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가평군의 면]] [include(틀:가평군의 읍면)] ||<-2> '''[[가평군|{{{#000000,#dddddd 가평군}}}]]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북면}}}'''[br]北面 | Buk-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가평군 북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가평군]] || || '''행정표준코드''' || 4160029 || || '''관할 법정리''' || 8리 || || '''하위 행정구역''' || 13행정리 68반 || || '''면적''' || 231.19㎢[* 참고로 [[고양시|고양'''시''']]의 면적이 268.12㎢이다. [[경기도]]의 읍면동 중 가장 넓다.] || || '''인구''' || 3,753명[* 2023년 9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 밀도''' || 16.23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포천시·가평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춘식(정치인)|최춘식]] ,,(초선),, || ||<-2> '''경기도의원 | 가평군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임광현 ,,(초선),, || ||<-2> '''가평군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강민숙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원중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가화로 1030-39[* 목동리 913-4] || || [[https://www.gp.go.kr/buk/index.do|북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한 [[면(행정구역)|면]]. [[민둥산]], [[명지산]], [[화악산]]이 있다. 참고로 이 산들은 [[대한민국 100대 명산]]으로 선정된 이름난 산이기도 하다. [[391번 지방도]]를 통해 [[화악터널]]이나 [[75번 국도]]를 통해 도마치재를 넘어가면 [[화천군]] [[사내면]]이다. 화악보건소 가는 길에 [[춘천시]] [[사북면]]으로 넘어갈 수 있는 산길이 있다. 적목리 북부 지역이 [[삼팔선|38선]] 이북에 속했다가 수복되었다.[* 북한 치하에서는 [[김화군]]에 편입되었다가 유엔군의 수복 직후에는 유엔군이 임시로 설정한 행정구역인 [[북포천군]]에 속했고 1954년 수복지구 행정권 이양 이후 원 소속인 가평군으로 복귀했다.] 이 지역은 [[가평읍]], [[청평면]] 일부 지역과 더불어 [[영서 방언]]을 사용하며, [[강원도]] [[춘천시]] 생활권이다. == 하위 리 == === 이곡리 (梨谷里) === [[가평읍]]과 맞닿아 있는 리이다. 동쪽 경계를 따라 가평천이 흐른다. 미국 한국 전쟁 참전 기념비, 캐나다전투기념비, 반공 희생자 위령비, 목동초등학교[* 1999년 이전에는 목동리 범바위마을(소목동 마을)에 있었으나 1999년 9월 1일에 이곡리에 교사를 이전하였다.], 가평북중학교, 목동유원지가 있다. === 목동리 (沐洞里) === 북면의 소재지이다. 목동1리에는 [[목동버스터미널]]이 있으며, 농어촌버스는 여기서 [[가평읍]]([[가평역]] · [[가평터미널]])으로 연계하거나 북면 소속 동네들을 연계한다. 목동산업단지, 뉴질랜드와호주전투기념비가 있다. 소법리를 잠깐 지나면 목동2리 지역인데 가평천에서 갈라지는 경덕천을 따라 멱골(큰멱골과 작은멱골), 싸리재 방향으로 마을과 펜션들이 형성되어 있다. 동쪽으로 북배산과 가덕산이 있으며, [[강원도]] [[춘천시]] [[서면(춘천)|서면]]과 접한다. 큰멱골에 '별비치'라는 소규모 워터파크가 있다. === 제령리 (濟寧里) === 목동에서 가평천을 따라 마을과 펜션, 유원지, 캠핑장들이 형성되어 있다. === 소법리 (所法里) === 소법천과 화악천이 흐른다. 소법천은 소법저수지로 이어지며 화악천을 따라 유원지들이 형성되어 있다. === 백둔리 (柏屯里) === 백둔계곡과 연인산과 명지산으로 올라갈 수 있는 등산로, 자연과별가평천문대가 있다. === 도대리 (道大里) === 명지계곡, 용소유원지 등 계곡과 유원지가 줄지어 있고, 명지산군립공원 입구가 있다. === 적목리 (赤木里) === 리의 북쪽 일부가 [[삼팔선|38선]] 이북이어서 해당 구역은 1945년부터 1953년(실질적으로는 1951년)까지 [[북한]] 치하에 있었다. 이 시기에는 [[강원도]] [[김화군]][* 현재의 [[철원군]] 동부 지역이다. 조선 시대에는 현재의 [[포천시]], 즉 당시 행정구역으로는 [[경기도]] [[영평군]] [[이동면(포천)|이동면]] 적목리였다. 현재 적목리는 이 지역과 붙어있지 않지만, 두 지역 사이에 위치한 [[사내면]]이 함께 김화군에 편입되면서 연결되어 있었다.] 관할이었다. 강씨봉자연휴양림, 민둥산, 용소폭포, 조무락계곡, 석룡산, [[화악산]]이 있다. 버스 종점으로 용수동종점이 있다. === 화악리 (華岳里) === [[경기도]]의 최고봉인 [[화악산]][* 아쉽게도 [[공군방공관제사령부]] 예하의 [[제315방공관제대대|8386부대]],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 예하의 8979부대 등의 공군 군사 시설이 있는 관계로 등산이 가능한 봉우리는 중봉뿐이다.]이 있으며, 이곳을 지나 [[화천군]], [[춘천시]] [[사북면]]으로 갈 수 있다. == 사건·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평계곡 살인 사건)]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가평군/행정, version=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