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독일의 행정 구역)] [include(틀:프로이센의 주)] ||<-6> '''{{{#ffffff {{{+1 브란덴부르크}}}[br]Land Brandenburg}}}''' || ||<-3><:><#DDD,#383B40>[[파일:브란덴부르크 주기.svg|width=150]] ||<-3><:><#DDD,#383B40>[[파일:브란덴부르크 주장.svg|width=100]] || ||<-3> '''{{{#ffffff 주기(州旗)}}}''' ||<-3> '''{{{#ffffff 주장(州章)}}}''' || ||<-6> '''{{{#ffffff 위치}}}''' || ||<:><-3><#DDD,#383B40>[[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Deutschland_Lage_von_Brandenburg.svg.png|width=100%]]||<-3><#DDD,#383B40>[include(틀:지도, 장소=브란덴부르크 주, 높이=250, 너비=100%)]|| ||<-6> '''{{{#fff 행정}}}''' || ||<-6><^|1><#fff,#1F2023>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 '''{{{#ffffff 시간대}}}''' ||(UTC+1/+2) || || '''{{{#ffffff 주도(州都)}}}''' ||[[포츠담]] || }}}}}}}}} || ||<-6> '''{{{#ffffff 인문환경}}}''' || ||<-6><^|1><#fff,#1F2023>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ffffff 면적}}}''' ||29,654.16km² || || [[인구|'''{{{#ffffff 인구}}}''']] ||2,573,135명^^(2022년 12월)^^ || || [[인구 밀도|'''{{{#ffffff 인구밀도}}}''']] ||87명/km² || }}}}}}}}} || ||<-6> '''{{{#ffffff 정치}}}''' || ||<-6><^|1><#fff,#1F2023>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2> '''{{{#ffffff 주총리}}}''' ||<-2>디트마르 보이드케[* Dietmar Woidke] [include(틀:독일 사회민주당)] || ||<|6> '''{{{#fff 주의회}}}''' ||<|3><#dd0000> '''{{{#fff 여당}}}''' || [include(틀:독일 사회민주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382a calc(25*100%/88), #ddd 0%)" {{{#fff '''25석 / 88석'''}}}}}}|| || [include(틀: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calc(15*100%/88), #ddd 0%)" {{{#fff '''15석 / 88석''' }}}}}} || || [include(틀:동맹 90/녹색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BB46 calc(10*100%/88), #ddd 0%)" {{{#fff '''10석 / 88석'''}}}}}}|| ||<|3><#dd0000> '''{{{#fff 야당}}}''' || [include(틀:독일을 위한 대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EE0 calc(23*100%/88), #ddd 0%)" {{{#fff '''23석 / 88석'''}}}}}}|| || [include(틀:좌파당(독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E3075 calc(10*100%/88), #ddd 0%)" {{{#fff '''10석 / 88석'''}}}}}} || || [include(틀:브란덴부르크 연합시민운동/자유 유권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43390 calc(5*100%/88), #ddd 0%)" {{{#fff '''5석 / 88석'''}}}}}}|| ||<|6><-2> [[독일 연방의회|'''{{{#ffffff 연방하원}}}''']] || [include(틀:독일 사회민주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382a calc(10*100%/25), #ddd 0%)" {{{#fff '''10석 / 25석'''}}}}}}|| || [include(틀:독일을 위한 대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EE0 calc(5*100%/25), #ddd 0%)" {{{#fff '''5석 / 25석'''}}}}}}|| || [include(틀:독일 기독교민주연합)]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calc(4*100%/25), #ddd 0%)" {{{#fff '''4석 / 25석'''}}}}}}|| || [include(틀:자유민주당(독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D00 calc(2*100%/25), #ddd 0%)" {{{#fff '''2석 / 25석'''}}}}}}|| || [include(틀:동맹 90/녹색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BB46 calc(2*100%/25), #ddd 0%)" {{{#fff '''2석 / 25석'''}}}}}}|| || [include(틀:좌파당(독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E3075 calc(2*100%/25), #ddd 0%)" {{{#fff '''2석 / 25석'''}}}}}}|| ||<-2> [[독일 연방상원|'''{{{#ffffff 연방상원}}}''']] ||<-2>4석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어]]: {{{+1 '''Land Brandenburg'''}}}[* [[폴란드어]]로는 Brandenburgia.] '''[[프로이센 왕국]]과 [[독일 제국]]의 중심지'''[* [[호엔촐레른 가문]]이 [[프로이센 공국]]을 상속받은 이후에도 [[동프로이센]]은 부속 영토 취급이었다. 세간의 인식과 달리 프로이센 수뇌부에서는 동프로이센에 별 미련이 없었으며 프로이센 역사상 최고의 명군이던 프리드리히 2세 대왕도 동프로이센은 영유권 유지가 안되면 버리라는 유훈을 남기기도 했다.]였던 [[독일]]의 [[주(행정구역)|주]]. [[주도(행정구역)|주도]]는 [[포츠담 회담]]의 바로 그 [[포츠담]]이다. [[http://www.brandenburg.de/cms/list.php/bbstart|홈페이지]] 서쪽으로는 [[작센안할트]], 동쪽으로는 [[폴란드]], 북쪽으로는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남쪽으로는 [[작센]]과 접하고 있다. 주 안에는 독일의 [[수도(행정구역)|수도]] [[베를린]]이 쏙 파묻혀 있다. 음덕들에게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으로 알려진 이름일 듯. [[브란덴부르크 문]]으로도 이름이 널리 알려져있지만 정작 문은 브란덴부르크 주가 아닌 브란덴부르크 주 안의 베를린에 위치해 있다.[* 베를린은 [[독립시]]이다. [[수도권]]으로 치면 베를린이 [[서울특별시]]이고 브란덴부르크 주는 [[경기도]]가 되는 셈이다. 참고로 브란덴부르크 주 [[포츠담]]에도 브란덴부르크 문이라는 이름의 개선문이 있다.] 이유인즉슨 [[유럽]]에서는 역이나 도로 게이트 등에 종착지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베를린]]을 브란덴부르크가 빙 둘러싸고 있는 형태라 굉장히 밀접한 관계에 있다. [[대중교통]] 승차권도 하나로 통합되어있고, [[ARD]] 방송국 지방 관할 구역도 RBB(Rundfunk Berlin-Brandenburg : 베를린-브란덴부르크 방송국) 하나로 동일하다. 애초에 역사적으로 베를린 자체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시절부터 수도였다. 이런 저런 이유들 때문에 베를린과 통합해서 베를린-브란덴부르크 주를 신설하자는 의견이 있고, 실제로 1995년에 브란덴부르크 주와 베를린의 두 주 정부가 합병을 추진하기로 합의하여 이듬해 주민투표가 실시됐는데 부결돼서 무산되었다. 구 서베를린 시민들은 찬성했는데 구 동베를린 시민들과 브란덴부르크 주민들, 즉 구 동독인들이 반대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투표율 미달로 통과되지 못했다. 이 때 통합 주의 이름을 [[프로이센]] 주로 되돌리자는 의견도 있었는데[*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는 [[프로이센 자유주]]의 수도권이었다.] 최종적으로는 무산된 것을 보면 주민들 대부분은 딱히 시끄러운 변화를 원치 않는 모양이다. 브란덴부르크 남동부의 [[라우지츠]](Lausitz)[* [[체코어]]로는 루지체(Lužice), [[폴란드어]]로는 Łużyce(우지차).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브란덴부르크 주의 한 지방이었으나 현재는 독일과 폴란드로 갈라져있다. 과거 [[보헤미아 왕국]]을 구성하던 지역 중 하나였으나 [[30년 전쟁]] 도중 [[작센 선제후국]]의 영토가 되었고, 1815년 [[빈 회의]]로 [[프로이센 왕국]] 영토에 편입되었다.] 지방에선 코트부스와 슈프레-나이세를 중심으로 [[소르브어|저지 소르브어]]를 사용하는 [[소르브인]] 주민이 존재한다. 토양이 거칠고 모래투성이라,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Mark Brandenburg) 시절의 별명은 '''[[신성 로마 제국]]의 모래상자'''(Heiligen Römischen Reiches Streusandbüchse)였다. == 역사 == [include(틀:신성 로마 제국)] 본래 기원전부터 [[게르만족]]의 영역이었던 이 지역에 [[7세기]] 무렵 [[슬라브족]]이 [[비스와 강]] 동쪽에서 건너와 거주하기 시작했다. [[독일왕]] [[하인리히 1세]]가 슬라브족에 대한 통치권을 행사하였지만 이후 다시 슬라브족에게 통치권이 넘어갔다. 10세기 중반에 [[오토 1세]]는 새로 정복한 지역에 북부 경계지방(Nordmark)을, 브란덴부르크 하펠베르크에 주교령을 설치했다. [[12세기]] 무렵 [[신성 로마 제국]]의 강력한 제후였던 [[하인리히 사자공]]의 노력에 힘입어 다시 게르만족이 주도권을 잡았다. 하인리히 사자공의 [[동방식민운동|동진]] 이후 슬라브족에게 [[기독교]]가 전해졌고, 양 [[민족]] 사이의 [[통혼]]이 이루어지면서 이 일대는 서서히 [[독일/문화|게르만화]]되었다. 아스카니아 가문(Haus Askania) 출신으로 하인리히 사자공과 대립했던 [[안할트]]의 알브레히트(Albrecht der Bär 1100~1170)는 1150년대에 [[신성 로마 제국/역대 황제|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로부터 북부 경계지방과 브란덴부르크 마을을 하사받았는데, 알브레히트는 이 지방의 슬라브 반란을 진압한 후 스스로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을 자처하면서 초대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이 되었다. 이후 제국 북동부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아스카니아 가문은 이에 힘입어 브란덴부르크 지역의 [[독일인]]을 베를린이 위치한 중부 경계지방이란 뜻의 미텔마르크(Mittelmark)를 거쳐 [[오데르 강]]을 넘어서 새 경계지방, 노이마르크(Neumark)로 알려진 지금의 [[폴란드]] [[루부스키에]](Województwo lubuskie)까지 이주시켰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경계지방이라고 불리었던 곳은 오래된 경계지방이란 뜻의 알트마르크(Altmark)[* [[프로이센 왕국]] 시절 행정구역 조정으로 인해 현재는 [[작센안할트]]에 속해있다. 여담으로 [[독일 통일]]을 주도한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자신의 고향이었던 이 지역을 가리켜 '''프로이센의 요람(„Wiege Preußens“)'''이라고 했다.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을 [[프로이센 왕국]]의 본체로 여겼던 당대 독일인의 역사 인식을 알 수 있는 발언이기도 하다.]가 되어 지금의 지명에도 남아있다. [[1320년]], 브란덴부르크 아스카니아 가문의 대가 끊기면서 주인없는 지역이 되었으나 황제 선출권[* 이미 이전부터 황제 선출권이 있었고 [[1356년]] [[금인칙서#s-2.8]]를 통해 [[선제후]] 작위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브란덴부르크가 가지게 된 황제 선출권은 본래 [[슈바벤]] 공작의 권한이었으나 해당 작위는 [[1268년]]에 사라졌다.]이 있던 이 지역을 탐낸 [[비텔스바흐 가문]] 출신의 [[독일왕]] [[루트비히 4세(신성 로마 제국)|루트비히 4세]]가 맏아들 루트비히에게 이 지역을 넘기면서 [[1323년]]부터 [[1365년]]까지 [[바이에른]] [[비텔스바흐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루트비히 4세 사후 형제들간의 상속 다툼으로 바이에른 비텔스바흐 가문은 악화일로를 걸었고, 역시 황제 선출권을 탐냈던 [[보헤미아 왕국|보헤미아 국왕]] 겸 독일왕 [[카를 4세]]가 사위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오토 7세[* [[바이에른]] [[공작(작위)|공작]]으로서는 오토 5세.]를 협박하여 [[1373년]]부터는 [[룩셈부르크 가문]]의 차지가 되었다. [[1378년]]부터 브란덴부르크를 상속받았던 카를 4세의 차남 [[지기스문트]]는 아들이 없었던지라 [[1415년]], 자신의 독일왕 선출을 적극적으로 도왔던 [[호엔촐레른 가문]] 출신의 [[뉘른베르크]] [[성주]](Burggraf)[* 성관백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프리드리히 6세에게 브란덴부르크를 하사하였다. 프리드리히 6세는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1세(브란덴부르크)|프리드리히 1세]]가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약 500년의 세월에 이르는 기나긴 호엔촐레른 가문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초창기 호엔촐레른 가문은 브란덴부르크 토착 귀족들과 갈등을 겪으며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로 [[루터파]]가 공인되자 공식적으로 개종[* 당시 선제후였던 [[요아힘 2세 헥토어]]는 1539년 이미 [[마르틴 루터]]의 주관으로 개인적으로는 양형 영성체를 거행하며 [[개신교]]에 호의를 보였으나 황제 [[카를 5세]]의 눈치를 보느라 공식적으로 개종하지는 않은 상황이었다.]하여 정치적 이득을 취하는 한편, 수도원 재산을 몰수하고 오데르강과 슈프레강의 수운을 이용한 무역으로 막대한 부를 쌓으면서 매섭게 세력을 확장했다. 이 시기 결혼동맹도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덕분에 [[프로이센 공국]]과 더불어 약간의 분란이 있기는 했지만 [[클레베]](Kleve), 마르크(Mark), 라벤스베르크(Ravensberg) 등 [[라인란트]] 일대도 상속받아 세력을 확장했다. 하지만 정작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은 [[30년 전쟁]]으로 쑥대밭이 되었다. 브란덴부르크에게는 다행이게도, 이 시기 호엔촐레른 가문에는 [[프리드리히 빌헬름|프리드리히 대선제후]], [[프리드리히 1세(프로이센)|프리드리히 1세]], [[프리드리히 대왕]]으로 이어지는 훌륭한 [[군주]]들이 연이어 배출되었다. 이들의 치세에 [[프로이센 왕국]]은 쭉쭉 성장해서 남독일의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 북독일의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이라는 [[독일어권]]의 양대 강국으로 성장했고, 프로이센 왕국의 핵심 지역인 브란덴부르크, 특히 베를린도 당연히 엄청난 성장을 이루었다. 이후로도 프로이센의 성장세는 거침없었고, 당연히 브란덴부르크도 마찬가지였다. [[1848년 혁명]] 당시에도 [[프랑크푸르트암마인]]와 더불어 포츠담에 정부 기구가 설치되었을 정도. 그렇게 [[독일 제국]] 시기를 거쳐 [[바이마르 공화국]]까지도 잘 나갔었는데... [[아돌프 히틀러]]가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킨 대가를 톡톡히 치러 원래 주 영토의 1/4에 이르던 노이마르크 지방을 폴란드에게 내어주었고 이 지역에 살던 독일인들이 추방되었다. 급기야 [[동독]]이 수립되자 주 제도가 없어지면서 [[1952년]] 이후로 브란덴부르크 주는 사라졌다. [[동서독 통일|독일이 다시 통일]]을 이루는 [[1990년]]이 되어서야 브란덴부르크라는 이름으로 부활했다. 다만 부활한 주 경계는 [[작센-안할트]], [[작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과 땅을 서로 뜯고 뜯긴 관계로 프로이센 왕국 시절과는 미묘하게 다르다. 작센-안할트에서는 주로 삥뜯은 편(...). 거기에 주 내부 행정구역 경계선은 전쟁 이전에 비해 완전히 바뀌었다. 전쟁 이전에는 지역별로 덩어리진 경계선이었다면 현재는 베를린을 중심으로 한 방사형 경계선이라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북서부 프리그니츠나 남부 지역같이 베를린에서 거리가 떨어진 곳들은 그 지역별로 묶었지만. [[파일:브란덴부르크 주 프로이센.png]] ^ 구 프로이센의 브란덴부르크 주를 현 독일-폴란드 국경 위에 보여준 지도. 제2차 세계 대전 후 브란덴부르크 주의 국경 변화를 볼 수 있다. [[서독]] 정부가 [[오데르-나이세 선]] 국경을 인정하고 이동 영토에 대한 주장을 취하했기에 [[오데르 강]]/나이세 강 너머 동쪽의 노이마르크 땅을 되찾을 가능성은 극히 적다. [[2차대전 후 독일과 폴란드의 영토 문제]] 참고. == 정치 == [include(틀:브란덴부르크 주의회의 원내 구성)]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부터 [[독일 사회민주당|사회민주당]]의 아성이었으며, [[공산주의]] 치하를 거치고 주가 부활한 뒤에도 사회민주당이 강세인 점은 마찬가지이다. [[1990년]] 이래 [[독일 사회민주당|사회민주당]]이 제1당의 지위를 줄곧 유지한다. 또한 브란덴부르크 정치의 특징은 '''사회민주당이 [[좌파당(독일)|좌파당]]과 [[연립정부]]를 하는''' 유일했던 주라는 점이다. [[2014년]]에 [[튀링겐]] 주에서 [[좌파당(독일)|좌파당]]-[[독일 녹색당|녹색당]]-[[독일 사회민주당|사회민주당]]이 적-녹-적 [[연립정부]]를 구성함으로써 브란덴부르크가 유일한 주라는 기록은 깨졌다. * [[1990년]] 선거: 88석 중 사회민주당이 36석으로 [[독일 자유민주당|자유민주당]], [[독일 녹색당|녹색당]]과 연정 * [[1994년]] 선거: 88석 중 사회민주당이 52석으로 단독 과반수 * [[1999년]] 선거: 88석 중 사회민주당이 37석으로 '''[[민주사회당(독일)|민주사회당]][* [[사회주의통일당]]의 후신이자 [[좌파당(독일)|좌파당]]의 전신.]과 연정''' * [[2004년]] 선거: 88석 중 사회민주당이 33석으로 [[기독교민주연합]]과 연정 * [[2009년]] 선거: 88석 중 사회민주당이 31석으로 '''좌파당과 연정''' * [[2014년]] 선거: 88석 중 사회민주당이 30석으로 '''좌파당과 연정''' * [[2019년]] 선거: 88석 중 사회민주당이 25석으로 '''[[기민련]], 녹색당과 연정''' == 사회 == 현재 [[인구]]는 약 250만 명 가량이며 수도를 둘러쌌다는 점에서 한국의 경기도와 비슷하지만 독일은 한국처럼 수도집중이 심각한 나라가 아니라서 독일 전체적으로 인구가 그리 많은 지역은 아니다.[* 경기도와 브란덴부르크는 실제로 유사성이 있는데 각각 자국사의 중심 권역이자 현대 한독 양국의 수도권일 뿐 아니라 영토의 일부분이 미수복 영토로 남게 되었다.] 그나마도 독일 자체의 [[고령화]] 문제와 더불어 경제적 요인등으로 인한 구 [[서독]] 지역으로의 이주 러쉬로 인해 인구수가 2011년 245만여명까지 감소했다. [[2000년]] 경에 270만 정도였는데 11년 사이에 25만 정도가 빠져나갔다. 그러나 2012년부터 다시 증가 추세로 돌아서서 2022년 257만여명까지 늘어났다. 주된 원인은 베를린의 인구 증가와 집세 상승으로 인해 인근 브란덴부르크로 이주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편 [[공산주의]] 치하에서 50년 가까운 시기를 보낸 탓인지 [[독일]] 내에서 종교색이 가장 약한 지역 중 하나다. [[인구]]의 80% 가량이 [[무종교]]이며, 나머지 인구는 대다수가 [[개신교]] 계열이다. == 주가 == Brandenburglied(브란덴부르크의 노래) 또는 Märkische Heide(마르크의 히스)로 불리는 이 노래는 1906년부터 1936년까지 프로이센 주의 지방이였던 브란덴부르크의 공식 주가였으며, 현재도 비공식 주가로 사용되고 있다. [youtube(O4aDg5RilMM)] || [[독일어]] || [[한국어]] [[번역]] || ||Märkische Heide, Märkischer Sand Sind des Märkers Freude, Sind sein Heimatland.||마르크의 히스, 마르크의 모래는 마르크인의 기쁨이고, 그의 고향이다.|| ||Steige hoch, du roter Adler, Hoch über Sumpf und Sand, Hoch über dunkle Kiefernwälder, Heil dir mein Brandenburger Land.||날아올라라, 붉은 독수리여, 늪과 모래 위에 높이, 어두운 소나무 숲 위에 높이, 너에게 만세를, 내 브란덴부르크여.|| ||Uralte Eichen, Dunkler Buchenhain, Grünende Birken, Umrahmen den Wiesenrain.||오래된 참나무, 어두운 너도밤나무 숲, 푸른 자작나무는, 초원의 가장자리를 경계한다.|| ||Steige hoch, du roter Adler, Hoch über Sumpf und Sand, Hoch über dunkle Kiefernwälder, Heil dir mein Brandenburger Land.||날아올라라, 붉은 독수리여, 늪과 모래 위에 높이, 어두운 소나무 숲 위에 높이, 너에게 만세를, 내 브란덴부르크여.|| ||Bauer und Bürger, vom märkischen Geschlecht, Hielten stets zur Heimat, In märk'scher Treue fest.||농부와 시민, 마르크 혈통의, 항상 고향의 편에 섰다, 마르크인의 충성심으로.|| ||Steige hoch, du roter Adler, Hoch über Sumpf und Sand, Hoch über dunkle Kiefernwälder, Heil dir mein Brandenburger Land.||날아올라라, 붉은 독수리여, 늪과 모래 위에 높이, 어두운 소나무 숲 위에 높이, 너에게 만세를, 내 브란덴부르크여.|| == 행정구역 == [include(틀:브란덴부르크/행정구역)] 취소줄이 쳐진 곳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령이 된 도시. * 독립시 * [[포츠담]](주도) * [[브란덴부르크안데어하펠]] * [[코트부스]] * [[프랑크푸르트 (오데르)|프랑크푸르트안데어오데르]] * 다메-슈프레발트 군 * 뤼벤 임 슈프레발트(군 청사 소재지) *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 메르키슈-오더란트 군 * 바트 프라이엔발데 안 데어 오데르 * 슈트라우스베르크 * 바르님 군 * [[베르나우]] * 에베르스발데(청사 소재시) * 엘베-엘스터 군 * 핀스터발데 * 오데르-슈프레 군 * 아이젠휘텐슈타트 * 에르크너 * 퓌르스텐발데 * 오버슈프레발트-라우지츠 군 * 뤼베나우 * 젠프텐베르크(군 청사 소재지) * 오버하펠 군 * [[오라니엔부르크]](군 청사 소재지) * 펠텐 * 헤니히스도르프 * 호엔 노이엔도르프 * 오스트프리그니츠-루핀 군 * [[노이루핀]](군 청사 소재지) * 비트슈토크 * 우커마르크 군 * 슈베트 안 데어 오데르 * 앙게르뮌데 * 템플린 * 프렌츨라우(군 청사 소재지) * 슈프레-나이세 군 * [[구벤]] - 강 건너 동쪽은 폴란드령이 되었다. * 슈프렘베르크 * 포르스트 안 데어 라우지츠(군 청사 소재지) * 포츠담-미텔마르크 군 * 베르더 안 데어 하펠 * 벨리츠 * 벨치히(군 청사 소재지) * 텔토 * 프리그니츠 군 * 비텐베르게 * 프리츠발크 * 페를레베르크(군 청사 소재지) * 텔토-플레밍 군 * 루드비히스펠데 * 루켄발데(군 청사 소재지) * 위테르보크 * 초센 * 하펠란트 군 * 나우엔 * 라테노 * 팔켄제 * --[[쾨니히스베르크]] 인 데어 노이마르크-- * --란즈베르크 안 데어 바르테-- * --슈비부스-- * --슈테른베르크 인 데어 노이마르크-- * --아른스발데-- * --조라우-- * --졸딘-- * --췰리하우-- * --퀴스트린-- - 일부가 퀴스트리너 포를란트라는 이름으로 메르키쉬-오데르란트 군에 남아있다. * --크로센 안 데어 오데르-- * --프리데베르크-- [[분류:브란덴부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