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말레이시아령 보르네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의 주 == [include(틀:인도네시아의 행정구역)] [[마인어]]: Kalimantan Utara [[영어]]: North Kalimantan 칼리만탄이 보르네오의 동의어임으로 기재한다. 2012년 동칼리만탄 주에서 분리되었다. 주도는 탄중슬로르. == 영국 식민지 북보르네오 == [include(틀:말레이시아의 역사)] [include(틀:대영제국의 식민지)] ||<-4> {{{+1 '''북 보르네오[br]North Borneo'''}}} || ||<-4> [[영국]]의 보호령 || ||<-4> [[파일:2560px-Flag_of_North_Borneo_(1902–1946).svg.png|width=175]] || ||<-4> 국기 || ||<-4> 1877 ~ 1942 (1차) 1945 ~ 1946 (2차)|| ||<-2> 수도 ||<-2> [[코타키나발루|제셸턴]] || ||<-2> 언어 ||<-2> [[영어]], [[말레이어]] || ||<-2> 성립 이전 ||<-2> [[브루나이 술탄국]] || ||<-2> 성립 이후 ||<-2> [[북보르네오 왕령 식민지]] || [[보르네오]], 지금의 [[동말레이시아]] 지역의 [[사바(말레이시아)|사바]] 위치했던 [[영국]]령 [[보호령]]. 본래 [[브루나이 술탄국]]과 [[술루 술탄국]]의 영역이었다. 1877년과 1878년 사이 독일 사업가 구스타브 오버베크는 브루나이와 술루로부터 여러 차례의 토지구매와 미국의 보르네오 무역 회사 토지를 넘겨받고 자국인 독일을 포함한 유럽 여러 국가에 해당 지역의 식민지로서의 가능성을 역설하나 오직 영국만이 관심을 보인다. 영국의 지원을 받고 해당 토지를 영국의 허가 없이는 다른 국가에 넘기지 않는 조건을 받아들인 오버베크였으나 [[독일 제국|독일]]이나 [[오스트리아-헝가리]]와 같이 본인이 원했던 후원국을 얻지 못해 낙심한 오버베크는 1879년 회사를 영국인들에게 넘기고 철수한다. 영국은 1882년 북보르네오 특허회사를 수립, 브루나이와 술루러부터 더 많은 영토를 구매한다. 영국의 북보르네오 활동 초기에는 인근 [[스페인령 필리핀]]과 마찰이 있었으나 1885년 마드리드 협정으로 해결되며 1888년, 정식으로 영국의 보호령이 된다. 이후 1890년, 기존부터 영국령이었던 [[라부안]]이 북보르네오로 할양. 영국령 당시 크게 경제적 가치가 있는 땅은 아니었고 [[전간기]]에 개발된 벌목 산업이 전부였지만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제국]]이 영국령 말라야와 [[네덜란드령 동인도]] 장악으로 석유, 고무 등을 비롯한 다른 자원 확보를 위해 움직이며 [[태평양 전쟁]] 극초기에 점령당한다. 전쟁 이후 북보르네오는 다시 영국과 특허회사가 돌아오지만 전쟁의 영향으로 영국의 특허회사는 전후 복구를 감당하지 못하고 보호령의 행정은 영국 정부로 넘어가 왕령 식민지가 수립된다. == 제안된 국가 북보르네오 연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북보르네오 연방)] [[분류:동음이의어]][[분류:인도네시아의 행정구역]][[분류:말레이시아의 역사]][[분류:영국의 식민지]][[분류:영국-말레이시아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