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FFF 20%, #FFFFFF 80%, #DF0B10)" {{{#002664 '''브래드 도허티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include(틀:NBA 역대 드래프트 전체 1순위)]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올NBA 팀|[[파일:NBA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4890; font-size: 0.9em" [[올NBA 팀|{{{#ffffff '''올NBA 팀'''}}}]]}}} ||<-3>'''3rd :''' [[All NBA Team/1990년대#s-3|1991-92]] || || [[틀:1986-87 NBA 올루키 퍼스트 팀|[[파일:NBA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4890; font-size: 0.9em" [[틀:1986-87 NBA 올루키 퍼스트 팀|{{{#fff '''1986-87 NBA 올루키 팀'''}}}]]}}} || || || || ---- [include(틀: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영구결번)]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래드도허티2.jpg|width=100%]]}}} || ||<-2> {{{#c8ab37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No. 43''' }}} || ||<-2> '''{{{+1 브래들리 리 도허티}}}[br]Bradley Lee Daugherty''' || ||<|2> '''출생''' ||[[1965년]] [[10월 19일]] ([age(1965-10-19)]세) || ||[[노스캐롤라이나|노스캐롤라이나주]] 블랙 마운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학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 || '''신장''' ||213cm (7' 0") || || '''체중''' ||111kg (245 lbs)|| || '''윙스팬''' ||223cm (7' 4") || || '''포지션''' ||[[센터(농구)|센터]] || || '''드래프트''' ||'''1986 NBA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 [br]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지명''' || || '''소속 팀'''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1986~1996)''' || || '''등번호''' ||43번 - 클리블랜드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radDaugherty43,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external/www.tarheeltimes.com/Brad_Daugherty-Mark_Price-Larry_Nance_Card.jpg]] || || 올스타 3인방 도허티(43번), 프라이스(25번), 낸스(22번) || 미국의 농구인. [[샤킬 오닐]] 등장 이전 80년대 중반부터 90년대 초반까지의 NBA 4대 [[센터(농구)|센터]] 중 한 명으로, 허리 디스크로 인해서 단 8년간만 선수 생활을 했지만 그 기간동안 마크 프라이스와 함께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를 동부의 강팀으로 이끌었던 선수. 운동능력은 평범해서 센터로서 블록슛은 좀 부족했지만 대신 뛰어난 패싱력을 바탕으로 마크 프라이스와의 콤비 플레이가 뛰어났다. 도허티가 부족했던 블록슛 부분에 대해서는 인사이드 파트너였던 [[래리 낸스]], [[핫로드 윌리엄스|존 '핫 로드' 윌리엄스]] 등이 그 부분을 채워주었다. 8시즌 통산 기록은 10,389 득점 (경기당 19.0 득점) / 5,227 리바운드 (경기당 9.5 리바운드) / 2,028 어시스트 (경기당 3.7 어시스트) == [[NBA]] 경력 ==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졸업 후 1986년 드래프트 1번 픽으로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클리블랜드]]에 입단하여 루키 시즌인 1986-87시즌 80경기에 모두 선발 출장하고, 필드골 성공률 53.8%, 평균 15.7 득점, 8.1 리바운드, 0.8 블락슛, 자유투 성공률 69.6%, 3.8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비록 신인왕은 척 퍼슨에게 밀렸지만 All-Rookie First Team에 선정되면서 본인이 NBA에서 충분히 통하는 선수임을 입증하였다. 2번째 시즌 브래드 도허티는 첫 시즌보다 모든 면에서 나은 성적을 거두게 되는데 필드골 성공률 51.0%, 평균 18.7득점, 8.4리바운드, 4.2 어시스트, 0.7 블락슛을 기록하며 팀을 플레이오프로 이끌었다. 이후 88-89시즌 이 시기 기량이 만개한 [[마크 프라이스]]와 함께 브래드 도허티는 캐벌리어스의 원투 펀치를 형성하며 당시 팀 역사상 최다승인 57승을 거두게 되며 이 시즌 도허티는 평균 18.9득점, 평균 9.2리바운드, 3.7 어시스트, 평균 0.5 블락슛을 기록했다. 89-90 시즌 등 부상으로 40경기에만 출장하며 평균 16.8 득점, 9.1 리바운드, 3.2 어시스트, 0.5 블락슛을 기록하며 주춤했지만 다음 시즌인 90-91시즌 평균 21.6득점, 10.9리바운드, 3.3 어시스트, 1.1 블락슛을 기록하며 자신의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였다. 이후 91-92시즌 57%의 높은 필드골 성공률에 평균 21.5득점 10.4 리바운드, 3.6 어시스트 / 92-93시즌 필드골 성공률 57.1%, 평균 20.2득점, 10.2 리바운드, 4.4 어시스트, 0.8 블락슛을 기록하며 3년 연속 20-10 이라는 엘리트 센터의 스탯을 만들어내면서 당시 동부의 유잉, 서부의 올라주원, 로빈슨과 함께 4대 센터의 일원이 되었다. (이 시기는 오닐의 등장 이전) 93-94 시즌 등 부상으로 50경기 출장하며 평균 17.0득점, 10.2리바운드 3.0 어시스트를 기록하였고 이후 본인을 계속 괴롭히던 부상인 등 부분의 통증이 치명적인 허리디스크였다는 걸 알게 되고 결국 이로 인해 1994-95 시즌을 앞둔 채 시즌아웃됐고, 복귀를 위해 수술을 받고 재활에 매진했지만 이마저도 뜻대로 안 돼서 1995-96 시즌 후 공식적으로 은퇴했다. == 은퇴 후 == 1996년부터 [[ESPN]]에서 대학 농구 분석가로 활동, 그 외에 자선 사업 및 개인 사업을 하며 지내오다가, 1997년 [[NASCAR]] 레이싱 팀이었던 Liberty Racing이라는 팀의 공동 소유자가 된 것을 시작으로, 현재 JTG 도허티 레이싱[* 원래는 ST 모터스포츠, JTG 레이싱이라는 팀명을 썼으나, 도허티가 공동 소유주가 된 이후 도허티라는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이라는 NASCAR 팀의 공동 구단주 겸 소유주를 역임하고 있는 것과 동시에 2020년 부터는 [[NBC 스포츠]] 채널에서 NASCAR 전문 분석가 겸 해설위원[* 정작 본인은 NASCAR 레이싱 선수로 활약한 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NASCAR 레이싱 팀의 단장 및 구단주 등을 역임 하면서 현장에서 노하우 등을 공부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개인 사업 중에 자동차 대리점 사업을 했던 경력도 있다.]으로 활약하고 있다. 1997년에는 그의 등번호 43번이 클리블랜드에서 영구 결번됐다. 마이클 조던과 1982~1984년 노스캐롤리이나 대학교에서 같이 뛰었으며 조던과 도허티 모두 NASCAR를 좋아해서 더 가까워졌다고 한다. [각주] [[분류:미국의 농구 선수]][[분류:블랙마운틴(노스캐롤라이나) 출신 인물]][[분류:1965년 출생]][[분류:1986년 데뷔]][[분류:1996년 은퇴]][[분류:센터(농구)]][[분류: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농구]][[분류:NBA 영구결번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