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행정구역]][[분류:이름이 같은 지역]][[분류:이름이 같은 지역/대한민국]][[분류:한자가 같은 지역]] [목차] [clearfix] == [[北]][[區]] == [include(틀:방위별 구)] [[한자]] 문화권 국가의 [[대도시]]에서 가장 흔한 [[행정구역]] 명칭. [[대한민국]]에서만 이 이름을 쓰는 동네가 다섯 곳이나 된다. [[중구]]를 중심으로 동, 서, 남, 북으로 구분하여 나누는 행정구역 명칭이다. 구(區)는 한자권 나라마다 서로 자국 한자음으로 읽어서 자연스럽게 지명을 공유하지만, 행정구역상 갖는 함의는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에서 북구의 기관장은 북구+구청장으로 [[북구청장]]이라고 불린다. === 현존하는 북구 === * [[부산광역시]] [[북구(부산광역시)|북구]] *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 [[광주광역시]] [[북구(광주광역시)|북구]] *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 과거에 존재했던 북구 === * [[인천광역시]] [[부평구|북구]]: 1968년 경기도 인천시 북구가 설치되고 1981년 인천이 직할시로 분리 승격한 이후로도 계속 존재했으나, 1995년 3월 [[계양구]]와 [[부평구]]로 분구되면서 사라졌다. 다만 법적으로는 부평구가 북구를 승계하고 있고, 계양구는 신설된 구로 간주한다.[* 계양구 중 계양동 일대는 본래 [[부천시/역사|부천군]]→[[김포군]](1973년 부천군 해체 후 이관) 계양면이었으나, 1989년 인천직할시 북구에 편입된 지역이다.] 경기도 인천시 시절부터 생각한다면 의외로 오랫동안 존재했던 행정구역임에도 인천광역시 북구로 남았던 기간은 너무 짧았던 탓(1995년 1월 1일 ~ 1995년 2월 28일)인지 존재감이 거의 없다. 그 시절의 흔적으로 남아있는 게 [[부평구청]] 옆에 있는 [[인천광역시 북구도서관]]이다. * [[평양시]] [[사동구역|북구]]: 1959년에 사동구역(寺洞區域)으로 바뀌었다. === 실질적으로 북구 역할을 하는 곳 ===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 선거구 === *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갑]], [[북구·강서구 을]] * [[대구광역시]]: [[북구 갑(대구)]], [[북구 을(대구)]] * [[광주광역시]]: [[북구 갑(광주)]], [[북구 을(광주)]] * [[울산광역시]]: [[북구(울산 선거구)]] * [[경상북도]] [[포항시]]: [[포항시 북구(선거구)]] === 외국의 북구 === ==== 일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키타구)] ====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그 [[크고 아름다운]] 규모만큼 [[행정구역]]도 여러 단계여서 모두 6단계의 [[행정구역]] 등급이 있고 (성省급,지地급,현縣급,향鄕급,촌村급) 끝에 ~구(區)가 붙는 지명도 어느 등급에 속하느냐에 따라서 그 급이 다른데, "북구"라는 지명은 의외로 잘 안 쓴다. ===== [[홍콩]] ===== * [[홍콩]] [[신계(홍콩)|신계]] [[북구(홍콩)|북구]] ===== [[마카오]] ===== * [[마카오]] 사구(社區) 북구 ==== 대만 ==== [[대만]]은 [[타이난시]], [[타이중시]], [[신주시]] 세 곳에 북구가 있다. == 北歐 == 北歐羅巴(북구라파), 즉 [[북유럽]]을 뜻하는 [[한자]] 음차 표기이다. [[유럽]]이 [[한자]] 음차 표기에서 구라파로 발음이 바뀐 것인데, 이것의 단축형인 "구"는 [[북구 신화]]나 탈아입"구", 서"구"(서유럽)와 같은 용례에 남아 꽤 사용되고 있다. 歐란 한자는 애초에 가차 표기이니 굳이 [[한자]] 뜻으로 풀어서 쓰지는 않는다. 뜻도 [[구토|그다지 좋은 편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