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북한/IT)] [include(틀:북한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북한의 이동통신에 관한 내용. == 역사 == 북한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2002년에 [[태국]]의 통신사를 통해 [[GSM]](세계 무선 통신 시스템)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암살시도로 폭발물의 기폭장치로 휴대폰이 사용되었다고 본 [[룡천역]] 폭발사고 때 [[김정일]]이 목숨을 잃을 뻔한 일 때문에 핸드폰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 2008년도에 핸드폰 사용 금지령이 풀리게 되면서 설립된 업체가 [[고려링크]]였다. 사용 금지령 이전에 사용된 GSM 방식의 망은 외국인 전용인 [[선넷]]으로 발전되었다가 고려링크와 통합하는 형태로 폐지되었다. 이후 고려링크 단독으로 북한에서 [[이동통신]] 사업을 진행했으나 2013년도에 [[강성네트망]]을 북한 당국이 추가적으로 설립하였다. 이후 2015년도에 들어서면서 북한 당국이 고려링크를 견제할 의도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던 공기업인 [[별(북한 통신회사)|별]]을 제 3 이동통신 사업자로 선정하였다. [* 북한 당국이 제 3의 사업자 선정은 사실상 북한의 휴대전화 시장을 독점해온 체신성과의 해외합작법인 [[고려링크]]를 견제하려는 의도가 있으며 북한의 새 사업자 선정은 고려링크의 최대주주인 이집트계 통신사 오라스콤 지분을 축소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한다. 북한이 고려링크와 별의 합병을 통해 현재 75%인 오라스콤의 고려링크 지분율을 대폭 줄이려 한다는 것.][[http://www.pcworld.com/article/3005838/how-a-telecom-investment-in-north-korea-went-horribly-wrong.html|#링크]] ~~사실 예나 지금이나 [[카더라 통신]] 사용자가 [[넘사벽]]으로 많다 카더라~~ [[파일:KakaoTalk_20220601_130913472.jpg]] 2022년에 북한이 새로운 이동통신 서비스를 개발중인 것이 확인되었다. IMS 방식(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인 것으로 추정된다. == 커버리지 == 위에 소개된 3대 통신사는 명목상 북한 전역에서 서비스 한다고 되어있으나, '''실상은...''' ||[[파일:Screenshot_20181128-121930.png|width=100%]]||[[파일:Screenshot_20190724-134520.png|width=100%]]|| 국토 전체가 이동통신 전파로 거의 빈틈없이 촘촘한 한국과는 달리 북한의 상황은 참담하다. [[평양]]을 제외하고 커버리지가 북한 전역이라고 하기엔 한참 부족한 상황이다. [[2023년]] 11월 기준 산골과 탄광 마을에도 기지국을 성치하는 중이다.[* 한 북한 주민의 말로는 이는 손전화(휴대전화) 사용자가 증가한다 해도 전파가 약해 통화량이 줄어들면 국가가 징수하는 통신요금이 적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https://www.rfa.org/korean/in_focus/food_international_org/nkcellphonetower-11292023092742.html|#]] == 북한의 핸드폰 요금 체계 == === 납부 방법 === 북한의 핸드폰 요금은 3대 이동통신사 전부 전신전화국이나 [[우체국|우편국]]에 납부하는데, 선불로 최소한 북한 돈 5,000원[* 대한민국 [[화폐|돈]]으로 환산하면 약 2200원 정도 된다.] 이상을 납입한 뒤 [[선불폰|필요할 때마다 충전하여 쓴다]]. 정해진 납입시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충전된 금액이 통화할 때 바로 빠져나가는 방식이다. ~~고객이 언제 숙청될 지 알 수 없으니까 후불제를 도입할 수 없다 카더라~~ === 요금제 === 북한의 휴대폰 통화요금은 1분에 1달러(북한 돈 3500원 정도) 정도이다. 59초 이하도 1분으로 간주하는데, 예를 들어 3분 1초 동안 통화를 하면 4분 동안 통화한 것으로 되어 4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요금을 낼 때 [[평양]]의 잘 사는 일부 계층은 [[미국 달러]]나 [[유로]]로 지불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북한 원화]]로 지불한다. 데이터 요금제의 경우 50'''MB''' 당 [[창렬|120달러라고 한다.(...)]] 제1 사업자인 고려링크의 경우에는 통신사가 외국과 체신성의 [[합자회사]]이기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북한돈]]으로 납부하는 경우 [[환율]]을 적용해야 하는데, 북한에서 통용되는 3가지 환율 중 외화교환소의 환율을 적용한다. 외화교환소의 환율은 장마당 환율인 실질 환율에 가까우면서도 북한 당국이 공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단말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휴대 전화/북한)] == 메신저 == 북한에서 인터넷만 된다면 남한으로의 [[카카오톡]]이 가능하다고 한다. 기술적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다. 실제로 대북사역 및 통일운동을 하는 한 재미교포 목사가 평양에서 서울로 카톡을 보낸 내용이 공개되었다.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849|#]] 물론 이에 따라 [[간첩]]들이 카카오톡을 이용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되었으나, 북한의 이동통신 체계의 문제로 인해 활용하는 일이 거의 없을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083|#]] --일단 앱스토어가 안 열린다(...)-- 2021년 북한에서 전체주의 폐쇄적 국가답게 카카오톡, 텔레그램 같은 자체 내부 메신저 프로그램과 브라우저를 개발하고 있는 기사가 나왔다. [[http://www.nk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50|#]] == 사업자 == [include(틀:북한의 이동통신사)] * [[고려링크]] * [[강성네트망]] * [[별(북한 통신회사)]] [[분류: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