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브루노 뒤몽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0C0000><-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FFFFFF,#333333><-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190]] || ||<#0C0000><-5><:> [[칸 영화제/그랑프리|{{{#e5d85c '''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 ||<:> ''' 제51회 [br] ([[1998년]]) ''' ||<:> {{{+1 → }}} ||<:> ''' 제52회 [br] ([[1999년]]) ''' ||<:> {{{+1 → }}} ||<:> ''' 제53회 [br] ([[2000년]]) ''' || ||<:> [[로베르토 베니니]][br]([[인생은 아름다워]])||<:> {{{+1 → }}} ||<:><#000> '''{{{#fff 브루노 뒤몽[br]([[휴머니티|{{{#fff 휴머니티}}}]])}}}''' ||<:> {{{+1 → }}} ||<:> 장원[br](귀신이 온다)|| ||<#0C0000><-5><:> || ||<:> ''' 제58회 [br] ([[2005년]]) ''' ||<:> {{{+1 → }}} ||<:> ''' 제59회 [br] ([[2006년]]) ''' ||<:> {{{+1 → }}} ||<:> ''' 제60회 [br] ([[2007년]]) ''' || ||<:>[[짐 자머시]] [br] (브로큰 플라워)||<:> {{{+1 → }}} ||<:><#000> {{{#bc2424 '''{{{#fff 브루노 뒤몽[br]([[플랑드르|{{{#fff 플랑드르}}}]])}}}'''}}} ||<:> {{{+1 → }}} ||<:>[[카와세 나오미]] [br] (너를 보내는 숲)|| ||<#0C0000><-5><:> ||}}} || ||<-2> '''{{{+1 브루노 뒤몽}}}[* 여러 영화제들에서는 '브루노 뒤몽'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일부 매체와 <프랑스> 수입배급사 M&M 인터내셔널에서는 '브뤼노 뒤몽'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 규정 및 용례를 따를 시 '브뤼노'로 표기하는 것이 적절하고, 프랑스어 발음상에서도 '브뤼노'에 가깝다.][br]Bruno Dumont'''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runodumont.jpg|width=100%]]}}} || ||<|2> '''출생''' ||[[1958년]] [[3월 14일]] ([age(1958-03-14)]세)|| ||[[오드프랑스]] 노르 Bailleul||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직업''' ||[[영화 감독]]|| || '''종교''' ||[[무종교]] ([[무신론]])||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영화 감독. == 상세 == 데뷔전까지는 고등학교 철학 교사였다고 한다. [* 프랑스 국립 영화 학교인 페미스 (당시 IDHEC)에 지원했다고 하나 떨어졌다.] [[예수의 삶]]으로 데뷔한 뒤, [[휴머니티]]로 이례적인 속도로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을 받으면서 주목받았다. 초기와 [[릴 퀸퀸]] 이후 스타일이 상당히 갈리는 감독. 초기엔 브레송[* 뒤몽은 [[로베르 브레송]]의 미학을 계승하는 작가로 평가받기도 한다.]의 영향을 받아 무명 배우들 위주로 건조하면서도 과격한 자연주의풍 드라마를 만들었다면[* 이 때문에 데뷔 초엔 [[가스파 노에]]와 함께 프랑스 극단주의로 잠깐 엮이기도 했다.] 커리어 최초로 스타 배우인 [[쥘리에트 비노슈]]를 기용한 [[카미유 클로델(2013)|까미유 끌로델]]을 기점으로 유명 배우 기용도 꺼리지 않게 되었고, 블랙 코미디와 골계미로 노선을 틀었다. 그러나 여전히 기괴하고 불편한 소재로, 도발하는 태도는 여전하다. 출신이 프랑스 북부 [[릴(프랑스)|릴]] 근방의 시골 출신이라, 시골 배경, 특히 고향 바이을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가 많다. 한 해 베스트 TOP 10에 그의 작품이 총 8번 오를 정도로 [[카예 뒤 시네마]]의 평단에게서 지지를 받는 감독들 중 하나이다.[* [[하데비치]], [[아웃사이드 사탄]], [[릴 퀸퀸]], [[슬랙 베이: 바닷가 마을의 비밀]], [[잔 다르크의 어린 시절]], [[꽥꽥과 잉여인간]], 잔 다르크, [[프랑스(영화)]]] 2010년대 결산에서는 [[릴 퀸퀸]]이 올라와있다. 다만 관객들에게는 호불호가 극명히 갈린다.[* 당장 [[2019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잔 다르크(Jeanne)와 [[전주국제영화제]]에서 [[꽥꽥과 잉여잉간]]에 대한 관객 반응을 찾아보면 감탄을 하는 사람들과 이게 뭐냐고 당황스러웠다는 극과 극의 반응으로 갈린다.] 상술했듯이 유명 배우를 별로 쓰지 않는 감독이라 한국에서도 정식 개봉한 작품은 [[쥘리에트 비노슈]]가 주연인 [[카미유 클로델(2013)|카미유 클로델]]과 [[슬랙 베이: 바닷가 마을의 비밀]], [[레아 세두]]가 출연한 [[프랑스(영화)]] 정도다. [* 2차 매체 같은 경우까지 포함하면 [[휴머니티]]가 스펙트럼DVD로 정식 발매된 적이 있다.] [[무신론자]]다. == 필모그래피 == || '''{{{#white 연도}}}''' || '''{{{#white 제목}}}''' || '''{{{#white 원제}}}''' || '''{{{#white 화면비}}}''' || || [[1997년|1997]] || '''[[예수의 삶]]''' || La vie de Jésus || 2.35:1 || || [[1999년|1999]] || '''[[휴머니티]]''' || L'humanité || 2.35:1 || || [[2003년|2003]] || '''[[트웬티나인 팜스]]''' || Twentynine Palms || 2.35:1 || || [[2006년|2006]] || '''[[플랑드르]]''' || Flandres || 2.35:1 || || [[2009년|2009]] || '''[[하데비치]]''' || Hadewijch || 1.66:1 || || [[2011년|2011]] || '''[[아웃사이드 사탄]]''' || Hors Satan || 2.35:1 || || [[2013년|2013]] || '''[[카미유 클로델(2013)|까미유 끌로델]]''' || Camille Claudel 1915 || 2.35:1 || || [[2014년|2014]] || '''[[릴 퀸퀸]][* TV 미니 시리즈로 공개되었고, 한 편당 약 52분으로 총 4개의 에피소드이다.]''' || P'tit Quinquin || 2.00:1 || || [[2016년|2016]] || '''[[슬랙 베이: 바닷가 마을의 비밀]]''' || Ma Loute || 2.35:1 || || [[2017년|2017]] || '''[[잔 다르크의 어린 시절]]''' || Jeannette, l'enfance de Jeanne d'Arc || 1.55:1 || || [[2018년|2018]] || '''[[꽥꽥과 잉여인간]]''' || Coincoin et les z'inhumains || 2.35:1 || || [[2019년|2019]] || '''잔 다르크''' || Jeanne || 1.85:1 || || [[2021년|2021]] || '''[[프랑스(영화)|프랑스]]''' || France || 1.85:1 || || 미정 || '''제국 ''' || L'empire || || [[분류:프랑스 영화 감독]][[분류:1958년 출생]][[분류:프랑스의 무종교인]][[분류:노르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