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 불굴의 로나스 == || '''영어판 명칭''' || '''Rhonas the Indomitable''' ||<|6>[[파일:Rhonas the Indomitable.png]]|| || '''한글판 명칭''' || '''불굴의 로나스''' || || '''마나비용''' ||<:>{{{#black {2}{G}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전설적 생물 — 신 || ||<-2>치명타, 무적[br][br]당신이 공격력이 4 이상인 다른 생물을 조종하지 않는 한, 불굴의 로나스는 공격하거나 방어할 수 없다.[br][br]{2}{G}: 다른 생물을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은 턴종료까지 +2/+0을 받고 돌진을 얻는다.|| || '''공격력/방어력''' || 5/5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아몬케트]] || 미식레어 || 아몬케트 세트에 등장한 다섯 신 중 녹색의 신. [[http://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7964210&memberNo=21513538|공식사이트 참조]] 상징하는 것은 --귀여움과 똘망똘망한 눈-- 강력한 육체와 강력한 정신력 양쪽 모두를 아우르는 '''힘''' 자체를 대표하는 신으로 그의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육체적인 기량과 함께 공포에 맞서 꺾이지 않는 의지를 가져야만 한다고 한다. 또 뱀같이 생긴 모습에서 볼 수 있듯 로나스를 따르는 자들은 독에 관한 공부도 심도 있게 하고 있다. 대표적인 인물이 [[독의 고관 하파트라]]. 디자인상 모티프는 이집트의 뱀 형상을 한 신탁의 여신인 와젯과 코브라 머리를 한 풍요의 여신인 레네누테트. 카드의 성능은, 2턴부터 [[키란의 심장|폭격기]]가 날아다니는 환경에서 장승마냥 멀뚱멀뚱 서있는 아몬케트의 다섯 신들 중 두 번째로 성적이 나오는 신이라고 할 수 있다. 아몬케트의 신들은 전부 발비 대비 능력치는 무지하게 강해보이지만 공격/방어 조건이 너무 까다로워서 실사용이 힘든데, 로나스는 아몬케트의 다섯 신들 중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게 가장 쉽다는 게 차별적인 장점. 특히 샤이니의 [[램홀트 평화주의자]]도 컨스에서 꽤 활약했던 걸 생각하면 로나스 말고 다른 공 4 생물 하나를 조종하는건 아주 어려운 조건은 아니고 공 2 생물 하나 정도만 있어도 2G로 바로 공격력 2+돌진 버프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단독으로 쉽게 페널티를 없애고 공격/방어를 할 수 있다. 결국 2017년 7월 현재 카킹카 12불 정도로 아몬케트의 다섯 신들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중. 아직 스탠 우승 덱은 없어도 컴퍼니에 한장 껴들어간 모던 4강 덱도 등장했다. 현재는 디보티드 컴퍼니의 무한마나 처리수단으로 가끔 보인다. ~~[[https://m.dcinside.com/board/mtg/23559|로나스는 오랜 지병인 로테아웃으로 쓰러졌다]]~~ == 로나스의 최후의 저항 == || '''영어판 명칭''' || '''Rhonas's Last Stand''' ||<|5>[[파일:external/media.wizards.com/en_BD8Ez3Ftte.png|width=230px]]|| || '''한글판 명칭''' || '''로나스의 최후의 저항''' || || '''마나비용''' || {G}{G}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집중마법 || ||||5/4 녹색 뱀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든다. 당신이 조종하는 대지들은 당신의 다음 언탭단에 언탭되지 않는다. ''로나스는 마지막 숨결을 내뱉은 이후에도 계속해서 싸웠다.'' ||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파멸의 시간]] || 레어 || 파멸의 시간에서 등장한 아몬케트 신들의 분투 사이클 카드들 중 녹색 신 로나스의 최후를 나타내는 카드.로나스가 [[니콜 볼라스]]의 꼭두각시가 되어버린 [[전갈 신]]과 싸우다가 그의 독침에 의해 죽어가던 상황에 썼던 마지막 주문이다. '''2마나 5/4'''라는 건 발비 대비 흠좀무한 성능이긴 한데 페널티로 다음턴 대지 언탭이 불가능한 덕분에 2턴에 쓰면 3턴도 놀아야 하고. 자체적으로 디나이얼 내성 같은 것도 있는 게 아니라 역소환을 당하든지 [[어둠의 손아귀]] 같은 디나이얼을 맞으면 손해가 극심하다는 점에서 쓸지는 모르겠는 카드. 물론 비슷한 카드인 알비노 트롤도 분명 쓰긴 했던 건 맞는데... --20년 전에..-- 매직 더 개더링 공식 사이트의 로나스 최후의 저항 칼럼에서는 두 개를 한 턴에 캐스팅하더라도 '''다음 턴''' 대지 언탭만 봉인되므로 4턴에 두 장을 써서 페널티를 최소화하라는 식으로 사용법을 조언하고 있다. LSV의 카드 평가는 컨스 2.5점으로 컨스에서도 간혹 보일 카드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현실은 저런 공방만 센 토큰들은 전부 [[치명적 밀치기|스파르타]] 당했기에 아무도 쓰지 않았다... == 신 영생자 로나스 == || '''영어판 명칭''' || '''God-Eternal Rhonas''' ||<|5>[[파일:로나스.jpg|width=223]]|| || '''한글판 명칭''' || '''신 영생자 로나스''' || || '''마나비용''' || {3}{G}{G}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전설적 생물 — 좀비 신 || ||||치명타 신 영생자 로나스가 전장에 들어올 때, 턴 종료까지 당신이 조종하는 다른 각 생물들의 공격력을 두 배로 한다. 그 생물들은 턴종료까지 경계를 얻는다. 신 영생자 로나스가 죽거나 전장에서 추방 영역에 놓일 때, 당신은 신 영생자 로나스를 소유자의 서고 맨 위에서 세 번째에 놓을 수 있다.|| || '''공격력/방어력''' || 5/5 ||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플레인즈워커 전쟁]] || 미식레어 || 영생자가 된 로나스. 모노그린이나 그룰에서 피니셔로 고용하기 딱 좋다. 한 가지 흠이 있다면 돌진 대신 경계를 주기 때문에 이렇게 공격력을 불려도 여전히 상대의 자잘한 생물들에게 막힐 가능성이 있다는 것. 결국 [[Cavalier of Thorns|가시의 기수]]에게 밀려 버렸다. 게임을 끝내버리고 싶다면 대체로 종말의 파괴 선봉이나 [[파멸의 대단원]]을 채용하지, 이건 안 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tg&no=222316|1년 이후, 로테아웃 이후 좀비로 되살아나 자기 장례를 치러준 갈타의 장례를 치러줬다]]~~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아몬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