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행정구역)] [[파일:external/study.zumst.com/%EA%B3%A0%EB%A0%A4%EC%9D%98%EC%A7%80%EB%B0%A9%ED%96%89%EC%A0%95%EC%A0%9C%EB%8F%84.png|width=400&align=center]] {{{+1 北界}}} [목차] == 개요 == [[고려]]시대의 [[행정구역]] [[5도 양계]] 중 하나. 양계(兩界)를 이루었다. 일반 행정구역인 [[도(행정구역)|도(道)]]와 달리, 계는 군사적 목적의 행정구역으로 북방 국경지역에 설치되었으며 병마사가 파견되었다. 앞서 고려 [[10도]] 때는 패서도(浿西道)였으며, 서북면으로 지칭하기도 했다. [[천리장성]] 이북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이후 [[조선]] [[팔도]] 중 [[평안도]]와 거의 겹친다. 변방 지역처럼 인식되기 쉽고 실제로도 북부는 그랬지만 고려는 [[고구려]] 계승의식을 표방했기 때문에 고구려의 옛 [[수도(행정구역)|수도]] [[서경(고려)|서경]]([[평양시]])이 있는 곳이라 [[묘청의 난]]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거의 제 2의 수도격으로 상당히 중요하게 여겼다. [[여몽전쟁]]의 결과로 약 20여년 간 [[동녕부]]가 설치되어 [[원나라]] 직할영토가 되기도 했다. [[충렬왕]] 대에 자비령 이북의 영토가 다시 고려에 귀속된 후, 서북면도지휘사(西北面都指揮使)가 파견되었다. 조선 초기인 [[1413년]](태종 14)까지 남아있었으나, 태종이 북계를 [[평안도]]로 개칭되면서 폐지되었다. [[분류:고려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