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세훈)] ||<-2> '''[[서울특별시의 공원|{{{#000,#fff 서울특별시의 공원}}}]]''' || ||<-2> {{{#fff {{{+2 '''북서울꿈의숲'''}}}[br]Dream Forest}}}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다국어 표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국어 || 北首尔梦想之林 || || 일본어 || 北ソウル夢の森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북서울꿈의숲, 너비=100%)]}}}||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월계로]] 173[br]([[번동]] 산28-6) || || '''개원일''' ||[[2009년]] [[10월 17일]] || || '''면적''' ||665,190㎡ || || '''분류''' ||근린공원 || || '''개방 기간''' ||연중무휴 || || '''개방 시간''' ||항시 개방 || || '''이용료''' ||무료 || || '''관리'''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br]북부공원여가센터 || || '''시공''' ||[[화성산업|[[파일:화성산업 CI.svg|height=25]]]] || || '''전화번호''' ||02-2289-4000~5 || || '''링크''' ||[[http://parks.seoul.go.kr/template/sub/dreamforest.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에 있는 서울시립공원. 대부분의 필지는 번3동에 위치하며, 극히 일부의 필지가 [[송중동]]에 있다. == 역사 == 해당 부지는 원래 [[신 안동 김씨|안동 김씨]] 문중의 [[서울 창녕위궁 재사|창녕위궁 재사]]를 중심으로 한 사유지였다.[* 가까운 곳에 위치한 [[창문여자고등학교]] 역시 이쪽 계열이다. [[http://changmun.sen.hs.kr/11031/subMenu.do|#]]] 조선 23대 임금 순조의 둘째 딸 [[복온공주]]와 부마 '창녕위' 김병주의 묘가 있던 것에서 유래된 속칭 '공주릉'이라 불리운 곳으로[[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00951&cid=43722&categoryId=43722|#]][* 왕의 무덤이 아니기 때문에 정식으로 '[[능]]'을 붙일 수는 없어서 '속칭'이다. 복온공주 문서에 기재된 대로 둘의 묘는 꿈의숲 조성 이전인 2002년에 용인으로 이장되었다.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1/04/353534/|관련 기사]]], 이 땅을 [[드림랜드(테마파크)|드림랜드]]가 임대해서 놀이공원으로 사용하던 중 2008년 드림랜드가 폐장하게 되면서 문중이 관리하기 힘들어 폐허 수준으로 계속 놀릴 수밖에 없었는데, [[서울특별시]]가 이 부지를 인수하겠다고 나서자 매각을 결정하여 공원으로 조성한 후 2009년 10월 17일에 시립공원으로 개장하였다. [[http://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30463|관련 기사]] 공원 이름은 드림랜드의 분위기를 잇는다는 뜻으로 [[고유어|순우리말]]인 '[[꿈]]' 을 본따서 지었다. 드림랜드가 지었던 놀이 시설물들은 [[강원도]] [[원주시]] 드림랜드로 옮겨지고,[* 하지만 강원도 원주시로 이전 후에도 경영 악화, 시설 노후화 등의 이유로 2015년에 폐장되었고, 지금은 시설물들이 철거된 채 출입조차 제한된 상태이다.] 그 자리에 녹지(綠地)와 수목 등을 심게 되었으며, 전통과 문화, 그리고 휴식을 주는 공원을 표방하고 있다. == 특징 == 공원은 대규모의 '''숲 공원'''으로 사계절의 특징을 선명하게 볼 수 있으며, 아기자기하고 예쁘게 꾸며놓았고 문화 · 공연 시설 및 위락 시설도 훌륭하게 건축되어 있다. 남녀노소 전 세대를 아울러, 여유롭고 한가롭게 휴식하거나 맘껏 뛰며 다양한 레포츠와 공연, 문화를 즐길 수 있어 [[마포구]] [[월드컵공원]], [[송파구]]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성동구]] [[서울숲]],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서울식물원]]과 함께 서울특별시의 대표적인 공원으로 꼽힌다. 봄철 평일엔 많은 유치원, 초등학교에서 [[소풍]]을 온다. 개장 이후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동북권|동북권]] 지역 대부분의 초등학교들은 이곳으로 한 번쯤은 소풍을 가는 듯하다. 오동근린공원의 한복판에 있어 산에 둘러싸인 느낌을 준다. 계절별로 다양한 풍경과 멀리 [[북한산]] 세 봉우리의 풍광을 볼 수 있다. 봄, 가을철 같이 [[나들이]]하기 좋은 계절엔 인근 공원 접근 도로에 100m 넘게 길게 늘어선 주차 차량들을 볼 수 있다. 오현로의 건너편에도 숲이 있는데, 지하화 예정인 쓰레기 환적장이 있어서 발길이 뜸한 편이지만 그 옆의 골프 연습장에서 강북문화도서관 쪽으로 내려가보면 소나무 숲이 울창하게 펼쳐져 있으며, 보도 쪽으로는 [[https://m.map.kakao.com/actions/searchView?q=%EC%98%A4%EB%8F%99%EA%B7%BC%EB%A6%B0%EA%B3%B5%EC%9B%90&wxEnc=MOQNSLHMM&wyEnc=QNRNTON&lvl=3#!/1067143308/map/place|진달래능선]]이라는 이름의 꽃길이 있어서 시간이 있으면 방문해도 괜찮다. 이쪽은 확실히 [[강북구]] 관할 구립공원이다. 북서울꿈의숲 역시 [[https://www.gangbuk.go.kr/www/contents.do?key=700|오동근린공원]]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는 여기까지 북서울꿈의숲으로 넣으려고 했으나, 오세훈이 시장직에서 물러난 기타 등의 이유로 취소되었다. 다시 시장으로 복귀한 현재(2023년)에는 골프 연습장과 쓰레기 환적장을 포함하여 숲 확장 예정이 되어 있다.(서문 주차장 등) == 주요 시설 == === 거울못과 점핑 분수 === 물 나오는 계절엔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생들의 공원 내 최애 장소. 여름엔 물놀이 편의를 위한 대형 탈의 텐트가 설치된다. === 꿈의숲아트센터 === [[세종문화회관]]이 자연 쉼터, 예술 쉼터가 될 수 있도록 시민들을 위한 문화 공간으로 운영하며, 퍼포먼스홀과 콘서트홀 등이 있다. 각종 문화 공연·전시가 연중 내내 열린다. [[https://www.sejongpac.or.kr/portal/main/main.do|세종문화회관·꿈의숲아트센터 홈페이지]] [* 기존 꿈의숲아트센터 독자 홈페이지는 종료되었다.] === 전망대 === [[파일:북서울전망대.jpg]] 꿈의숲아트센터 위쪽에 위치하며, 전망대[* 드라마 [[아이리스(드라마)|아이리스]]의 촬영지로 유명한 곳이다. [[엘리베이터]]를 타면 아이리스에 관련된 영상만 나오고 전망대에는 [[이병헌]]의 등신대도 있다.]에 오르면 [[북한산]],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 등 서울특별시 북동 지역 전체를 조망할 수 있고, 멀리 [[롯데월드타워]]도 볼 수 있다. 전망대 오르는 외부 길과 전망대 건축물 내부등 2곳에 사선으로 이동하는 독특한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기둥 없이 사선으로 붕 떠있는' [[https://map.naver.com/v5/search/%EB%B6%81%EC%84%9C%EC%9A%B8%EA%BF%88%EC%9D%98%EC%88%B2?c=14141931.6972750,4525897.3555222,17,0,0,2,dha&p=E4jr5Zw8SKH4Ei9dGn26kQ,171.26,6.72,80,Float|독특한 구조 디자인]]이기에 이에 맞춰 엘리베이터도 사선으로 올라가게 되어있다. 이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평소에 이용하는 수직으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와 달리 느리지만 새로운 경험을 준다.[* [[남산(서울)|남산]]에도 남산 오르미란 이름으로 사선으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또한 [[이대역]]과 [[산성역]] 등에도 사선으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외부 엘리베이터에는 국내 최초로 2층에 경사가 변화되는 구간(21˚↔16˚)이 있으며, 안내판에 이 구간에서 속도변화가 있음을 게시하고 있다. [[아이리스(드라마)|드라마 아이리스]]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최고층까지 올라가는 데에는 여러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최소 10여분이 걸리며, 동절기에는 시간 축소 운영을 하고 있다.(17~18시 사이 종료) === 볼 플라자 === 인라인 스케이트, 킥보드, 스케이트 보드, 공놀이 등 각종 레포츠 최적의 장소이다. 북서울꿈의숲이 전체적으로 경사가 진 공원이다보니 탈 것을 타기엔 애로사항이 많아 대부분의 인라인, 킥보드, 스케이트 보드 활동은 여기서 이뤄진다. 바닥이 매끈한 돌로 되어있어서 미끄럼 사고가 종종 일어난다. === 드림 스튜디오 === 공원을 조망하며 쉴 수 있는 공간이다. === 창포원 === 글래스 파빌리온 앞 잔디 구역. 야외 행사와 '''한여름밤 영화 상영 이벤트'''가 열리는 구역으로 영화 상영하는 날 밤엔 많은 지역 주민들이 돗자리를 펼쳐 간식을 먹으며 영화를 즐기는 장소이다. 청운답원과 함께 아이들이 뛰어다니며 노는 구역이다. === 청운답원 === [[파일:북서울청운답원.jpg]] 넓게 펼쳐진 잔디 구역으로, 아이들이 맘껏 뛰어노는 공놀이 최상의 지역이다. '''다만, 봄철 잔디 생육 기간엔 출입이 불가능하다.''' 이유는 '''잔디 보호'''. === 상상 톡톡 미술관 === 어린이들을 위한 각종 공연와 전시 공간. 1 · 2 · 3 전시장이 있으며 [[세종문화회관]]이 운영. 이 앞의 인공 개울은 여름에 어린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물놀이 지역이다. === 월영지 === [[파일:북서울월영지.jpg]] 북서울꿈의숲 분수, 월광폭포, 월광대, 석교, 연지등이 있는 인공 호수. 호수 안에는 잉어 등의 물고기가 다량 서식하고 있으며 종종 [[거북|거북이]]도 발견할 수 있다. 수로를 개방하는 시간대에 따라 수위가 자주 변한다. 동계로 접어들 무렵에 호수 물을 전부 빼내고 비교적 낮은 수위만 물을 채워놓는데, 이때 아예 얼어붙어 빙판이 된다. === 창녕위궁재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 창녕위궁 재사)] === 사슴 방사장 === 상상 톡톡 미술관에서 걸어서 5분 거리에 있는 계단을 올라가면 나온다. 5~6 마리 이상의 [[사슴]]을 방사해 두었는데, 근처 [[자동판매기|자판기]]에서 먹이를 사서 사슴에게 줄 수 있다. 한창 구제역이 유행하던 때는 사슴들을 단체로 다른 곳으로 피난시킨 적도 있다. === 기타 시설 === * 놀이터[* '과학 놀이터' 라는 미끄럼틀이 여러 개 달린 큰 놀이기구가 있었는데, 어느새 사라졌다.] * 계절 수목원 * 나비정원 * 야생초 화원 * 숲속 쉼터 * 방문자 센터 * 주차장 == 편의 시설 == 공원 내 카페는 {{{#b45f04 ''Cafe Dream Book & Kids''}}} (꿈의숲아트센터 2층), --{{{#b45f04 ''The Cafe two''}}} (전망대)--[* 폐업], {{{#b45f04 ''Cafe Terrace''}}} (청운답원 옆 데크 상부), --{{{#b45f04 ''The Cafe One''}}} (상상 톡톡 미술관 옆)--[* 폐업] 등이 있다. 카페 드림에는 통유리 창문으로 자연 채광을 즐길 수 있으며, 창가 자리에 앉아서 풍경을 구경하기 좋다. 카페 드림 내부에 '''키즈 라이브러리'''가 있어 어린 아이들이 책을 읽으며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전망대 카페는 전망대 건물 내부 2층에 있다. 전망대 건물에 있어 공원 전체를 내려다보기 좋다. 카페 테라스와 상상 톡톡 미술관 옆 카페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식사를 할 수 있는 시설은 공원 중앙 글래스 파빌리온에 위치한 {{{#1E90FF "라포레스타"}}} 와 전망대로 올라가는 길에 있는 {{{#1E90FF "메이린"}}} 이 있다. 라포레스타는 파스타, 피자 커피류를 판매하며, 메이린은 중식 단품 메뉴 및 코스 메뉴 취급, 단독 룸 이용이 가능하다. == 연계 교통 == 서울특별시의 다른 대형 공원들에 비해 지하철역에서 제법 거리가 있는 편이므로 버스 이용을 추천한다. 2026년에는 [[서울 경전철 동북선]]이 개통할 예정이다. 주차장은 동문과 서문에 있지만, 방문자가 많은 공원이라 4월 ~ 11월 주말에는 승용차로 방문하는 것보다 대중교통 이용이 낫다. 초기에는 서문쪽 입구 양 옆의 자전거 도로에 불법 주차 차량이 줄지어 서있었지만, CCTV로 단속을 시작하고 양 옆으로 펜스를 둘러놔서 지금은 불법 주차가 불가능하다. 게다가 확보된 주차장 면도 그렇게 많지 않아서 입차를 하려면 상당히 기다려야 한다. 주차 요금은 10분당 300원이다. * 정문 기준으로 상시 운행하는 노선만 서술하였다. * 북서울꿈의숲(09187, 09767) : [[서울 버스 100]], [[서울 버스 111]], [[서울 버스 강북09, 11]] * 북서울꿈의숲(08105) : [[서울 버스 100]], [[서울 버스 111]], [[서울 버스 147]] * 북서울꿈의숲(08568) : [[서울 버스 성북14-1]], [[서울 버스 강북09, 11]] * 북서울꿈의숲(08199, 08200) : [[서울 버스 147]] * 서문 * 북서울꿈의숲(09239, 09271) : [[서울 버스 1124]], [[서울 버스 강북05]] == 지하철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석계역]][*성북14-1], [[월계역]][*147]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 [[미아사거리역]][*1124,강북05,09,11]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 [[돌곶이역]][*147],[[석계역]][*성북14-1]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 [[하계역]][*100,111] * --[[서울 경전철 동북선]]-- : --[[북서울꿈의숲역]]-- == 기타 == * 공원 중앙엔 벤치가 곳곳에 있지만 앉아서 쉴 만큼 벤치가 많지 않다. [[잔디]]밭은 넓게 펼쳐져 있으니 돗자리를 챙겨가면 좋다. * 숲 공원이지만 공원 중앙 지역엔 나무 그늘이 별로 없는 게 특징인데, 다행히 여름철엔 그늘막 이용 구역을 설정해놓고 있어서 텐트를 치고 여유로움을 즐길 수 있다.[* 그늘막과 텐트의 사용은 안내판 · 안내문을 잘 읽고 '''시기와 시간''' 안내에 따라야 한다. 그리고, 공원 관리요원의 요청에 응해야 한다.] * 반려견과 산책하기 매우 좋은 환경을 자랑하지만, 비양심 견주들로 인해 군데군데 개똥이 많이 방치되곤 하여 이용객들에게 불편을 끼치는 경우가 있다. * [[월드컵공원]] ([[마포구]]),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송파구]]), [[서울숲]] ([[성동구]]), [[보라매공원]] ([[관악구]], [[동작구]]), [[서울식물원]]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와 함께 [[서울특별시]]의 대표적인 공원이다. * 이 숲은 [[오세훈 시정 1기]] 시절 조성되었는데, [[오세훈 시정 2기|오 시장이 10년 만에 복귀한 뒤]] 주말에 딸, 손자와 함께 이곳을 산책하는 [[Vlog|브이로그]]를 유튜브에 올렸다.[* 오 시장에게 있어서 이곳을 관할하는 [[강북구]]가 특별한 지역이기도 한데, 과거 [[삼양동]] 판자촌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오 시장은 '처음에 봤을 땐 크게 만들었다고 생각했는데, 오늘 와보니까 더 크게 만들었어야 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https://youtu.be/TxJp7B4DM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오세훈의 과거 재임 당시 낙마로 인해 무산된 오현로 건너편의 공원 부지가 꿈의숲으로 편입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를 위해서는 강북구와의 협의와 맞은 편 하계철 악취 관련 민원이 자주 발생하는 오현 적환장의 지하화 혹은 이전 문제가 과제로 남아있다. * 줄여서 주로 '북꿈'이라고 부른다. [[분류:서울특별시의 공원]][[분류:강북구]][[분류:2009년 설립]][[분류:오세훈]][[분류:나무위키 공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