 왔지만 공중 지원을 해주지 않는 모습을 보고 이미 [[자포자기]]한 걸로 보인다.] 그리고 두 해병이 있는 참호로 몰려드는 대규모 저글링 무리를 비춰주며 끝나는 --본격 꿈도 희망도 없는-- 장면. 이 영상은 [[http://www.gamespot.com/forums/system-wars-314159282/top-25-cinematic-moments-in-video-games-gamespy-25579859/|게임스파이에서 가장 멋진 게임 시네마틱 영상 3위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참고로 에피소드 2의 시네마틱인 아메리고에서의 전투가 14위에 선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스타에 관심없는 30대 이상의 사람들의 귀에도 제법 익은 곡이기도 한데, 그 이유는 지상파에 방송된 [[KORNET]] 광고[* 당시 잘나갔던 [[프로게이머]]인 쌈장 [[이기석]]이 출연한 것으로 유명하다.] 배경음이었기 때문. [[https://www.youtube.com/watch?v=HNRbxeMwDHg|#]] ~~코넷 아이디 쌈장 쌈장...~~ == 듣기 == ||<#000000><:> '''{{{#white 곡명}}}''' ||Brood War Aria || ||<#000000><|2><:> '''{{{#white 수록 앨범}}}''' ||[[스타크래프트/사운드트랙|Starcraft Brood War]]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사운드트랙|Starcraft II Wings of Liberty]] || ||<#000000><|2><:> '''{{{#white 재생시간}}}''' ||브루드 워 버전 2분 7초 || ||자유의 날개 버전 1분 53초[* I, Mengsk 中 1분 41초 ~ 3분 34초.] || ||<#000000><:> '''{{{#white 작사}}}''' ||글렌 스태퍼드 [br] 제이슨 헤이즈 || ||<#000000><:> '''{{{#white 작곡}}}''' ||글렌 스태퍼드 [br] 제이슨 헤이즈 || ||
[youtube(PfZayWGn7rA)] || || [[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 1]] [[브루드 워|종족 전쟁]] 버전 || || [youtube(yjZGt0h9Mvw)] || || 상단의 [[브루드 워|종족 전쟁]] 버전이 삽입된, 공식 [[예고편|트레일러]]. || || [youtube(Zs8wJ5kGcHo)] || || [[스타크래프트 2|스타크래프트 2]]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자유의 날개]] 버전[*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사운드트랙|자유의 날개 OST]]인 〈나, 멩스크(I, Mengsk)〉의 일부다.] || || [youtube(UaI-351NtGs)] || || [[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 1]]+[[스타크래프트 2|스타크래프트 2]] Mix 버전 || == 음악 == 부드러운 초반의 여성 [[소프라노]]가 일순간 낮고 비장한 저음으로 반전되는 부분이 일품으로, 작곡가 글렌 스태퍼드가 자신이 작곡한 곡들 중 가장 좋아하는 곡으로 꼽았다.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남성 성악으로만 리메이크되었다. 또한 자유의 날개 메인 주제곡에서도 들을 수 있다. 가사는 [[라틴어]]와 [[프랑스어]]로 쓰였다. 얼핏 봐선 별 의미없이 모호한 [[군가]] 가사지만 잘 곱씹어 보면 많은 여운을 남기는데, 여러모로 가사와 정반대 꼴이 난 [[지구 집정 연합|UED]] 원정군을 생각나게 한다.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정확한 가사에 대해 밝히지 않았기에 서양웹에서 추측한 가사는 다음과 같다. >(라틴어) >'''Morituri te Salutant''' >Those about to die salute you. >죽음을 앞둔 자들이 그대에게 경례하노라.[* 이 가사는 로마의 검투사들이 경기 전에 외치던 말이다.] > >'''Via Solaris''' >The journey for comfort. >평온한 여정을 위하여.[* 직역하면 '태양의 길' 쯤 된다.] > >'''Morituri te Salutant''' >Those about to die salute you. >죽음을 앞둔 자들이 그대에게 경례하노라. > >'''Precia ob orgia''' >The reward of mysteries. >불가사의한 포상에 대하여. > >'''Creatorum revenit initium''' >The beginning of all created things returns. >창조된 모든 것들이 시작으로 되돌아가는구나. > >'''Requiescat in pace verna mori'''[* 약 40초동안 길게 부른다] >May it find rest in peace in vernal death. >온화한 죽음 아래 평안히 쉬기를. > >(프랑스어 부분)[* 저음으로 낮게 깔리기 시작] >'''N'Ayez pas peur''' >Don't be afraid >모든 고통들을 > >'''De souffrir''' >Of suffering >두려워 말지어다 > >'''Le futur''' >The future >미래가 > >'''Nous attend''' >Awaits us >우리를 기다리니 > >'''Laissez vos destins à Dieu''' >Leave your destinies to God >너희의 운명을 신에게 맡길지어다 > >'''Les soldats reviendront!''' >The soldiers will return! >병사들은 돌아오리라! > >'''Arriveront victorieux!''' >They will arrive victoriously! >그들은 당당히 개선하리라! > >'''Donnez tout pour l'honneur!''' >Give everything for honor! >영광을 위하여 모든걸 바치라! [[http://www.playxp.com/sc2/story/view.php?article_id=1926730&search=1&search_pos=&q=|가사 출처]][* playxp 원 출처 번역과는 달리, 전반부 라틴어 부분은 잘못된 부분이 많은지라 서양웹에서 나온 추측을 토대로 수정한 버전이다.] 한편 Nathaniel Garro 라는 라틴어 전공자가 [[유튜브]]를 통해 새롭게 해석한 라틴어 가사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s8wJ5kGcHo|출처]][* 완벽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기존 해석과 비교하면 음절이 매끄럽고, 번역이 자연스럽다는 장점이 있다.] >Morituri te salutant[* 기원후 52년 로마의 푸시네 강에서 군사훈련용으로 처형될 예정이었던 범죄자들이 클라우디우스 황제에게 자비를 빌면서 말했던 것이 기원이며, 학살 대상이었다가 지구에서 추방된 테란인들을 은유한다는 것.] >죽을 이들이 경례하나이다 >Via sonaris >저희 소리를 들으소서 >Morituri te salutant >죽을 이들이 경례하나이다 >Precia ab Orcia >오르쿠스[* 거짓을 말한 자들과 배신자들을 사후에 단죄하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이다.]의 대가를 치르리다 >Creaturo nave [???] ab Elysium vi, >천국의 배를 타고 우리 미물들은 내려왔나이다 >Requiscat in pace en amore. >우리 사랑하는 이들이 편히 잠들 수 있도록 == 기타 == [youtube(hxr8Ef1PLZU)]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엔딩 곡인 Dearest Helena(사랑하는 헬레나)에 샘플링 되어 있다.[* 0:38~0:50 부분이 브루드 워 아리아의 1:25 부터 1:33 까지 동일하다.] 의미심장하게도 [[제라드 듀갈]]이 [[루거 P08]] [[권총]]을 바라보는 장면에서 나오는 가사가 아래와 같다. >N'Ayez pas peur >Don't be afraid >모든 고통들을 > >De souffrir >Of suffering >두려워 말지어다 스타크래프트 2 게임내 영상에도 나온다. '위기의 뫼비우스' 임무를 끝내고 나오는 동영상에서 [[아크튜러스 멩스크]]가 [[사라 케리건]]을 버리고 기수를 돌려고 할 때 여성 소프라노 버전이 잠깐 나오고[* 브루드 워 인트로 동영상과 완전히 똑같은 상황에서 이 음악이 흐르는 것이 매우 강렬한 느낌을 준다. 게임 시간상으로는 케리건이 버려지는 것이 더 이전 일이라 지구에서 만든 노래인 이 곡이 나오는 게 이상하지만, 동영상 자체는 스타크래프트 2의 것이므로 전작의 그 장면과 확실히 연결짓기 위해 만든 연출이다. 어차피 그 동영상 자체가 진짜 과거가 아닌 레이너의 꿈 속이기도 하고.][* 또는 UPL 시절에 작곡된 음악이라 코프룰루로 추방된 테란도 알고 있는 음악이었을 것이다. 듀갈이 골동품을 애용하는 특정상 이 쪽일 확률이 높다. --영어 빼고 싹 다 말살시켰다는 UED에서 이 노래를 듣는다니 너 숙청--], [[짐 레이너]]가 멩스크의 기함 [[부세팔루스(스타크래프트 2)|부세팔루스]]에 침투해 [[발레리안 멩스크]]와 처음 대면하는 장면에서 발레리안이 듣고 있던 음악이 바로 〈브루드 워 아리아〉이다. 이후 임무팩 3편에서도 초반 [[캐롤라이나 데이비스]] 장군이 이 노래를 듣고 있다. 상술한 UED와 자치령과의 관계를 생각하면 상당히 묘한 장면. 참고로 스타크래프트 2에서 노랫말대로 정말로 죽음에서 돌아온 [[알렉세이 스투코프|스투코프]]의 반복선택 대사중 가사의 첫 부분을 살짝 바꾼 "죽음을 앞둔 이들이여 그대에게 경례하노라"라는 대사가 존재한다. 또 다른 일화로, 본 항목에 게시된 유튜브 영상이 아닌 다른 브루드 워 아리아 영상의 댓글에 자신이 어렸을 때 자신의 할아버지에게 이 곡을 소개 해줬다고 한 남성의 일화가 큰 공감을 얻고 있다. 그의 할아버지는 평소 클래식 곡만 감상했고 글쓴이는 이 때문에 어렸을 시절 할아버지에게 이 곡을 소개 해줬다고. 그의 할아버지는 브루드 워 아리아를 끝까지 다 듣고 헤드폰을 내려놓으며 "이게 비디오 게임 음악이라고 했니?" 라며 즐거운 표정을 지으시며 감명 받으신 것 같았다고 한다. 안타깝게도 그의 할아버지는 글쓴이가 댓글을 작성한 시점 이미 타계하셨고, 글쓴이는 클래식만 고집하셨던 자신의 할아버지가 인정한,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에 나오는 곡을 들으면서 할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듯.[* [[https://www.youtube.com/watch?v=OEUQ7Xkdz9g|#]] 원문: This is the only song I ever showed my grandpa, as a Child. I knew he only listened to classical music. After he finished hearing it, he took off his headphones and looked at me funny and asked ' You said this was from a video game? ' and I nodded. He looked impressed. I will never forget that moment. I wonder where he is today. Miss you gramps ..] 특정 유저들의 개인사를 차치하더라도, 어렸을 시절이건 젊었을 시절이건 나이에 관계 없이 옛날 그 시절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캠페인을 즐겁게 했던 유저들도 이 곡을 들으며 스타크래프트를 즐겼던 추억을 회상하며 감상에 젖기 충분했으므로 큰 공감을 얻는 것으로 보인다. [[히어로스톰]]에서도 뒷부분이 쓰였다. [[스투코프(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스투코프]]가 [[줄(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줄]]을 [[https://youtu.be/fVYYMdDd14E?t=1m10s|태양으로 보내버리는 장면]]에 쓰였는데 UED 출신인 스투코프의 테마라서 그렇게 한 듯하다. --아니면 Via Solaris 때문인지도-- [[붕괴: 스타레일]]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깰 수 있는 업적 중 브루드 워 아리아의 첫번째 가사인 "죽음을 앞둔 자들이 그대에게 경례하노라" 가 있다. [[분류:게임 음악]][[분류:스타크래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