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3 '''붉은 노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O2Ve4nhNtk?si=0IKWzjJ9Q75dCUfF)]}}}|| || '''발매''' ||[[1988년]] [[9월 15일]] || || '''수록음반''' ||[[이문세 5집]] || || '''길이''' ||3분 49초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수 [[이문세]]의 노래. [[1988년]] [[9월 15일]] 발매된 [[이문세 5집|5집 음반]]의 수록곡으로 작사와 작곡은 [[이영훈(음악가)|이영훈]]이 했다. 경쾌한 발라드 장르의 노래로서 [[2008년]] 당시에 [[BIGBANG]]이 리메이크한 버전과 함께 대한민국의 노래방 애창곡 중 하나인 명곡이다. == 가사 == || {{{#A4B19D '''붉은 노을'''}}} || || 붉게 물든 노을 바라보면 슬픈 그대 얼굴 생각이 나 고개 숙이네 눈물 흘러 아무 말할 수가 없지만 난 너를 사랑하네[* 난 너를 '''사랑해'''는 리메이크 하면서 바뀐 부분이다. 윤도현 버전에서도 '난 너를 사랑해'로 나온다.] 이 세상은 너 뿐이야 소리쳐 부르지만 저 대답 없는 노을만 붉게 타는데 그 세월 속에 잊어야 할 기억들이 다시 생각나면 눈 감아요 소리 없이 그 이름 불러요 아름다웠던 그대 모습 다시 볼 수 없는 것 알아요 후회 없어 저 타는 노을 붉은 노을처럼 난 너를 사랑하네 이 세상은 너 뿐이야 소리쳐 부르지만 저 대답 없는 노을만 붉게 타는데 어디로 갔을까 사랑하던 슬픈 그대 얼굴 보고 싶어 깊은 사랑 후회 없어 저 타는 붉은 노을처럼 난 너를 사랑하네 이 세상은 너 뿐이야 소리쳐 부르지만 저 대답없는 노을만 붉게 타는데 그 세월 속에 잊어야 할 기억들이 다시 생각나면 눈 감아요 소리 없이 그 이름 불러요 아름다웠던 그대 모습 다시 볼 수 없는 것 알아요 후회 없어 저 타는 노을 붉은 노을처럼 난 너를 사랑하네 이 세상은 너 뿐이야 소리쳐 부르지만 저 대답 없는 노을만 붉게 타는데 난 너를 사랑하네 이 세상은 너 뿐이야 소리쳐 부르지만 저 대답 없는 노을만 붉게 타는데 || == 리메이크한 사람들 == || 음반 정식 발매를 통한 리메이크 사례만 기입 가능합니다. || * [[신화(아이돌)|신화]] * [[M.C The Max]] * [[YB]] * [[양파(가수)|양파]]&[[하현우]] * [[BIGBANG]] - [[붉은 노을(BIGBANG)]] 참조. 이문세와 함께 원곡과 리메이크 곡을 콜라보를 해서 콘서트까지 한 적이 있었다. * [[MC 스나이퍼]]&[[테이크원]] * [[윤하]] * [[마야(가수)|마야]] * [[AKMU|악동뮤지션]] * [[박재범]] * [[김장훈]] * [[Apink|에이핑크]] * [[유리상자]] * [[버블 시스터즈]] * [[위키미키]] * [[박재민(배우)|박재민]] * [[드림노트]] == 여담 == * 전 [[kt wiz]] 소속 외야수 [[이진영]]의 현역 시절 등장곡이었다. 단, 이 쪽은 빅뱅 버전이다. * 전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 소속 외야수 [[정의윤]]의 응원가이기도 했다. [youtube(x3dVd1L9JQA)] *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심상정]]의 [[로고송]] 중 하나이기도 하였다. 지방선거에서도 나온다. [youtube(HL9xb7J_XtU)] * 인천 계양 을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재명]]의 로고송으로도 쓰였다. [youtube(EkVQYnOUaBk)]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의 메인 응원가는 이 곡을 개사한 것이다. * [[히든싱어]] '이문세' 편 3라운드 미션곡으로 선정되었다. [Youtube(l4D1GBulvN8)] * [[tvN]] 개국 10주년 기념 시상식 '[[tvN10 Awards]]'에서 축하공연으로 불렀다. 현장에 있던 모든 가수, 배우, 예능인들을 열광시켰다. [Youtube(laTwNsKrGrE)] * 아재 테스트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붉은 노을"로 운을 뗐을 때 BIGBANG이 나오면 [[신세대]], 이문세가 나오면 [[아재]] 이런 식이다. 하지만 BIGBANG의 곡도 2008년에 나온지라 흔히 말하는 '신세대 노래'와는 거리가 좀 있다. 오히려 [[응답하라 1988]]로 원곡이 더 유명하다. 현재 40대 이상은 이문세의 원곡이 더 익숙하고 20~30대는 빅뱅의 리메이크 곡이 더 익숙하다. 하지만 10대의 경우 이도저도 아니라 붉은 노을 자체를 모르거나 오히려 빅뱅보다 이문세의 원곡을 더 잘 아는 경우도 종종 있으며, 보통 10대들은 이문세의 원곡과 빅뱅의 리메이크 버전을 모두 아는 경우가 많다. 또한 20~30대도 이문세 노래를 알거나 그 외의 세대도 빅뱅 노래를 아는 경우도 있어 세대차이가 줄어들었다. [[알쓸신잡]]에선 [[김영하]] 작가가 이 노래가 아닌 [[https://youtu.be/lbQafLzlGq4|동학농민가]]를 말하기도 했다. * 금영, tj 반주기의 음정은 각각 E♭, D로 모두 원곡(E)보다 내려가 있다. [[분류:이문세]][[분류:1988년 노래]][[분류:가요]][[분류:한국 노래]][[분류:이영훈(음악가)]][[분류:KBS 방송 금지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