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5천억짜리 [[교통 체증|주차장]]~~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에서 [[경기도]] [[부천시]]를 거쳐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운동을 잇는 [[교량]]이다. 교량 길이는 7,754m이며 4차로의 교량 2개를 이어붙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간이며, [[장수IC(인천)|장수IC]]에서 [[송내IC]]와 [[중동IC]]를 거쳐서 [[서운JC]]를 지나 [[계산천]]을 지나는 곳까지 부천고가교 구간이다. 쉽게 말해 [[계양IC]] 진입 직전까지다. 기점과 종점은 [[인천광역시]]에 있지만 거의 대다수의 구간이 [[부천시]] 구간으로, 부천시 [[중동신도시]]와 [[상동지구]]를 남북으로 관통하기에 부천고가교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 상세 == [[1998년]] 부천고가교 개통 당시, 부천고가교가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교량으로는 최장 길이 교량이었다. 부천고가교는 [[2000년]] 개통한 [[서해안고속도로]] [[서해대교]](7,310m)나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영종대교]](4,420m)보다도 더 길다. 부천고가교보다 길이가 더 긴 교량은 [[2009년]] 개통한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대교]](21,380m)가 들어서기 전까지 없었다. 부천고가교는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다리 중 최장거리 교량이며, [[2013년]] 조사한 바에 따르면 부천고가교의 자산가치는 5,067억원으로 서해대교(7,303억 원) 다음으로 비싼 다리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3034301?sid=101|기사]] 대한민국의 교량 상당수는 차로 변경이 불가능하게 설계돼 있지만,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교통량이 워낙 많아 차로 변경을 막으면 [[헬게이트]]가 벌어지므로 부천고가교는 차로 변경이 가능하게 설계돼 있다. 부천고가교 내에 [[장수IC(인천)|장수IC]], '''[[송내IC]]''', '''[[중동IC]]''', [[서운JC]]까지 [[나들목]]과 [[분기점]]이 4개나 있으므로 차로 변경을 막을 수도 없다. [[분류:대한민국의 교량]][[분류: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