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기도의 정치]][[분류:부천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부천시/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기도)]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부천시 갑}}}}}}'''[br]{{{-1 {{{#fff {{{#fff 부천동}}}, {{{#fff 심곡동}}}[br]富川市 甲[br]Bucheon A}}}}}}}}}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부천시 갑.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56,499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기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부천시|{{{#373a3c,#ddd 부천시}}}]] 일부''' 역곡동, 춘의동, 도당동, 심곡동, 소사동, 원미동 }}} || ||<-2> '''신설년도''' ||<-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996년]][* 부천시의 일반구가 개편되면서 부천시 중구 갑에서 부천시 원미구 갑으로 선거구명 변경],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020년]][* 부천시의 일반구 폐지로, 선거구명 변경] || ||<-2> '''이전 선거구''' ||<-2> 부천시 원미구 갑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김경협]]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천시의 [[경인선]] 이북&[[수도권 전철 7호선]] 연선 동부 지역에 해당하며, [[부천시 병]]과 함께 부천시의 원도심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이다.[* 양귀자 씨의 소설 『원미동 사람들』로 유명해진 [[원미동]]이 이 선거구 관할이다. 이 때문에 21대 총선 개표방송에서는 '''"원미동 사람들, 또 만났네"'''라는 문구가 등장하기도 했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의원이다. 원래의 선거구 명칭은 부천시 중구 갑이였는데 부천시의 인구가 증가하고 일반구가 개편되면서 부천시 원미구 갑으로 변경된 것이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사실 부천시 중구 갑 선거구는 예전 원미구 지역인 부천시 갑과 을을 합쳐놓은 것에 가까웠다. 이후 부천시의 일반구가 개편되어 중구가 원미구와 오정구로 분구되고 원미구 지역의 인구가 [[중동신도시]] 개발로 인해 크게 늘어나면서 기존의 원도심 지역을 갑 선거구로, 중동신도시 지역을 을 선거구로 개편한 것이 현재의 선거구이다.] 그러나 20대 총선 이후 부천시의 일반구가 폐지됨에 따라, 제21대 총선부터 부천시 갑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2024년 부천시가 다시 일반구를 [[롤백]]함에 따라 다시 '원미구 갑'으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원도심 지역의 특성상 연령대가 신도시인 을 선거구보다는 높아서 보수세가 을 선거구보다 강한 편이였으나 과거부터 인접한 구로공단이나 춘의동, 도당동 일대의 중소 공장지대로 인해 호남계열의 외지인 유입이 많아서 민주당세가 꽤 강했었다.[* 이외에도 동교동계 출신 정치인인 [[안동선]]의 영향력도 한 몫 했었고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이나 [[인천 5.3 항쟁]] 등으로 과거 5공정권의 민주화 탄압이 많이 일어났던 것도 선거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반대로 예전 소사구 지역인 [[부천시 병]]은 산이 많다는 특성상 외지인 유입이 적어 상대적으로 보수세가 더 강했었다. 상도동계 출신인 [[최기선]]이 당선되기도 했었고 과거 노동운동의 거목이였던 [[김문수]]의 존재로 인해 19대 총선 이전까지 14대 총선을 제외하고 보수정당이 모두 승리하기도 했었다.] 현재는 부천대를 중심으로한 대학가가 들어서는 등 젊은층, 서민층 인구가 증가하면서 신도시 지역인 을 선거구 보다도 민주당세가 더 강해졌다.[* 오히려 중동신도시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르고 초고층/대형평수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을 선거구가 스윙보터 성향에 더 가까워졌다. 고소득층, 자영업자가 많아서 그만큼 부동산 이슈, 세금문제 등에 더 민감하기 때문이다.] 2019년 7월 행정동 통합(광역동)으로 관할 행정동이 단 2곳이 되었는데, 이게 [[사전투표|사전투표소]] 설치와 관련되어 문제가 되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전투표소는 행정동 1개당 1곳이 설치되는데, 부천시에도 예외 없이 이 원칙이 적용되면서 사전투표소가 대폭 축소된 것이다. 결과, 21대 총선에서 부천시의 사전투표율(19.71%)은 (시군구 단위로) 경기도내에서는 최저, 전국에서는 [[달성군]]에 이어 2번째로 낮았고, 본투표를 포함하더라도 [[부천시 을]]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선거구는 전국 평균 투표율을 밑돌았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4121172385531|기사]] 이 문제는 20대 대선에서 해소되었으며, 각 행정동마다 2~5개의 사전투표소가 마련되게 바뀌었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제헌 || [[이유선(정치인)|이유선]] || [include(틀: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48년 5월 31일 ~ 1950년 7월 28일 ||<|5> 부천군 || || 제2대 || [[박제환]] || [include(틀:무소속)] || 1950년 5월 31일 ~ 1954년 7월 28일 || || 제3대 ||<|2> [[장경근]] ||<|2> [include(틀:자유당)]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7월 28일 || || 제4대 ||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 || 제5대 || [[박제환]] || [include(틀:무소속)] ||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 || 제6대 || [[옥조남]] ||<|3> [include(틀:민주공화당)]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2> 부천군·시흥군·옹진군 || || 제7대 || [[오학진]]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 제8대 || [[오학진]]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부천군·옹진군 || ||<|2> 제9대 || [[이택돈]] || [include(틀:신민당(1967년))] ||<|2>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2> 부천군·시흥군·옹진군 || || [[오학진]] || [include(틀:민주공화당)] || ||<|2> 제10대 || [[이택돈]] || [include(틀:신민당(1967년))] ||<|2>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17일 ||<|2> 부천시·안양시·시흥군·옹진군 || || [[윤국노]] || [include(틀:민주공화당)] || ||<|2> 제11대 || [[신능순]] || [include(틀:민주정의당)] ||<|2>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4> 부천시·김포군·강화군 || || [[오홍석]] || [include(틀:민주한국당)] || ||<|2> 제12대 || [[안동선]] || [include(틀:신한민주당)] || 1985년 4월 11일 ~ 1987년 11월 20일 || || [[박규식]] ||<|2> [include(틀:민주정의당)] ||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 || 제13대 || [[임무웅]]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부천시 중구 || || 제14대 ||<|3> [[안동선]]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부천시 중구 갑 || || 제15대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7> 부천시 원미구 갑 || || 제16대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2> 제17대 || [[김기석(정치인)|김기석]]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5년 8월 19일[* 당선 무효] || ||<|2> [[임해규]]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5년 10월 27일 ~ 2008년 5월 30일 || || 제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3> [[김경협]]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2020년 5월 30일 ~ || 부천시 갑 || 정부수립 초기였던 때나 중선거구제였던 때는 보수정당도 당선되었고, 그 중선거구제 덕분에 12대까지는 민주정의당도 의석을 차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 치러진 [[13대 총선]]과 [[2005년 재보궐선거]], [[18대 총선]]을 제외하곤 단 한 번도 보수정당이 의석을 차지한 적이 없을 정도로 최악의 험지이다. 그래도 보수정당이 못 해도 30%대는 나오긴 한다만... === 부천시 중구 (13대) === 13대 총선부터 헌법 개정으로 소선거구제가 시행되었다. 부천시의 인구가 부천, 김포, 강화를 하나로 묶을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며 김포군과 강화군은 따로 선거구를 형성하였다. 또한 부천시도 두 개의 선거구로 분구하였고, 일반구 설치명에 따라 중구와 [[부천시 병|남구]] 두 개의 선거구로 분구되었다.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부천시 중구'''}}}}}}[br]{{{#FFFFFF 부천시 중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무웅|{{{#373a3c,#dddddd 임무웅}}}]](林茂雄)''' || '''38,785'''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34.22%'''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김길홍(金吉烘) || 20,942 || 3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8.48% || 낙선 || ||<|2> {{{#000000 {{{+5 '''3'''}}}}}} || [[안동선|{{{#373a3c,#dddddd 안동선}}}]](安東善) || 37,002 || 2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32.67% || 낙선 || ||<|2> {{{#ffffff {{{+5 '''4'''}}}}}} || 김정운(金貞雲) || 16,659 || 4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4.6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8,237 ||<|3> '''투표율'''[br]68% || || 투표수 || 114,405 || || 무효표수 || 1,087 || === 부천시 중구 갑 (14대) === 13대 선거에서 부천을 두 지역구로 분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구의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자 중구를 갑, 을 두 지역구로 분구하였다. 이에 따라 원종1동, 원종2동, 고강본동, 고강1동, 오정동, 신흥1동, 신흥2동이 [[부천시 정|중구 을]] 선거구로 이동하였다.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부천시 중구 갑'''}}}}}}[br]{{{#ffffff 원미1동, 원미2동, 심곡2동, 심곡3동, 도당동, 춘의동, 성곡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길홍(金吉烘) || 26,300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4.2% || 낙선 || ||<|2> {{{#ffffff {{{+5 '''2'''}}}}}} || '''[[안동선|{{{#373a3c,#dddddd 안동선}}}]](安東善)''' || '''39,082''' || '''1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50.82%'''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이은재(李銀載) || 4,505 || 4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5.85% || 낙선 || ||<|2> {{{#ffffff {{{+5 '''4'''}}}}}} || 신철영(金貞雲) || 7,002 || 3위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9.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0,369 ||<|3> '''투표율'''[br]64.2% || || '''투표 수''' || 70,653 || || '''무효표 수''' || 1,058 || === 부천시 원미구 갑 (15~20대) === 부천시의 일반구가 개편되면서 남구에 있던 심곡1동, 역곡1동, 역곡2동, 소사본동에서 분동된 소사동이 원미구로 오면서 이 선거구로 편입되었다. 또한 성곡동이 오정구에 편입되며 오정구 선거구로 이동하였다.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부천시 원미구 갑'''}}}}}}[br]{{{#ffffff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1동, 원미2동, [br]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허태열|{{{#373a3c,#dddddd 허태열}}}]](許泰烈) || 22,957 || 2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34.19% || 낙선 || ||<|2> {{{#ffffff {{{+5 '''2'''}}}}}} || '''[[안동선|{{{#373a3c,#dddddd 안동선}}}]](安東善)''' || '''25,118''' || '''1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37.41%''' || '''당선''' || ||<|2> {{{#ffffff {{{+5 '''3'''}}}}}} || 하장보(河庄輔) || 4,885 || 4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7.28% || 낙선 || ||<|2> {{{#ffffff {{{+5 '''4'''}}}}}} || 김정기(金丁冀) || 11,842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7.64% || 낙선 || ||<|2> {{{#ffffff {{{+5 '''5'''}}}}}} || 이은재(李銀載) || 2,340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3.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9,139 ||<|3> '''투표율'''[br]57.25% || || '''투표 수''' || 68,203 || || '''무효표 수''' || 1,061 || 김대중 총재를 따라 새정치국민회의로 이적한 안동선 의원이 3선에 도전하는 가운데, 신한국당은 군사정권 때 관선 부천시장을 지낸 허태열 후보로 맞불을 놓는다. 지상파 3사 출구조사에서는 허태열 후보의 압승이 예측됐지만, 개표 결과 안동선 후보가 시종일관 근소한 차의 리드를 유지하면서 3선에 성공했다. 그리고 허태열은 다음해 대선에서 한나라당이 야당으로 전락하자, 이 지역구를 버리고 부산 [[북구·강서구 을]] 지구당위원장으로 옮겨간다.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부천시 원미구 갑'''}}}}}}[br]{{{#ffffff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1동, 원미2동, [br]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정기(金丁冀) || 22,104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37.92% || 낙선 || ||<|2> {{{#ffffff {{{+5 '''2'''}}}}}} || '''[[안동선|{{{#373a3c,#dddddd 안동선}}}]](安東善)''' || '''30,494''' || '''1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52.31%''' || '''당선''' || ||<|2> {{{#ffffff {{{+5 '''3'''}}}}}} || 하장보(河庄輔) || 5,693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9.7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9,449 ||<|3> '''투표율'''[br]49.41% || || '''투표 수''' || 59,021 || || '''무효표 수''' || 78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000000 {{{+1 '''부천시 원미구 갑'''}}}}}}[br]{{{#000000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1동, 원미2동, [br]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해규|{{{#373a3c,#dddddd 임해규}}}]](林亥圭) || 22,871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3.77% || 낙선 || ||<|2> {{{#ffffff {{{+5 '''2'''}}}}}} || [[안동선|{{{#373a3c,#dddddd 안동선}}}]](安東善) || 7,548 || 3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1.14% || 낙선 || ||<|2> {{{#000000 {{{+5 '''3'''}}}}}} || '''[[김기석(정치인)|{{{#373a3c,#dddddd 김기석}}}]](金起碩)''' || '''31,595''' || 1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46.65%''' || '''당선''' || ||<|2> {{{#ffffff {{{+5 '''4'''}}}}}} || [[이근선]](李根善) || 5,712 || 4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8.4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7,763 ||<|3> '''투표율'''[br]53.45% || || '''투표 수''' || 68,284 || || '''무효표 수''' || 558 || ==== [[2005년 재보궐선거#s-3|2005년 하반기 재선거]] ==== ||<-4> [[부천시 갑|{{{#ffffff {{{+1 '''부천시 원미구 갑'''}}}}}}]][br]{{{#ffffff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1동, 원미2동, [br]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이상수(정치인)|{{{#373a3c,#dddddd 이상수}}}]] || 12,851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3.51% || 낙선 || ||<|2> {{{#ffffff {{{+5 '''2'''}}}}}} || '''[[임해규|{{{#373a3c,#dddddd 임해규}}}]]''' || '''19,424'''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0.50%''' || '''당선''' || ||<|2> {{{#ffffff {{{+5 '''3'''}}}}}} || [[조용익|{{{#373a3c,#dddddd 조용익}}}]] || 3,195 || 3위 || || [include(틀:민주당(2005년))] || 8.31% || 낙선 || ||<|2> {{{#ffffff {{{+5 '''4'''}}}}}} || [[이근선|{{{#373a3c,#dddddd 이근선}}}]] || 1,295 || 4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3.37% || 낙선 || ||<|2> {{{#ffffff {{{+5 '''6'''}}}}}} || [[안동선|{{{#373a3c,#dddddd 안동선}}}]] || 1,166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3.03% || 낙선 || ||<|2> {{{#ffffff {{{+5 '''7'''}}}}}} || 정인수 || 495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2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3,603 ||<|3> '''투표율'''[br]28.94% || || '''투표수''' || 38,662 || || '''무효표수''' || 236 || 과거 서울 [[중랑구 갑]]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상수 후보와 2번 대결했던 전직 국회의원이자 배우 [[이순재]]가 한나라당이 아닌, 열린우리당 이상수 후보의 후원회장을 맡아서 화제가 되었다. 이때 당선된 임해규는 다음 총선에서도 재선했다. 여담으로 당시 [[민주당(2005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조용익]] 후보는 17년뒤인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부천시장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참고로 2012년에는 역시 해당지역에 공천을 신청했는데, [[김경협]] 지역위원장에게 밀려 탈락했고,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부천시장 공천을 신청했으나, [[장덕천]] 변호사에게 밀려 낙천되었는데, 세 번째 도전 끝에 공천장을 따내었다.]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부천시 원미구 갑'''}}}}}}[br]{{{#ffffff 원미1동, 원미2동, 역곡1동, 역곡2동, 심곡1동, [br]심곡2동, 심곡3동, 도당동, 춘의동, 소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경협|{{{#373a3c,#dddddd 김경협}}}]](金炅俠) || 17,144 || 2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33.16% || 낙선 || ||<|2> {{{#ffffff {{{+5 '''2'''}}}}}} || '''[[임해규|{{{#373a3c,#dddddd 임해규}}}]](林亥圭)''' || '''26,761'''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1.76%''' || '''당선''' || ||<|2> {{{#ffffff {{{+5 '''3'''}}}}}} || [[안동선|{{{#373a3c,#dddddd 안동선}}}]](安東善) || 3,892 || 3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7.53% || 낙선 || ||<|2> {{{#ffffff {{{+5 '''5'''}}}}}} || 백선기(白銑基) || 2,900 || 4위 || || [include(틀:창조한국당)] || 5.61% || 낙선 || ||<|2> {{{#ffffff {{{+5 '''6'''}}}}}} || 김경림(金京林) || 1,007 || 5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1.9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8,345 ||<|3> '''투표율'''[br]37.71% || || '''투표 수''' || 52,165 || || '''무효표 수''' || 461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부천시 갑|{{{#3ab34a {{{+1 '''부천시 원미구 갑'''}}}}}}]][br]{{{#3ab34a 원미1동, 원미2동, 역곡1동, 역곡2동, 심곡1동, [br]심곡2동, 심곡3동, 도당동, 춘의동, 소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해규|{{{#373a3c,#dddddd 임해규}}}]](林亥圭) || 27,585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0.77% || 낙선 || ||<|2> {{{#3ab34a {{{+5 '''2'''}}}}}} || '''[[김경협|{{{#373a3c,#dddddd 김경협}}}]](金炅俠)''' || '''33,397''' || '''1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9.36%''' || '''당선''' || ||<|2> {{{#ffffff {{{+5 '''6'''}}}}}} || 류재선(柳在先) || 2,662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93% || 낙선 || ||<|2> {{{#ffffff {{{+5 '''7'''}}}}}} || [[김기석(정치인)|{{{#373a3c,#dddddd 김기석}}}]](金基錫) || 4,013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5.9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3,120 ||<|3> '''투표율'''[br]47.69% || || '''투표 수''' || 68,255 || || '''무효표 수''' || 598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부천시 갑|{{{#ffffff {{{+1 '''부천시 원미구 갑'''}}}}}}]][br]{{{#ffffff 원미1동, 원미2동, 역곡1동, 역곡2동, 심곡1동, [br]심곡2동, 심곡3동, 도당동, 춘의동, 소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음재|{{{#373a3c,#dddddd 이음재}}}]](李崟宰) || 25,788 || 2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34.65% || 낙선 || ||<|2> {{{#ffffff {{{+5 '''2'''}}}}}} || '''[[김경협|{{{#373a3c,#dddddd 김경협}}}]](金炅俠)''' || '''31,582''' || '''1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42.43%''' || '''당선''' || ||<|2> {{{#ffffff {{{+5 '''3'''}}}}}} || 황인직(黃仁稙) || 17,055 || 3위 || || [include(틀: 국민의당(2016년))] || 22.9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3,513 ||<|3> '''투표율'''[br]52.50% || || '''투표 수''' || 75,346 || || '''무효표 수''' || 921 || === 부천시 갑 (21대) === 부천시가 일반구를 폐지하면서 선거구명이 부천시 갑으로 바뀌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부천시 갑|{{{#ffffff {{{+1 '''부천시 갑'''}}}}}}]][br]{{{#ffffff 부천동[*A 법정동 : 원미동, 역곡동, 춘의동, 도당동], 심곡동[*B 법정동 : 심곡동, 소사동, 원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경협|{{{#373a3c,#dddddd 김경협}}}]](金炅俠)''' || '''48,002''' || '''1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59.17%''' || '''당선''' || ||<|2> {{{#ffffff {{{+5 '''2'''}}}}}} || [[이음재|{{{#373a3c,#dddddd 이음재}}}]](李崟宰) || 29,266 || 2위 ||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36.07% || 낙선 || ||<|2> {{{#000000 {{{+5 '''6'''}}}}}} || 김선자(金善子) || 2,994 || 3위 || || [include(틀: 정의당(2013~2021))] || 3.69% || 낙선 || ||<|2> {{{#ffffff {{{+5 '''7'''}}}}}} || 조은지(趙恩志) || 856 || 4위 || || [include(틀: 국가혁명배당금당)] || 1.0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8,380 ||<|3> '''투표율'''[br]59.41% || || '''투표 수''' || 82,208 || || '''무효표 수''' || 1,090 || ||<-5> {{{#ffffff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갑)'''}}}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경협|{{{#ffffff '''김경협'''}}}]] || [[이음재|{{{#ffffff 이음재}}}]]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48,002 [br] (59.17%)'''}}} || '''29,266 [br] (36.07%)''' || '''+ 18,736 [br] (△23.10)''' || '''83,176 [br] (65.39%)''' || || '''심곡동''' || {{{#004ea2 57.14%}}} || '''37.82%''' || △19.32 || 52.81 || || '''부천동''' || {{{#004ea2 '''58.41%'''}}} || 37.19% || '''△21.22''' || 58.38 || || '''후보''' || [[김경협|{{{#004ea2 '''김경협'''}}}]] || [[이음재|{{{#ef426f 이음재}}}]]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60.12%}}} || 28.48% ||<-2> △31.64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7.49%}}} || 27.18% ||<-2> △40.31 || || '''국외부재자투표''' || {{{#004ea2 76.41%}}} || 19.81% ||<-2> △56.60 || 현역 [[김경협]] 의원은, 단수공천을 받으면서 3선에 도전한다. 미래통합당에서는 [[이음재]] 전 당협위원장 만이 공천을 신청했고,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 정부]] 집권 이래, 부천시 중에서도 갑 지역구는 경기도권 중에서 보수정당 최악 최흉의 험지이다.][* 이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을 지낸 임해규 前 의원은 원미구 을로 이동했다.] [[정의당]]에서는 김선자 부천시오정구 지역위원회 수석부위원장이 출마했다. 선거결과 [[김경협]] 의원이 59%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어, 3선에 여유롭게 당선되었다. 20대 총선 때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으로 흘러갔던 중도표를 대부분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음재]] 후보의 득표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2020년 차명진 세월호 유가족 망언 파동|이렇게 된 이유는]][[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부천시 갑|{{{#ffffff {{{+1 '''부천시 갑'''}}}}}}]][br]{{{#ffffff 부천동[*A 법정동 : 원미동, 역곡동, 춘의동, 도당동.], 심곡동[*B 법정동 : 심곡동, 소사동, 원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2024년]] 부천시가 일반구를 롤백함에 따라 다시 '부천시 원미구 갑'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선거구 인구가 부천시 선거구 중 적기 때문에 [[부천시 을]]의 일부와 맞교환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