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50646, #f3883f)" '''{{{#ffffff 2014년}}} [[월드 럭비 올해의 선수|{{{#ffffff 월드 럭비 올해의 선수}}}]]'''}}} || || [[키어런 리드]] [br] ([[넘버 8]] /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 → || '''브로디 레탈릭 [br] ([[록(럭비)|록]] /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 → || [[댄 카터]] [br] ([[플라이하프]] /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로디 레탈릭.webp|width=100%]]}}} || ||<-3> [[파일: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로고.png|width=40]] [br] '''[[코벨코 고베 스틸러스|{{{#D91617 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 ||<-3> '''{{{#fff {{{+2 브로디 레탈릭}}}[br] Brodie Retallick}}}''' || || '''본명''' ||<-2>브로디 앨런 레탈릭[br]Brodie Allan Retallick || || '''생년월일''' ||<-2>[[1991년]] [[5월 31일]] ([age(1991-05-31)]세) || ||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 || '''출신지''' ||<-2>[[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7]] [[뉴질랜드]] 와이마카리리 왕기오라 || || '''신체''' ||<-2>[[키(신체)|키]] 204m / [[체중]] 124kg || || '''가족관계''' ||삼촌 존 애쉬워스[* 1977~1985년 [[올 블랙스]]로 뛰었다.][br]사촌 컬럼 레탈릭[* 전 프로 럭비 유니언 선수] || || '''포지션''' ||<-2>'''[[록(럭비)|록]]''' || || '''클럽 경력''' ||<-2>[[내셔널 프로빈셜 챔피언십|[[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호크스베이]] (2010~2023)[br][[슈퍼 럭비 퍼시픽|[[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치프스]] (2012~2019)[br][[재팬 럭비 리그 원|[[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벨코 스틸러스]] (2020~2021)[br][[슈퍼 럭비 퍼시픽|[[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치프스]] (2022~2023)[br][[재팬 럭비 리그 원|[[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벨코 스틸러스]] (2024~ ) || || '''국가대표''' ||<-2>[[파일:All blacks logo.png|width=20]]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2012~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뉴질랜드]]의 [[럭비]] 선수. 2010년대에 [[이븐 에체베스]]와 함께 최고의 록으로 꼽혔다. 2022년까지 [[테스트 매치]]에 딱 100회 출전했다. 올 블랙스 등록번호는 1110. [[2023 럭비 월드컵]] 이후 일본 [[코벨코 고베 스틸러스]]로 이적했다. 그렇게 국가대표 경력도 접게 되었다. == 명예 == * '''개인''' * 2014 [[뉴질랜드 럭비]] 올해의 선수 * 2014 [[월드 럭비]] 올해의 선수 * 2018 월드 럭비 국제대회 올해의 트라이 * 테스트 100회 달성 * '''팀''' * [[2015 럭비 월드컵 잉글랜드]] 우승 * 2016 라우레우스 올해의 팀 == 둘러보기 == [include(틀:올 블랙스)] [[분류:뉴질랜드의 럭비 선수]][[분류:치프스/은퇴, 이적]][[분류:코벨코 고베 스틸러스/현역]][[분류:호크스베이/은퇴, 이적]][[분류:1991년 출생]][[분류:2010년 데뷔]][[분류:캔터베리 지방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