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붉은 눈)] [목차] == 설명 == [[파일:真紅き魂.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붉은 눈 소울, 일어판 명칭=真紅き魂(レッドアイズ・ソウル), 영어판 명칭=Red-Eyes Soul, 레벨=7,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900, 수비력=2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③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카드명은\, 필드 / 묘지에 존재하는 한 "붉은 눈의 흑룡"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상대가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패 /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붉은 눈 소울" 이외의 "붉은 눈"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자신 / 상대 턴에\, 자신 필드의 "붉은 눈의 흑룡"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①의 효과는 필드 / 묘지에서 [[붉은 눈의 흑룡]]으로 취급하는 효과. [[흑염탄]]을 비롯하여 붉은 눈의 흑룡 카드명을 지정하는 카드의 서포트를 받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가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패 /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패 / 덱의 다른 붉은 눈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동명 카드가 아니라면 어떤 몬스터든 소환할 수 있으므로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을 위시한 다양한 붉은 눈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문제는 발동 타이밍이 상대에 의존한다는 점. 특수 소환이 대세인 듀얼인 만큼 발동 조건을 만족시키는 건 쉽겠지만, 이 효과는 상대 턴에 발동될 가능성이 높은데 붉은 눈 몬스터는 상대 턴 견제 능력이 전혀 없어 소환만 하고 그 이상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 이론상 붉은 눈의 철기사 기어프리드가 마법/함정 파괴 효과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장착 카드가 있어야 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얕은 무덤]] 등 자신 턴에 상대에게 특수 소환을 시키는 카드와 같이 쓰면 자기 턴에도 쓸 수 있긴 하나, 그런 카드를 채용해서까지 사용할 만한 수준의 효과는 아니다. ③의 효과는 듀얼 중 단 한 번, 서로의 턴에 자신 필드의 붉은 눈의 흑룡 1장을 대상으로 하고 그 원래 공격력만큼 데미지를 주는 효과. 몬스터판 [[흑염탄]]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 자신을 붉은 눈의 흑룡으로 취급하므로 필드에 혼자 나와 있어도 데미지는 줄 수 있으나 원래 공격력이 900밖에 안되기에 되도록이면 다른 몬스터랑 같이 쓰는 것이 좋다. [[붉은 눈 융합]]으로 소환된 융합 몬스터는 "붉은 눈의 흑룡"으로 취급받으므로 2400 이상의 데미지를 넣는 것도 가능하며, [[유성룡 메테오 블랙 드래곤]]은 자체 효과로 데미지를 추가로 줄 수 있어 이 카드를 소환할 수만 있다면 4000 이상의 데미지도 기대할 수 있다. 붉은 눈 융합을 발동한 턴에는 몬스터를 추가로 소환할 수 없으므로 상대 턴에 이 카드를 소환할 수단을 따로 준비해야 할 것이다. 중요한 점은 '''듀얼 중에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 2000 이상의 데미지를 계속해서 줄 수 있다면 너무 강력하므로 어느 정도는 어쩔 수 없는 조정이라고는 하나, 감안하더라도 단 한 번의 데미지로서는 아쉬운 것이 사실이다. 이 효과로 줄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치는 아흑룡의 유언 효과로 부활 시킨 오리지널 붉은 눈의 흑룡의 공격력 4800.[* 아흑룡의 효과로 되살아난 흑룡은 "원래 공격력"이 두 배가 되기에 이 효과로도 4800의 데미지를 고스란히 줄 수 있다.] 종합하면 [[붉은 눈의 아흑룡]]에 비하면 훨씬 강한 카드인 것은 분명하지만, 흑룡덱 카드풀 중에서 상대 턴에 유의미한 견제를 할 수 있는 몬스터가 사실상 없다보니 그 가치를 살리기 어렵단 점이 안타까운 카드.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는 오랜 시간 동안 실장되지 않다가, 2023년 8월 29일에 출시되었다. 일러스트는 한쪽 팔과 날개가 잘려나간 붉은 눈의 모습. [[마리크 이슈타르|마리크]]에 의해 세뇌된 [[죠노우치 카츠야|죠노우치]]와 [[무토우 유우기|유우기]]와의 싸움때의 모습이다. 공수 수치도 [[로켓 전사]]와 소모전 콤보에 의해 깎인 그 수치 그대로 나왔다.[* 로켓 전사의 효과에 의해 500 포인트 깎인 뒤, 소모전의 효과로 로켓 전사의 공격력 1500만큼 추가로 깎였다. 그 뒤 로켓 전사의 효과는 턴이 종료되며 사라져서 최종 공격력은 900.] ②의 효과는 유우기 vs 카이바 배틀시티 준결승전에서 [[카이바 세토|카이바]]가 [[드래곤의 제왕|드래곤을 부르는 피리]]로 [[푸른 눈의 백룡]] 두 체를 불러냈을 때 유우기도 패에서 흑룡을 소환한 장면을 재현한 것으로 추측된다. ③의 효과는 유우기가 스스로 패배하는 길을 택하자[* 정령의 거울로 데스 메테오를 잡아놓고 있었다.] 세뇌에서 풀려난 죠노우치가 붉은 눈의 흑룡에게 자기를 공격하라 외쳐서 무승부로 끝낸 것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데스 메테오]]의 디메리트 효과로 나왔다.] 또한 카드명이 붉은 눈 소울인 것은 유우기가 카이바와의 준결승 때 붉은 눈의 흑룡을 소환하면서 '''"죠노우치한테서 받은 영혼의 카드"'''라 언급한 것, 열받은 카이바가 '''"사라져라 죠노우치의 망령!!!"'''이라 외치자 '''"영혼은 사라지지 않아!!!"'''라 받아친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 ||<(>2022-05-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C01-KR005 | '''[[히스토리 아카이브 컬렉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2022-02-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HC01-JP005 | '''[[히스토리 아카이브 컬렉션|HISTORY ARCHIVE COLLEC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2023-03-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AZE-EN012 | '''MAZE OF MEMORI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관련 카드 == === [[붉은 눈의 흑룡]] === [[분류:붉은 눈]][[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