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oothsomeEmptyFantasticSkate, 합의사항1=표제어를 '북한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로 하기로)] [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2>
<#114BAE> '''{{{+3 북한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 }}}'''[br][[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fff 북한}}}]]의 우주 발사체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한 군사정찰위성 발사체.jpg|width=100%]]}}}|| ||<-2> 2022.12.18 발사체 발사 장면 || || '''북한 명칭''' ||미상 || || '''용도''' ||2023년 4월에 발사될 [[정찰 위성]]의 통신, 촬영 기능 탑재체의 성능검증 || || '''개발''' ||[[NADA]](국가우주개발국) || || '''단 수''' ||(추정) 2단 (1단 : 화성-7형, 2단: 정찰위성 시험탑재체)[*N 독일의 미사일 기고가 [[http://www.b14643.de/Spacerockets/Specials/NADA's_small_launcher/index.htm|Norbert Brügge의 추정치]]] || || '''길이''' ||(추정) 15.4m[*N] || || '''발사 플랫폼''' ||(추정) 15m 길이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 플래넷 랩스 위성사진에 따른 분석. 분석 기관에 따라 다른 분석과 충돌할 여지가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이 2023년 4월 중에 발사될 정찰위성의 탑재체를 시험하기 위해 개발된 발사체이며 2022년 12월 18일, 북한이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2개의 발사체를 쏘아 올리면서 가시화 되었다. 해당 발사에 쓰인 로켓에 대해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규정하였다. 조선중앙통신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해당 시험 탑재체에는 다음과 같은 페이로드가 탑재되어있다고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219006951504?section=politics/all|#]] * 20M 분해능의 가시광 촬영 시험체 * 다 스펙트럼 촬영기 * 영상 송수신,통신 시스템 * 조종장치와 축전지 등의 에비오닉스 기기 해당 위성 시험품은 이 문서의 전용 발사체로 고각 발사되어 고도 500km로 발사되었으며 이를 통해 정찰위성 발사에 있어서 최종관문공정을 거쳤다는 발표와 함께 2023년 4월에는 정찰위성을 발사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 상세 == 2022년 12월 19일, '동창리'로도 알려진 [[서해위성발사장]] 인근에서 2차례 시험 발사 되었다. 북한은 자기들이 촬영한 정찰 위성 이미지도 공개했다. [[서울특별시]]와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일대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천광역시]] [[연수구]], [[중구(인천광역시)|중구]], [[동구(인천광역시)|동구]], [[서구(인천광역시)|서구]], [[부평구]],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시흥시]] 일대.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한 군사정찰위성 촬영 주장 사진.jpg|width=100%]]}}} || || 북한이 주장하는 군사정찰위성 시험품의 촬영 이미지 || 또한 '''2023년 4월까지 1호기를 쏘겠다'''고 공언했다. 4월 15일은 [[태양절]]이고, 4월 25일은 조선인민군 창건기념일이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2.12.18.자 서해위성발사장 위성사진.jpg|width=100%]]}}} || || 민간위성에 포착된 2022.12.18. TEL 2대 전개 모습 || 2023년 1월 18일, 미국의 민간위성 [[플래닛 랩스]]가 [[서해위성발사장]]의 2022년 12월 18일 11시 2분[* 대한민국 표준시 기준.]자 촬영 영상정보를 공개했는데, 시험 발사체를 탑재한 발사체 TEL이 포착되었다. [[https://twitter.com/DaveSchmerler/status/1615848115759636483|#]]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다고 해놓고, 미국 민간위성에 그것이 포착된 꼴. VOA에서 상세히 [[https://www.voakorea.com/a/6925889.html|보도]]하였다. 덕분에 미사일의 발사 플랫폼이 TEL이라는 것과, TEL 길이, 발사 지점을 알 수 있게 되었다. == 평가 == === 대한민국 및 서방의 평가 === * 발사에 쓰인 로켓은 기존의 [[은하 3호]] 등 은하 계열 운반 로켓보다는 더 작다. 형상도 끝이 뭉툭해진 [[탄도 미사일]]의 형상에 더 가깝다. 이런 모습은 [[화성-17]]과 [[화성-15]]를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가칭 [[은하-X]]와는 거리가 먼 데, 이는 화성-17과 화성-15에 활용된 기술이 인공위성 발사에 사용 가능할만큼 안정화되지 않았거나 비용부담 문제로 더 저렴한 발사체를 사용해야 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래 김여정의 반응에서 나오는것처럼 애초에 시험체를 발사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저렴한 발사체를 이용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 시험발사체의 원본 미사일(엔진)에 대한 평가도 제시되었다. * 이스라엘의 발사체 및 미사일 전문 기고가인 Tal Inbar은 [[https://twitter.com/inbarspace/status/1604602489017434112|본인의 트윗]]에서 SCUD-C와 동형인 [[화성-6]]이 원본 미사일이라고 평가했다. * 평양 열병식 참관을 통해 노동 미사일의 제식 명칭이 화성-7임을 밝혀냈던 미사일 평론가 Taepodong은 [[https://twitter.com/stoa1984/status/1604819797971292160|본인의 트윗]]에서 SCUD가 아닌 [[화성-7]]이 원본 미사일이라고 평가했다. 미사일 후면 끝 부분의 케이블 박스의 형상이 다른 것이 [[https://twitter.com/stoa1984/status/1604905083388526595|논거]]이다.[* 그가 근거로 든 사진은 화성 미사일의 영향을 받은 이란의 [[키암]]이다.] * 독일의 미사일 기고가 Norbert Brügge도 화성-7이라는 평가를 내놓았다.[*N] * 공개된 정찰위성 시험체의 스펙은 해상도가 20M수준으로 나와 정찰위성은 커녕 상업용 위성에서 촬영한 사진보다 매우 조잡한 수준으로[* MAXAR등이 굴리는 현대의 상업용 위성 이미지 촬영용 위성은 다스펙트럼 영역대에서 1M정도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 국가단위에서 관리하는 영상위성들은 CM단위의 해상도에서 놀고있다. 당장 우리나라가 1999년에 발사한 [[아리랑 위성|아리랑 1호]]의 해상도가 6.6M라는걸 감안하면 20M는 실제로는 매우 쓰기 어려운 수준의 위성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아예 해당 사진 자체가 조작되었을 가능성 또한 제시하고 있다. [[https://youtu.be/o1gRtvdtwag|#]] ==== 김여정의 반박 및 주장 ==== 이와 같은 반응에 [[김여정]]은 "개나발질을 작작 하라"며 막말을 퍼부으며 반발했다. 보통 대한민국 정부나 국방부를 비난의 표적으로 삼았던 것과 다르게 '소위 전문가들'이라며 대한민국 군사 평론가 및 전문가들을 비난했다. 테스트시간이 830초(14분)뿐인 실험용 위성에 고성능 장비를 넣겠냐면서 논란을 일축시키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공위성 발사체와 [[대륙 간 탄도 미사일]]이 기술적으로 유사하다는 주장에는 "위성을 운반로케트로 쏘지 무슨 [[풍선]]으로 위성을 띄우는 기술도 있는가" 라며 히스테리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220036551504?input=1195m|#]] [[https://www.viewsnnews.com/article?q=207361|#]] 김여정의 말마따나 북한의 이번 시험체 발사가 어디까지나 시험체를 궤도에 올리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면, 굳이 정식 정찰위성도 아닌 시험체에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장착할 이유가 없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북한이 공언한 대로 실제 정찰위성을 발사해서, 발사에 성공한 뒤 찍은 사진이 공개되면 해상도 논란은 해결될 수는 있다. 그러나 [[2023년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 이후 인양된 위성체 [[만리경-1]]의 실제 해상도 역시 10m~20m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발표되면서, 해당 발언마저도 완전한 [[허세]]였음이 드러났다. == 정찰위성 발사 == 북한은 당초 예정되었던 4월이 아닌 5월 31일 부터 6월 11일 내에 위성을 발사하겠다는 통보를 일본에 보냈다. 당초 계획보다 1달 가량은 지연된 셈인데 정확한 경위는 불명이다. 5월 31일 발사 하였으며 자세한 사항은 [[2023년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 문서를 참고할 것. == 대한민국의 대응 == * 위성사진 공개직후 사흘만에 정부에서는 [[차세대중형위성]] 1호(국토위성 1호)로 촬영한 [[평양]] [[김일성 광장]]의 고화질 사진을 공개하며 맞불을 놓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8045?sid=100|#]] * 통상적인 개발 일정에 따른 절차였지만, 몇 주 뒤에 대한민국은 [[2022년 대한민국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시험비행|개발중인 고체연료 발사체의 시험발사]]를 단행해 성공시켰다. 두 발사체 모두 정찰 위성 탑재가 주된 목적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분류:조선인민군]][[분류:로켓]][[분류: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분류:2022년 공개]][[분류:준중거리 탄도 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