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붕괴: 스타레일]]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붕괴: 스타레일)]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 [목차] [clearfix] == 개요 == ||<-2>
'''{{{+1 워프}}}'''[br]{{{-1 Warp}}} {{{#!wiki style="margin-top: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5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B19872 45%, #B19872 55%, transparent 55%); width: 100%" }}}}}} || ||<#6B6C76> 언어별 표기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워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Warp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ruby(跃迁, ruby=yuèqiān)]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uby(跳躍, ruby=ちょうやく)] || 《[[붕괴: 스타레일]]》의 가챠 시스템에 설명하는 문서. 우주를 넘나들며 여행하는 설정에 맞추어 캐릭터 뽑기 및 광추 뽑기를 합쳐 '워프(Warp)'라는 용어로 대체하였다. == 사용 아이템 == === 재화 === [anchor(성옥)]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padding:2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height: 100px; width: 100px;" {{{#!wiki style="border:1px solid #ffffff;" [[파일:붕괴: 스타레일-정사각-투명-성옥.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border-bottom:1px solid #B68C61; margin: -5px -5px; padding: 5px 0px 5px 5px; font-size:1.1em" '''성옥''' }}}}}}{{{-1 희귀 화폐[br]{{{#ffc741 ✦✦✦✦✦}}}}}} || ||<-2>유성처럼 밤하늘을 가르는 빛나는 돌. 꺼지기 전에 잡아서 물건을 교환하자? ''「그것은 지혜로운 생명의 바람이 흐르는 빛이 되었다고 한다. 시간의 홍수 속에서 순식간에 꺼지긴 했지만, 잠시 나마 어둠을 밝혀주었죠?」'' || === 화폐 === [anchor(별의 궤도 전용티켓)]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padding:2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height: 100px; width: 100px;" {{{#!wiki style="border:1px solid #ffffff;" [[파일:붕괴: 스타레일-정사각-투명-별의 궤도 전용티켓.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border-bottom:1px solid #B68C61; margin: -5px -5px; padding: 5px 0px 5px 5px; font-size:1.1em" '''별의 궤도 전용티켓''' }}}}}}{{{-1 한정 워프 아이템[br]{{{#ffc741 ✦✦✦✦✦}}}}}} || ||<-2>은하열차의 직행 티켓. 특정 세계의 좌표가 기록되어 있어 목표가 확실한 승객에게 적합하다. ''「오랫동안 만나지 못한 친구가 있나요? 열차를 타고 그/그녀/그것/그분과 함께 여행을 떠나세요!」''|| [anchor(별의 궤도 티켓)]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padding:2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height: 100px; width: 100px;" {{{#!wiki style="border:1px solid #ffffff;" [[파일:붕괴: 스타레일-정사각-투명-별의 궤도 티켓.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border-bottom:1px solid #B68C61; margin: -5px -5px; padding: 5px 0px 5px 5px; font-size:1.1em" '''별의 궤도 티켓''' }}}}}}{{{-1 워프 아이템[br]{{{#ffc741 ✦✦✦✦✦}}}}}} || ||<-2>은하열차의 통행 티켓. 별의 궤도를 따라 세계를 돌아다닌다. ''「가고 싶은 곳 어디든 마음대로 가보고, 보고 싶은 사람을 만나고, 원하는 추억을 남길 수 있다」''|| === 교환 쿠폰 === [anchor(꺼지지 않는 스타라이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padding:2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35d55, #d0aa6e); height: 100px; width: 100px;" {{{#!wiki style="border:1px solid #ffffff;" [[파일:붕괴: 스타레일-정사각-투명-꺼지지 않는 스타라이트.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border-bottom:1px solid #B68C61; margin: -5px -5px; padding: 5px 0px 5px 5px; font-size:1.1em" '''꺼지지 않는 스타라이트''' }}}}}}{{{-1 {{{#ffc741 ✦✦✦✦✦}}}}}} || ||<-2>바닥의 유광이 응고되어 찬란한 보석이 되었다. ''「그 가치는 여전히 가늠할 수 없어」''|| [anchor(꺼지지 않은 잔화)]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padding:2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f4064, #9c65d7); height: 100px; width: 100px;" {{{#!wiki style="border:1px solid #ffffff;" [[파일:붕괴: 스타레일-정사각-투명-꺼지지 않은 잔화.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border-bottom:1px solid #8B65C6; margin: -5px -5px; padding: 5px 0px 5px 5px; font-size:1.1em" '''꺼지지 않은 잔화''' }}}}}}{{{-1 {{{#ffc741 ✦✦✦✦}}}}}} || ||<-2>바닥의 유광이 냉각되어 한숨의 잔화가 되었다. ''「이건 불타오른 적이 있기라도 하지」'' || == 워프 종류 == === 캐릭터 이벤트 워프 === ==== [[붕괴: 스타레일/워프/캐릭터 이벤트 워프|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붕괴: 스타레일/워프/캐릭터 이벤트 워프)] === 광추 이벤트 워프 === ==== [[붕괴: 스타레일/워프/광추 이벤트 워프|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붕괴: 스타레일/워프/광추 이벤트 워프)] === 상시 워프 === ==== 뭇별의 워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붕괴-스타레일_뭇별의_워프.jpg|width=100%]]}}} || * 워프 기간: 23.04.26.(수) ~ 영구 지속 * 튜토리얼에서 뽑는 첫 1회의 결과는 [[아스타(붕괴: 스타레일)|아스타]]로 고정이다. * 누적 300회 달성시 처음 1회에 한해 상시 5성 캐릭터중 하나를 선택하여 받을 수 있다. ==== 초행길 워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붕괴-스타레일_초행길_워프.jpg|width=100%]]}}} || * 워프 기간: 23.04.26.(수) ~ 영구 지속 * 10연차에 소모되는 별의 궤도 티켓 매수가 20% 할인되어[* 10장 → 8장] 이용이 가능하다. * 해당 워프는 50회의 횟수 제한이 있으며 50회 뽑기 이후 해당 워프는 사라진다. * '''해당 워프는 상시 300회 보상과 상시 천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래서 만약 50회 이전에 이미 5성 캐릭터를 획득했다면 티캣 수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상시로 넘어가는게 장기적으로는 이득이다.] == 확률 == [[원신]]과 동일하게 [[호요버스]] 특유의 변동확률, 첫 천장은 반천장, 천장 스택 이월 시스템 등이 적용되어 있다. 해당 시스템의 개념적인 설명은 [[원신/기원#s-4|원신/기원]] 문서의 확률 문단에 잘 설명되어 있으니 호요버스 게임이 처음이라면 해당 문서를 먼저 읽고 이해하는 편이 좋다. 원신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비슷한 점과 차이점을 서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캐릭터 워프'''}}} * 캐릭터 뽑기는 원신과 동일하다. 명목상으론 90뽑이 천장이지만 74뽑 이후부터 점차 확률 보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90까지 가지 않고 80뽑 내외의 횟수에서 나온다. 74뽑 미만까진 확률이 0.3%에 불과한 것도 같다. * 처음으로 5성이 나오면 픽업 캐릭터와 상시 캐릭터가 나올 확률이 반반이다. 만약 첫 5성에서 [[픽뚫|상시 캐릭터가 나왔다면]] 천장이 한번 리셋되고 다음 캐릭터는 무조건 픽업 캐릭터 확정인 점 역시 원신과 같다. * 반천장이든, 확천이든 일단 픽업 캐릭터를 먹었다면 리셋되어 다음 5성은 다시 상시 반 픽업 반으로 돌아가는 시스템 역시 원신과 동일하다. 즉 첫 천장 구간(74~90뽑)은 반반 확률로 픽업 캐릭을 노릴 수 있다는 뜻에서 '반천장', 그리고 두번째 천장 언저리 구간(148~180뽑)은 픽업 캐릭터가 확정이라는 뜻에서 확정 천장, 즉 '확천'이라고 부른다. * 만약 '74뽑 미만'에서 픽뚫 캐릭터가 나오면 차라리 낫다고 하는 점도 같다. 물론 거기서 픽뚫이 안나오고 픽업이 나왔으면 더 좋겠지만 기왕 픽뚫이 나올거면 빨리 나오는게 '픽업 획득'을 위한 뽑기 숫자를 줄여주기 때문. 예를 들어 10~20뽑만에 픽뚫 캐릭터가 나왔으면 픽업 캐릭터는 최대 100~110뽑 만에 먹게 되는 셈이다. * 천장 가챠 스택은 계속 이월이 된다. 예를 들어 만약 아무 픽업 기간에 캐릭터 가챠에 30뽑을 해놨으면 다음엔 50뽑 정도만 해도 5성을 볼 수 있다. {{{+1 '''광추 워프'''}}} * 광추 뽑기도 전체적인 과정은 동일하지만, 원신 유저들이 혀를 내두르는 악명 높은 '''궤도 시스템이 없다'''. 때문에 원신의 무뽑보다는 좀더 낫다는 소리를 듣는다. * 스타레일의 광추 픽업은 픽뚫 확률이 반의 반이 되고(25%) 픽뚫로 상시 캐릭터 대신 상시 광추가 나온다. 픽뚫 다음엔 캐릭터 뽑기와 똑같이 다음 천장엔 무조건 픽업 광추가 뜬다. 궤도 시스템이 없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대신 픽뚫 확률이 1/2이 아니고 1/4이기 때문에 픽뚫 당했을 때의 충격은 더 크다. * 원신과 마찬가지로 표기상으론 '80뽑 천장'으로 표시되지만, 정확히는 77뽑에 100%로 나오는 점도 동일하다. 또한 확률업 구간은 63뽑 이후부터이며 이것도 원신과 같다. * 캐릭터 뽑기와 마찬가지로 광추 뽑기 역시 픽뚫 여부 및 가챠 스택은 다음 픽업 시즌에도 이월이 된다. 원신 역시 이점은 동일하지만 원신은 '신의 궤도'가 이월되지 않기 때문에 이월을 잘 생각하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스타레일은 궤도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광추도 캐릭터처럼'''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뚫이 나도 다음 확천을 노리면 되니 조금씩 가챠를 질러보는 식. == 여담 == * 뽑기 결과에 포함된 가장 높은 등급의 아이템의 등급에 따라 연출이 미묘하게 다르다. * 문이 열릴 때 뿜어져 나오는 빛이 3성은 파랑, 4성은 보라, 5성은 노랑이다. * 3~4성이 나올 땐 폼폼이 문 옆으로 비켜주지만, 5성이 나올 땐 문이 열릴 때 돌풍이 발생해 폼폼이 엎어진다. * 5성은 흘러나오는 BGM의 멜로디가 다소 다르다. (3/4성 연출은 낮은 음에서 높은 음으로 올라가며 반복되는 반면, 5성은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내려가며 반복된다) * 5성은 처음에 티켓이 날아갈 때 RGB 채널이 어긋난 듯 색수차가 들어가 흐릿하게 보인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붕괴: 스타레일, version=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