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 관련 문서)] [include(틀:러시아 해군의 함대 구성)] ||<-7> '''{{{+1 러시아 해군 북방함대}}}[br]Северный флот ВМФ ВС России''' || ||<-7> [[파일:북방함대 엠블럼.svg|width=300]] || || '''창설일''' ||<-6><(> [[1733년]] [[6월 1일]] || || '''소속''' ||<-6><(> [[러시아 해군]] || || '''상급부대''' ||<-6><(> 북방함대 합동전략사령부 || || '''규모''' ||<-6><(> ?명 / 80척+ || || '''사령관''' ||<-6><(> 알렉산드르 모이세예프 상장 || || '''참모장''' ||<-6><(> 콘스탄틴 카바초프 소장 || || '''기함''' ||<-6><(>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중항공순양함|어드미럴 쿠즈네초프]]~~[* 현재 흑해쪽 조선소에 정박하여 무장 현대화 및 수리를 진행중이며, 북방함대의 기함은 본 함이다.][br][[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 표트르 벨리키[* 해당함의 퇴역에 관한 논쟁이 존재한다. 표르트 벨리키의 퇴역이 확정되고 그전에 쿠즈네초프가 개장을 완료하지 못할경우, 기함은 3번함 어드미럴 나히모프가 된다.] || || '''참전''' ||<-6><(> [[제1차 세계 대전]][br][[제2차 세계 대전]]([[대조국전쟁]])[br][[겨울전쟁]][br][[시리아 내전]] || || '''위치''' ||<-6><(> [[러시아]] [[무르만스크주]] [[세베로모르스크]] || || '''관련군가''' ||<-6><(> [[북방함대는 실망주지 않으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방함대(Северный флот)는 [[북극해]]의 [[바렌츠 해]]와 [[노르웨이 해]]를 주요 활동지로 삼는 [[러시아 해군]]의 정규 함대이다. == 역사 == 북방함대는 1919년 6월 19일, [[제1차 세계 대전]] 중 북극해전단라는 명칭으로 탄생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북러시아 정부는 혼란 속에서 상실된 북극해전단의 함선들을 북드비나전단로 재편했고, 소련은 이를 바탕으로 북해해군을 창설했다. 창설된 북해해군은 러시아 북방의 해상 안전을 지키고, 근해의 해양 어업을 보호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많은 선박들과 시설들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한 상태였고, 결국 1923년 1월에 북해해군은 해산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부터 [[소련 해군]]의 재건이 시작됨에 따라, 1933년 6월 부로 북방전단이라는 이름으로 재창설되었고, 1937년 5월 부로 북방함대로 격상되었다. 북방함대는 [[겨울 전쟁]]에 참전해 [[핀란드]]가 서방으로부터 해상 지원을 받지 못하는데 주력했다. 그리고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북방함대는 [[무기대여법]]을 통해 미국에서 들어오는 물자를 호송하는 데 주력해, 성과를 내었다. [[냉전]]이 시작된 뒤로부터는 [[발트함대]]와 [[흑해함대]]가 [[NATO]] 세력권의 좁은 해협에 막혀 행동이 제한됨에 따라, 대서양 방향으로 열려있는 외해를 담당하는 북방함대가 [[NATO]] 해군과 맞서는데 주력해왔고, 이에 따라 소련 해군에서 가장 강력한 전력을 갖추게 된다. 그리고 소련이 붕괴된 이후 설립된 [[러시아 연방]]에서도 [[쿠르스크 함 침몰사건]] 등을 겪으면서도 최대한 북방함대의 전력을 유지하고자 노력해왔고, 현재도 [[러시아 해군]] 내에서 유일하게 항공모함과 핵추진 순양함을 보유하고 있는 등 가장 강한 함대로 자리잡고 있다.[* [[러시아 제국]] 시절에는 [[발트함대]]가 러시아 제국 해군 내에서 최강의 함대였다. 이 시절에는 [[북극해]]와 [[무르만스크]]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이전이라 북극해의 중요성이 떨어졌고, 태평양함대 역시 일본 제국의 성장 이전까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았으며 흑해함대는 보스포루스에 막혀 지중해로 나가지도 못했으니 결국 발트함대에 모든 전력을 몰아준 것.] 그리고 그만큼 정예 인력과 신형 장비도 가장 먼저 배치받고 있다.[* 러시아 해군의 함대를 중요한 순서대로 나열하면 북방함대, [[러시아 태평양함대|태평양함대]], [[발트함대]], [[흑해함대]], [[카스피해 전단]]이다.] 2014년 12월부로 북방함대 합동전력사령부가 서부군관구에서 분리되면서 북방함대가 군관구 급으로 격상되었고, 북방함대사령관이 북방함대 합동전력사령부의 사령관을 겸임하게 되었다. == 편제 == ===# [[https://www.ww2.dk/new/navy/SF.htm|1988년]] #=== * 제1잠수함전단 / 1st Submarine Flotilla 제6잠수함사단 / 6th Submarine Division 제11잠수함사단 / 11th Submarine Division 제18잠수함사단 / 18th Submarine Division 제33잠수함사단 / 33rd Submarine Division * 제3잠수함전단 / 3rd Submarine Flotilla 제13잠수함사단 / 13th Submarine Division 제19잠수함사단 / 19th Submarine Division 제24잠수함사단 / 24th Submarine Division 제31잠수함사단 / 31st Submarine Division * 제7작전전대 / 7th Operational Squadron 제56구축함여단 / 56th Destroyer Brigade 제120미사일함여단 / 120th Missile Ship Brigade 제170대잠전여단 / 170th Anti-Submarine Warfare Brigade * 제11잠수함전단 / 11th Submarine Flotilla 제2해안방어여단 / 2nd Coastal Defence Brigade 제3잠수함사단 / 3rd Submarine Division 제17잠수함사단 / 17th Submarine Division 제41잠수함사단 / 41st Submarine Division * 제37해군상륙사단 / 37th Naval Landing Division 제121상륙함여단 / 121st Landing Ship Brigade 제206구축함대대 / 206th Destroyer Battalion * 제88구조함여단 / 88th Rescue Ship Brigade * 제159정찰함여단 / 159th Reconnaissance Ship Brigade * 제263독립수로함대대 / 263rd Independent Hydrographic Ship Battalion * 제601독립해양조사함대대 / 601st Independent Oceanographic Research Ship Battalion * 독립보안방호대대 / Unidentified Independent Protection and Security Battalion * 벨로모르스키 해군기지 / Belomorskiy Naval Base 제52해안방어여단 / 52nd Coastal Defence Brigade 제627독립수로선대대 / 627th Independent Hydrographic Ship Battalion * 북방함대 해군항공부 / Department of Naval Aviation Northern Fleet 제5해상미사일운반항공사단 / 5th Maritime Missile Carrying Aviation Division 제35장거리대잠항공사단 / 35th Long-Range Anti-Submarine Aviation Division 제24독립장거리대잠항공연대 / 24th Independent Long-Range Anti-Submarine Aviation Regiment 제38독립해상대잠헬리콥터연대 / 38th Independent Shipborne Anti-Submarine Helicopter Regiment 제85통신자동통제연대 / 85th Independent Communications Regiment and Automated Control Regiment 제279독립해상공격항공연대 / 279th Independent Shipborne Assault Aviation Regiment 제392독립장거리정찰항공연대 / 392nd Independent Long-Range Reconnaissance Aviation Regiment 제403독립대잠항공연대 / 403rd Independent Anti-Submarine Aviation Regiment 제830독립해상대잠헬리콥터연대 / 830th Independent Shipborne Anti-Submarine Helicopter Regiment 제912독립수송항공연대 / 912th Independent Transport Aviation Regiment 제967독립장거리정찰항공연대 / 967th Independent Long-Range Reconnaissance Aviation Regiment * 콜라전단 / Kola Flotilla 제2대잠전사단 / 2nd Anti-Submarine Warfare Division 제5소해함여단 / 5th Minesweeper Brigade 제15해안방어여단 / 15th Coastal Defence Brigade 제42잠수함여단 / 42nd Submarine Brigade 제55미사일함여단 / 55th Missile Ship Brigade 제67해안방어여단 / 67th Coastal Defence Brigade 제176예비선박분해수리여단 / 176th Brigade of Reserve and Overhauled Ships * 통신센터 / Unidentified Communications Center * 해안병력부 / Department of Coastal Troops 제61해군보병여단 / 61st Naval Infantry Brigade 제175해군보병여단 / 175th Naval Infantry Brigade 제501독립해안미사일연대 / 501st Independent Coastal Missile Regiment 제616독립해안미사일연대 / 616th Independent Coastal Missile Regiment ===# [[https://ru.wikipedia.org/wiki/%D0%9E%D0%B1%D1%8A%D0%B5%D0%B4%D0%B8%D0%BD%D1%91%D0%BD%D0%BD%D0%BE%D0%B5_%D1%81%D1%82%D1%80%D0%B0%D1%82%D0%B5%D0%B3%D0%B8%D1%87%D0%B5%D1%81%D0%BA%D0%BE%D0%B5_%D0%BA%D0%BE%D0%BC%D0%B0%D0%BD%D0%B4%D0%BE%D0%B2%D0%B0%D0%BD%D0%B8%D0%B5_%C2%AB%D0%A1%D0%B5%D0%B2%D0%B5%D1%80%D0%BD%D1%8B%D0%B9_%D1%84%D0%BB%D0%BE%D1%82%C2%BB|현재]] #=== * 북방함대 / Northern Fleet 제14대잠함여단 / 14th Anti-Submarine Ship Brigade 제41수로서비스관구 / 41st District of Hydrographoc Service 제43미사일함사단 / 43rd Missile Ship Division 제43독립해안방어사단 / 43th Independent Coastal Defence Division 제44지원함단 / 44th Support Vessel Group 제432지원함분견대 / 432nd Support Vessel Detachment 북방함대 잠수함군 / Northern Fleet Submarine Forces 콜라 전단 / Kola Flotilla * 제45항공방공군 / 45th Air Force and Air Defence Army 제1방공사단 / 1st Air Defense Division 제3방공사단 / 3rd Air Defense Division 제2근위항공전대 / 2nd Guards Aviation Group 제3근위항공전대 / 3rd Guards Aviation Group 제73대잠장거리항공대대 / 73rd Anti-Submarine Long-Range Aviation Squadron 제89독립항공부대 / 89th Independent Aviation Unit 제98독립근위혼합항공연대 / 98th Independent Guards Mixed Aviation Regiment 제279독립해상전투항공연대 / 279th Independent Shipborne Fighter Aviation Regiment 제403독립근위혼합항공연대 / 403rd Independent Guards Mixed Aviation Regiment 제830독립해군대잠헬리콥터연대 / 830th Independent Naval Anti-Submarine Helicopter Regiment 제3130항공기술기지 / 3130th Aviation Technical Base 무인항공기연대 / Unidentified UAV Regiment * 북방함대 해안병력 / Northern Fleet Coastal Troops 제14육군군단 / 14th Army Corps 제58독립통제대대 / 58th Independent Control Battalion 제61독립해군보병여단 / 61st Independent Naval Infantry Brigade 제63독립해군보병공병연대 / 63th Independent Naval Infantry Engineer Regiment 제99전술단 / 99th Tactical Group 제140대잠수함전환부대및수단전특수부대분견대 / 140th Special Forces Detachment for Combating Submarine Diversionary Forces and Means 제152대잠수함사보타주부대및수단전특수부대분견대 / 152nd Special Forces Detachment for Combating Submarine Sabotage Forces and Means 제160대잠수함전환부대및수단전특수부대분견대 / 160th Special Forces Detachment for Combating Submarine Diversionary Forces and Means 제180독립해군보병도로공병연대 / 180th Independent Naval Infantry Road Engineer Regiment 제186독립전자전센터186th Independent Electrinic Warfare Center 제269대수중전환부대및수단전특수부대분견대 / 269th Special Forces Detachment for Combating Underwater Diversionary Forces and Means 제420특수목적정찰센터 / 420th Special Purpose Reconnaissance Center 제516통신센터 / 516th Communication Center 제536해안미사일포병여단 / 536th Coastal Missile and Artillery Brigade 제701군수센터 / 701st Logistic Center 제3805복합군수기지 / 3805th Complex Logistic Base 전술단 / Unidentified Tactical Group 전술단 / Unidentified Tactical Group 전술단 / Unidentified Tactical Group == 함대사령관 == ||<-5> {{{#0000cd {{{+2 '''북러시아 정부 북드비나전단장''' }}}[br]Северная область Северо-Двинской флотилии }}} || || || {{{#0000cd '''성명''' }}} || {{{#0000cd '''임기''' }}} || {{{#0000cd '''계급''' }}} || {{{#0000cd '''이후''' }}} || ||<-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O대 || 블라디미르 니콜라에비치 바르바치[br]Владимир Николаевич Варваци || 1919년 봄 ~ 1920년 3월 || 불명 ||러시아 SFSR 북해해군사령관 ||}}}}}}}}} || ||<-5> {{{#0091fa {{{+2 '''러시아 SFSR 북해해군사령관''' }}}[br]Росси́йская СФСР сформировало Морские силы Северного моря }}} || ||<-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O대 || 블라디미르 니콜라에비치 바르바치[br]Владимир Николаевич Варваци || 1920년 4월 ~ 1921년 7월 || 불명 ||흑해함대 근무[br]1922년 3월 1일 결핵으로 사망 ||}}}}}}}}} || ||<-5> {{{#ffd700 {{{+2 '''소비에트 연방 북방전단장''' }}}[br]Сове́тский Сою́з Командующий военная флотилия Командующие }}} || ||<-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d700 '''1대''' }}} || 자카르 알렉산드로비치 자쿠프네프[br]Заха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Закупнев || 1933년 5월 29일 ~ 1935년 3월 13일 || 대령 ||카스피해전단 건보트함 함장 역임[br]1937년 9월 4일 총살 || || {{{#ffd700 '''2대''' }}} || 콘스탄틴 이바노비치 두셰노프[br]Константин Иванович Душенов || 1935년 3월 13일 ~ 1937년 5월 11일 || 중장 ||북방함대사령관 || }}}}}}}}} || ||<-5> {{{#ffd700 {{{+2 '''소비에트 연방 북방함대사령관''' }}}[br]Сове́тский Сою́з Командующий Северным флотом Командующие }}} || ||<-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d700 '''1대''' }}} || 콘스탄틴 이바노비치 두셰노프[br]Константин Иванович Душенов || 1933년 5월 29일 ~ 1935년 3월 13일 || 소장 ||1940년 2월 4일 총살 || || {{{#ffd700 '''2대''' }}} || 발렌틴 페드로비치 드로즈드[br]Валентин Петрович Дрозд || 1937년 5월 11일 ~ 1938년 5월 28일 || 중장 ||해군사관학교장 역임[br]1943년 1월 29일 익사 || || {{{#ffd700 '''3대''' }}} || 아르세니 그리고리예비치 골로프코[br]Арсений Григорьевич Головко || 1938년 5월 28일 ~ 1940년 7월 26일 || 상장 ||1962년 군 전역[br]1962년 5월 7일 사망 || || {{{#ffd700 '''4대''' }}} || 바실리 이바노비치 플라토노프[br]Василий Иванович Платонов || 1940년 7월 26일 ~ 1946년 8월 4일 || 상장 ||소비에트 연방 해군감찰관 역임[br]1963년 12월 군 전역[br]1996년 3월 26일 사망 || || {{{#ffd700 '''5대''' }}} || 안드레이 트라피모비치 차바넨코[br]Андрей Трофимович Чабаненко || 1946년 8월 4일 ~ 1952년 4월 23일 || 상장 ||총참모부 자문관 역임[br]1976년 11월 군 전역[br]1986년 12월 19일 사망 || || {{{#ffd700 '''6대''' }}} || [[블라디미르 카사토노프|블라디미르 아파나시예비치 카사토노프]][br]Владимир Афанасьевич Касатонов || 1952년 4월 23일 ~ 1962년 2월 28일 || 대장 ||해군군사위원회 위원 역임[br]1989년 군 전역[br]1989년 6월 9일 사망 || || {{{#ffd700 '''7대''' }}} || 세묜 미하일로비치 로보프[br]Семён Михайлович Лобов || 1962년 2월 28일 ~ 1964년 6월 2일 || 대장 ||소비에트 연방군 총참모장 보좌관 역임[br]1977년 군 전역[br]1977년 7월 급성심부전으로 사망 || || {{{#ffd700 '''8대''' }}} || 게오르기 미하일로비치 예고로프[br]Гео́ргий Миха́йлович Его́ров || 1964년 6월 2일 ~ 1972년 3월 5일 || 대장 ||해군총참모장 역임[br]1992년 군 전역[br]2008년 2월 9일 사망 || || {{{#ffd700 '''9대''' }}} || [[블라디미르 체르나빈|블라디미르 니콜라예비치 체르나빈]][br]Владимир Николаевич Чернавин || 1972년 3월 5일 ~ 1977년 7월 1일 || 대장 ||해군총사령관 역임[br]1993년 군 전역[br]해군수석전문가 역임 || || {{{#ffd700 '''10대''' }}} || 아르카디 페트로비치 미하일로프스키[br]Аркадий Петрович Михайловский || 1977년 7월 1일 ~ 1981년 12월 16일 || 상장 ||1988년 군 전역[br]소비에트 연방 국방부 항법 및 해양학총국장역임[br]2011년 5월 17일 사망 || || {{{#ffd700 '''11대''' }}} || 이반 마트베이비치 카피타네츠[br]Иван Матвеевич Капитанец || 1981년 12월 16일 ~ 1985년 2월 25일 || 대장 ||발트함대 제1부사령관역임[br]1992년 군 전역[* 러시아 연방 해군에서 복무 안함 ][br]러시아 연방 국방부 감사관실 수석분석가 역임[br]2018년 9월 25일 질병으로 사망 || || {{{#ffd700 '''12대''' }}} || 펠릭스 니콜라에비치 그로모프[br]Фе́ликс Никола́евич Гро́мов || 1985년 2월 25일 ~ 1988년 3월 19일 || 상장 ||마지막 사령관[br]1996년 6월 13일 러시아 연방군 계급 수여 || }}}}}}}}} || ||<-5> {{{#0000cd {{{+2 '''러시아 연방 북방함대사령관''' }}}[br]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Командующий Северным флотом }}} || ||<-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0000cd '''1대''' }}} || 펠릭스 니콜라에비치 그로모프[br]Фе́ликс Никола́евич Гро́мов || 1988년 3월 19일 ~ 1992년 3월 14일 || 상장 ||러시아 연방 국방부 감사관실 총감찰관 역임[br]1997년 11월 7일 군 전역[br]2021년 1월 22일 사망 || || {{{#0000cd '''2대''' }}} || 올레그 알렉산드로비치 에로페예르[br]Олег Александрович Ерофеев || 1992년 3월 14일 ~ 1999년 1월 29일 || 상장 ||1999년 1월 29일 군 전역 || || {{{#0000cd '''3대''' }}} || 뱌체슬라브 알렉세예비치 포포프[br]Вячеслав Алексеевич Попов || 1999년 1월 29일 ~ 2001년 12월 1일 || 상장 ||2001년 12월 1일 군 전역[br]러시아 연방 산업에너지부 원자력해체과장 역임 || || {{{#0000cd '''4대''' }}} || 겐나디 알렉산드로비치 수치코프[br]Геннад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учков || 2001년 12월 5일 ~ 2003년 9월 11일 || 상장 ||2007년 군 전역[br]2005년 4월 러시아 연방 국방장관 고문 역임[br]2013년 8월 7일 질병으로 사망 || || {{{#0000cd '''5대''' }}} || 세르게이 빅토로비치 시모넨코[br]Сергей Викторович Симоненко || 2003년 9월 11일 ~ 2004년 5월 29일 || 중장 ||2009년 8월 2일 군전 역[br]자비예보 잠수함 퇴역군인 연합의장 역임 || || {{{#0000cd '''6대''' }}} || 미하일 레오폴도비치 아브라모프[br]Михаил Леопольдович Абрамов || 2004년 5월 29일 ~ 2005년 9월 4일 || 상장 ||해군 제1부총사령관 역임[br]2009년 7월 군 전역 || || {{{#0000cd '''7대''' }}} || 블라디미르 세르게에비치 비소츠키[br]Влади́мир Серге́евич Высо́цкий || 2005년 9월 26일 ~ 2007년 9월 12일 || 상장 ||해군총사령관 해임[br]2012년 5월 6일 군 전역[br]2021년 2월 5일 심부전으로 사망 || || {{{#0000cd '''8대''' }}} ||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막시모프[br]Николай Михайлович Максимов || 2007년 11월 20일 ~ 2011년 3월 30일 || 상장 ||서부군관구 제1부사령관 역임[br]2012년 10월 29일 군 전역 || || {{{#0000cd '''9대''' }}} || 안드레이 올게르토비치 볼로진스키[br]Андрей Ольгертович Воложинский || 2011년 3월 30일 ~ 2011년 6월 24일 || 중장 ||해군 제1부총사령관 역임[br]2019년 군 전역 || || {{{#0000cd '''10대''' }}} || 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코롤료프[br]Владимир Иванович Королёв || 2011년 6월 24일 ~ 2015년 11월 || 상장 ||2019년 5월 2일까지 해군총사령관 역임 및 군 전역 || || {{{#0000cd '''11대''' }}} || 니콜라이 아나톨리예비치 예브메노프[br]Николай Анатольевич Евменов || 2016년 4월 6일 ~ 2019년 5월 3일 || 상장 ||해군총사령관 역임 중 || || {{{#0000cd '''12대''' }}} || 알렉산드르 알렉세이비치 모이세예프[br]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еевич Моисеев || 2019년 5월 3일 ~ 현임 || 상장 ||현재 북방함대사령관 || }}}}}}}}} || == 소속 군함 == === 현역함 === || {{{#0000cd '''함급''' }}} || {{{#0000cd '''함명''' }}} || {{{#0000cd '''비고''' }}} || ||<-3> {{{#0000cd '''중항공순양함''' }}} || || 쿠즈네초프급 ||어드미럴 쿠즈네초프 ||북방함대의 기함[br]2018년부터 현대화작업 중이다. || ||<-3> {{{#0000cd '''미사일 순양함''' }}} || ||<|2> 키로프급 ||어드미럴 나히모프 ||현대화 작업중 || ||표트르 벨리키 ||향후 전망 불명[* 러시아 해군의 예산이 충분하지 않아서 해당함의 퇴역에 관한 논쟁이 존재한다. 아직 해당함의 퇴역이 공식적으로 확정되지는 않았으나 해당함이 조만간 퇴역한다는 말이 돌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해당함의 향후 전망이 불분명한 것으로 추정된다.] || || 슬라바급 ||마르샬 우스티노프 || || ||<-3> {{{#0000cd '''구축함''' }}} || || 소브레멘니급 ||어드미럴 우샤코프 || || ||<-3> {{{#0000cd '''대잠함 / 호위함''' }}} || ||<|4> 우달로이급 ||어드미럴 차바넨코 || || ||바이스-어드미럴 쿨라코프 || || ||세베로모르스크 || || ||어드미럴 레프첸코 || || ||<|3> 고르쉬고프급 ||어드미럴 고르시코프 || || ||어드미럴 카사토노프 || || ||어드미럴 고로브코 ||곧 실전배치에 들어간다. || ||<-3> {{{#0000cd '''초계함''' }}} || ||<|5> 그리샤급 ||MPK-194 "브레스트" || || ||MPK-203 "윤가" || || ||MPK-130 "나리얀마르" || || ||MPK-7 "오네가" || || ||MPK-59 "스네즈노고르스크" || || || 나누추카급 ||라스베트 || || ||<-3> {{{#0000cd '''경비정''' }}} || || 쥬크급 ||AK-388 || || ||<-3> {{{#0000cd '''소해정''' }}} || || 고르야급 ||블라디미르 구마넨코 || || ||<|5> 소냐급 ||BT-50 "페트로자보츠크" || || ||BT-152 "코텔니치" || || ||BT-111 "솔로베츠키 윤가" || || ||BT-226 "콜롬나" || || ||BT-211 "야드린" || || ||<-3> {{{#0000cd '''상륙함''' }}} || ||<|4> 로푸카급 ||BDK-91 "올레네고르스키 가르냐크" || || ||BDK-182 "콘도포가" || || ||BDK-55 "알렉산드르 오트라코프스키" || || ||BDK-45 "성 게오르기우스" || || ||<|2> 이반 그렌급 ||BDK "이반 그렌" || || ||BDK"표트르 모크리코프" || || ||<-3> {{{#0000cd '''상륙정''' }}} || ||<|4> 온다트라급 ||D-464 || || ||D-148 || || ||D-182 || || ||D-163 "니콜라이 루브초프" || || ||<-3> {{{#0000cd '''잠수함''' }}} || ||<|5> 델타급(SSBN) ||K-51 "베트호투리에" || || ||K-114"툴라" || || ||K-117"브랸스크" || || ||K-18"카리알라" || || ||K-407"노보모스콥스크" || || ||<|5> 보레이급(SSBN) ||K-535 "유리 돌고루키" || || ||K-549 "블라디미르 대공" || || ||K-??? "포자르스키 대공" || 건조중 || ||K-??? "드미트리 돈스코이" || 건조중 || ||K-??? "포템킨 대공" || 건조중 || ||<|5> 얀센급(SSGN) ||K-560 "세베로드빈스크" || || ||K-561 "카잔" || || ||K-564 "아르항겔스크" || 건조중 || ||K-??? "울리야놉스크" || 건조중 || ||K-??? "보르네슈" || 건조중 || ||<|2> 오스카급(SSGN) ||K-410 "스몰렌스크" || || ||K-266 "오룔" || || ||<|6> 아쿨라급(SSN) ||K-317 "판테라" || || ||K-461 "보크" || || ||K-32 8"레아파르트" || || ||K-154 "티그르" || || ||K-157 "베프리" || || ||K-335 "게파르트" || || ||<|2> 시에라급(SSN) ||B-534 "니즈니노브고로드" || || ||B-336 "프스코프" || || ||<|2> 빅터급(SSN) ||B-138 "오브닌스크" || || ||B-44 8"탐보프" || || ||<|4> 킬로급(SS) ||B-800" 칼루가" || || ||B-459 "블라디캅카스" || || ||B-471 "마그니타고르스" || || ||B-177 "리페츠크" || || ||<|2> 라다급(SS) ||B-586 "크론슈타트" || || ||B-587 "벨리키예루키" || 건조중 || || 사로프급(SSA) ||B-90 "사로프" || 건조중 || ||<-3> 외 보조함 24척 || === 퇴역함 === * 시에라급 : B-239 "카르프", B-276 "코스트로마" * 그리샤급 : MPK-14 "몬체고르스크" * 나누추카급 : 아이스베르크 * 델타급 : K-84 "예카테린부르크" * 오스카급 : K-119 "보로네시" * 킬로급 : B-808 "야로슬라블" * 나티아급 : 카멘도르 * 나티아급 : 마쉬니스트 * 소냐급 : BT-97 "필랴르니" == 같이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함선)] [[분류:함대]][[분류:러시아 해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