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약, 협약, 협정]] [목차] == 개요 == Treaty of Non-aggression(不可侵條約). [[국가]]가 상호간에 [[독립]]을 존중하여 무력 공격을 하지 않을 것을 약정하는 [[조약]]. == 역사 ==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로부터 국가와 국가간의 협정은 1. '''[[적의 적은 나의 친구|힘을 합쳐]] [[공공의 적|적국]]을 때린다'''(동맹) 1. (당사국이 다른 나라와 싸우면) '''당사국의 편을 들어준다'''(상호원조) 1. '''그만 싸운다'''([[휴전]] 또는 종전) 정도로만 나타났다. 그 이유는 1. 강자와 약자가 뚜렷했다. - [[강대국]]이 [[약소국]]을 집어 삼키는 시대로써, 국가에게 아군 아니면 적국밖에 없던 시기였다. 1. 조약을 확인하고 조정할 [[국제기구]]가 없었다.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연맹]]이 등장할 때 까지 이러한 국가간의 협정을 감시할 국제기구가 없었다. 1. 강대국끼리의 [[전쟁]]을 하는 것 보다, 비어있는 [[제국주의|식민지를 확보하는 것이 훨씬 이득이었다.]] 결과적으로 국가의 [[이익]]을 위해서만 움직이지, 그 이익이 상충되지 않는다면, 상대방에 대해서 크게 [[관심]]이 없었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그래서 위의 3가지 협정 형태와 다르게 나타난 것도 [[파쇼다 사건]] 이후에, 맺어진 영프협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들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로 무너진다. 1차 대전의 시발점은 [[사라예보 사건]]이지만, 그 뿌리에는 [[식민지]] 자체는 먹을 수 있는 만큼 다 먹어서 더 이상 식민지가 없는데,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식민지를 풍족하게]] [[독일 제국|차지하지 못했던 국가]]와 [[영국|이미 풍족하게]] [[프랑스|차지한 국가]]간의 [[갈등]]이 이미 한계점을 넘어섰다는 것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럽]]은 그 갈등의 대가를 피로 치렀다. 재발방지책이 필요하다 생각한 국가들은, [[베르사유 조약]] 이후에도 '비록 자신들의 이득과는 상충되지만, 자신들의 안위를 위해서, '''잠재적 적대국과의 전쟁 가능성을 배제'''하는 안전보장 수단'을 만들어야 했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불가침조약이다. 그래서 불가침조약은 1920~[[30년대]] 시작되었고, 그 즈음에 약소국들을 중심으로 크게 성행하였다. == 한계 == 불가침조약 자체가 국가들간에 개별적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한계 역시 뚜렷해서, 국가간 혹은 국가 사이에 중재를 하는 국제기구가 불가침조약 내용 위반에 대해 효과적으로 제재하지 못한다면 정세 변화에 따라서 파기되기도 쉬웠다. 이러한 문제가 가장 크게 대두된 계기는 [[체코슬로바키아|회원국]]의 [[주권]]이 침해당하는데 당시 가장 큰 [[국제연맹|국제기구]]의 [[상임이사국]]이자 그 회원국의 [[동맹]]이라는 [[영국]], [[프랑스]]가 도리어 [[녹색 작전|주권을 침해하려는]] [[대독일국|비회원국]]에게 [[힘]]을 실어준 [[뮌헨 협정]]이었다. 이는 국가간의 조정을 해야 할 국제기구가 제 능력을 상실했으며 '''더 이상의 불가침조약은 의미가 없다'''는 뜻이었다. 결국 이 사건 이후로 [[네빌 체임벌린|누구]]는 자신의 [[시대]]에 [[평화]]를 확보했다고 생각했지만, [[현실]]은 국가들간의 [[연합국|이합]][[추축국|집산]]과 [[독소 불가침조약|새로운 판짜기]]를 통해 탄생한, [[제2차 세계대전|다시는 일어나선 안되는 피바람]]이었다. 한때 [[북한]]과의 전쟁을 막기 위해 불가침 조약을 맺어야 한다는 주장이 꽤 유행했다. 그러나 북한의 최근 행적에서 조약을 맺어도 얼마 안 가 파기할 것이라는 것이 금세 유추되기 때문에 잊히고 말았다. 불가침조약은 두 국가간의 조약이라 이를 어겨도 제재할 방법이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뚜렷한데다가 [[유엔]] 발족 이후에는 무력 행사 금지 원칙([[유엔 헌장]] 2조 4항, 7장)에 따라 침략 전쟁은 [[국제법]]상 당연히 불법이 되었다. 때문에 원칙적으로 유엔 가입국은 모든 국가가 서로에 대해 불가침 조약을 맺은 셈이다. 그럼에도 전쟁을 벌이려는 국가는 어차피 국제법을 어기면서 시작하는데 그깟 상호 불가침조약 따위가 무슨 실효성이 있냐는 의문이 제기되면서 [[1945년]] 이후 체결된 불가침조약은 단 한 건도 없다. 공식적인 마지막 불가침 조약은 2차대전이 한창인 [[1941년]] [[6월 18일]] 체결된 [[나치 독일]]-[[터키]]간의 불가침 조약이다. == 불가침조약 목록 == * [[독소 불가침조약]]: 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항목.[* 물론 결과는 다들 [[독소전쟁|알다시피...]], 나치독일은 소련에게 침공 직전까지 기름마저 뜯어간,,,,] * 소·일 불가침조약: 이 조약의 연장이 실패하여 나타난 것이 [[만주 작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