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흠정 24사)] ||<:><-2>'''{{{#ECE5B6 {{{+1 북제서}}}[br]北齊書[br]Book of Nothern Qi}}}''' || ||<:> '''{{{#ECE5B6 저자}}}''' ||<(>[[이백약]] || ||<:> '''{{{#ECE5B6 시기}}}''' ||<(> [[7세기]] [[당나라|당]] || ||<:> '''{{{#ECE5B6 언어}}}''' ||<(> [[한문]] || ||<:> '''{{{#ECE5B6 권 수}}}''' ||<(> 50권 || ||<:> '''{{{#ECE5B6 분량}}}''' ||<(> 524년 ~ 577년 (53년)[br] [[효명제]] 10년 ~ [[고항|제유주]] 원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北齊書 중국 정사 [[24사]] 중 하나이다.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역사를 [[기전체]] 정사로 [[당나라]] 역사가 [[이백약]]이 [[수나라]] 사관이었던 아버지 이덕림의 기록을 정리하여 편찬했다. 역대 중국 정사 24사 중에서 남조의 역사서인 [[진서(남조역사책)|진서]](陳書)와 더불어 외국열전이 존재하지 않는 사서이다. == 편찬 과정 == 수나라의 사관이었던 이덕림(李德林)이 이미 『제서』를 편찬했으나 27권까지 쓰다가 사망했다. 그의 아들 이백약이 아버지의 유업을 이어갔다. 이백약은 아버지의 『제서』와 더불어 [[편년체]]로 쓰여진 『제지(齊志)』를 참고하여 636년, 『[[양서(역사책)|양서]]』, 『[[진서(남조역사책)|진서]]』, 『[[수서]]』, 『[[주서]]』와 함께 간행, 공포했다. == 의의와 평가 == [[북위]]가 멸망하기 10년 전부터 시작해 북제가 망하는 577년까지의 역사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북제를 중심으로 다뤄졌기 때문에 『북제서』라고 지칭한다. 그런데, 『북제서』의 원래 명칭은 『제서(齊書)』인데 [[송나라]] 때 [[소자현]]의 『[[남제서]]』가 이미 찬술된 까닭에 '북제서'라고 통용되었다. 이후 『북제서』는 국가의 관리가 소홀해진 탓에 흩어져 없어져 [[남송]] 때 남은 거라곤 18권밖에 지나지 않았다. 현재 남은 『북제서』는 [[이연수(당나라)|이연수]]의 『[[북사]]』를 참고해 개수한 것으로 후대의 학자들은 『[[북사]]』는 『북제서』의 기록을 많이 인용한 점을 들어 서로의 연관성이 깊어 이를 기초로 『북제서』를 보완했다고 한다. 유지기(劉知幾)의 『사통』에서는 [[왕소]]의 『북제지』나 송효왕의 『관동풍속전』보다 못마땅하다고 평가했다. == 구성 == [include(틀:북제서)] 제기(帝紀) 8권, 열전(列傳) 42권, 총 5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제기 === ||<-3> '''{{{#ECE5B6 본기 구성}}}''' || ||제기 제1 ||<|2> 신무제기[br](神武帝紀) ||<|2>[[고환(남북조시대)|고환]](高歡) || ||제기 제2 || ||제기 제3 || 문양제기[br](文襄帝紀) ||[[고징]](高澄) || ||제기 제4 || 문선제기[br](文宣本紀) ||[[고양(북제)|고양]](高洋) || ||제기 제5 || 폐제기[br](廢帝紀) ||[[고은(북제)|고은]](高殷) || ||제기 제6 || 효소제기[br](孝昭帝紀) ||[[고연]](高演) || ||제기 제7 || 무성제기[br](武成帝紀) ||[[고담(북제)|고담]](高湛) || ||<|2>제기 제8 ||<|2> 후주유주기[br](後主幼主紀) ||[[고위]](高緯) || ||[[고항]](高恒) || === 열전 === ||<-3> '''{{{#ECE5B6 열전 구성}}}''' || ||열전 제01 || 후궁전[br](後宮傳) ||神武婁后・文襄元后・文宣李后・孝昭元后・武成胡后・後主斛律后・胡后・穆后 || ||열전 제02 || 고조11왕전[br](高祖十一王傳) ||영안간평왕(永安簡平王) 고준(高浚), 평양정익왕(平陽靖翼王) 고엄(高淹), 팽성경사왕(彭城景思王) 고유(高浟)[br]상당강숙왕(上黨剛肅王) 고환(高渙), 양성경왕(襄城景王) 고육(高淯), 임성왕(任城王) 고개(高湝)[br]고양강목왕(高陽康穆王) 고식(高湜), 박릉문간왕(博陵文簡王) 고제(高濟), 화산왕(華山王) 고응(高凝)[br]빙익왕(馮翊王) 고윤(高潤), 한양경회왕(漢陽敬懐王) 고흡(高洽) || ||열전 제03 || 문양6왕전[br](文襄六王傳) ||하남강서왕(河南康舒王) 고효유(高孝瑜), 광녕왕(廣寧王) 고효연(高孝珩), 하간왕(河間王) 고효완(高孝琬)[br]박릉무왕(蘭陵武王) 고효관(高孝瓘), 안덕왕(安徳王) 고연종(高延宗), 어양왕(漁陽王) 고소신(高紹信) || ||<|4>열전 제04 || 문선4왕전[br](文宣四王傳) || || || 효소6왕전[br](孝昭六王傳) || || || 무성12왕전[br](武成十二王傳) || || || 후주5남전[br](後主五男傳) || || ||열전 제05 || ||조군왕(趙郡王) 고침(高琛), 청하왕(清河王) 고악(高岳) || ||열전 제06 || ||광평공(廣平公) 고성(高盛), 양주공(陽州公) 고영락(高永樂), 양락왕(襄樂王) 고현국(高顯國), 상락왕(上洛王) 고사종(高思宗)[br]평진왕(平秦王) 고귀언(高帰彦), 무흥왕(武興王) 고보(高普), 장락태수(長樂太守) 고영산(高靈山) || ||열전 제07 || ||두태(竇泰), 울경(尉景), 누소(婁昭), 사적간(厙狄干), 한궤(韓軌), 반락(潘樂) || ||열전 제08 || ||단영(段榮), 단소(段韶), 단효언(段孝言) || ||열전 제09 || ||곡률금(斛律金), 곡률광(斛律光), 곡률선(斛律羨) || ||열전 제10 || ||손등(孫騰), 고융지(高隆之), 사마자여(司馬子如) || ||열전 제11 || ||하발윤(賀抜允), 채준(蔡儁), 한현(韓賢), 울장명(尉長命), 왕회(王懷), 유귀(劉貴), 임연경(任延敬), 모다루대문(莫多婁貸文), 고시귀(高市貴), 사적회락(厙狄迴洛), 사적성(厙狄盛), 설고연(薛孤延), 장보락(張保洛), 후막진상(侯莫陳相) || ||열전 제12 || ||장경(張瓊), 곡률강거(斛律羌擧), 요웅(堯雄), 송현(宋顯), 왕칙(王則), 모용소종(慕容紹宗), 설수의(薛修義), 질열평(叱列平), 보대한살(歩大汗薩), 모용엄(慕容儼) || ||열전 제13 || ||고건(高乾), 봉융지(封隆之) || ||열전 제14 || ||이원충(李元忠), 노문위(盧文偉), 이의심(李義深) || ||열전 제15 || ||위난근(魏蘭根), 최전(崔悛) || ||열전 제16 || ||손건(孫搴), 진원강(陳元康), 두필(杜弼) || ||열전 제17 || ||장찬(張纂), 장량(張亮), 장요(張耀), 조기(趙起), 서원(徐遠), 왕준(王峻), 왕굉(王紘) || ||열전 제18 || ||설숙(薛琡), 경현준(敬顯儁), 평감(平鑑) || ||열전 제19 || ||묵기보(万俟普), 가주혼원(可朱渾元), 유풍(劉豊), 파륙한상(破六韓常), 김조(金祚), 위자찬(韋子粲) || ||열전 제20 || ||원탄(元坦), 원빈(元斌), 원효우(元孝友), 원휘업(元暉業), 원필(元弼), 원소(元韶) || ||열전 제21 || ||이혼(李渾), 이여(李璵), 정술조(鄭述祖) || ||열전 제22 || ||최섬(崔暹), 고덕정(高德政), 최앙(崔昂) || ||열전 제23 || ||왕흔(王昕) || ||열전 제24 || ||육법화(陸法和), 왕림(王琳) || ||열전 제25 || ||소명(蕭明), 소지(蕭祗), 소퇴(蕭退), 소방(蕭放), 서지재(徐之才) || ||열전 제26 || ||양음(楊愔) || ||열전 제27 || ||배양지(裴譲之), 황보화(皇甫和), 이구(李構), 장연지(張宴之), 육앙(陸卬), 왕송년(王松年), 유의(劉禕) || ||열전 제28 || ||형소(邢卲) || ||열전 제29 || ||위수(魏収) || ||열전 제30 || ||신술(辛術), 원문요(元文遙), 조언심(趙彦深) || ||열전 제31 || ||최계서(崔季舒), 조정(祖珽) || ||열전 제32 || ||울근(尉瑾), 풍자종(馮子琮), 혁련자열(赫連子悅), 당옹(唐邕), 백건(白建) || ||열전 제33 || ||포현(暴顕), 피경화(皮景和), 선우세영(鮮于世栄), 기연맹(綦連猛), 원경안(元景安), 독고영업(獨孤永業), 전복(傅伏), 고보녕(高保寧) || ||열전 제34 || ||양배(陽斐), 노잠(盧潜), 최갈(崔劼), 노숙무(盧叔武), 양휴지(陽休之), 원율수(袁聿修) || ||열전 제35 || ||이치렴(李稚廉),봉술(封述), 허돈(許惇), 양열(羊烈), 원표(源彪) || ||열전 제36 || 유림전[br](儒林傳) || || ||열전 제37 || 문원전[br](文苑傳) ||조홍훈(祖鴻勲), 이광(李廣), 번손(樊遜), 유적(劉逖), 순사손(荀士遜), 안지추(顔之推) || ||열전 제38 || 순리전[br](循吏傳) || || ||열전 제39 || 혹리전[br](酷吏傳) || || ||열전 제40 || 외척전[br](外戚傳) ||조맹(趙猛), 누예(婁叡), 이주문창(爾朱文暢),정중례(鄭仲禮), 이조승(李祖昇), 원만(元蠻), 호장인(胡長仁) || ||열전 제41 || 방기전[br](方伎傳) || || ||열전 제42 || 은행전[br](恩倖傳) ||곽수(郭秀), 화사개(和士開), 목제파(穆提婆), 고아나굉(高阿那肱), 한봉(韓鳳), 한보업(韓寶業) || == 관련 [[고사성어]] == * [[쾌도난마]] [[분류:중국 정사]][[분류:남북조시대]][[분류:관찬사서]][[분류:기전체]][[분류:단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