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천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천57-1_6613.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천시 BI_White.svg|width=35]] {{{#ffffff 부천시 일반형버스 57-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천 57-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부천시 옥길동(부천남부생태공원) ||<-2> 종점 || 경기도 부천시 옥길동(자이.호반베르디움)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5:20 || || 막차 || 23:35[*막 [[온수역]]에서 자정에 맞춰 막차가 출발한다.] || 막차 || 23:35[*막] || ||<-2> 평일배차 || 9~15분 ||<-2> 주말배차 || 14~20분 || ||<-2> 운수사명 || [[부일교통(부천)|부일교통]] ||<-2> 인가대수 || 6대 || ||<-2> 노선 ||<-4> 부천남부생태공원 - 제이드카운티 - 브리즈힐.센트리뷰 - [[양지마을]]입구 - 범박휴먼시아1단지정문 - 유한대학교 - 성공회대학교유한공고앞 - 온수남부역 - 양지초교 - [[부천범박힐스테이트]] - 부천일루미스테이트3.4단지 - 자이.호반베르디움 || == 개요 == 부일교통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7020&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9년에 신설되었다.당시엔 옥길동입구-온수남부역구간을 운행했다. * 2016년 7월 28일에 '옥길동입구 - 제이드카운티' 구간이 연장되었다. * 2018년 2월 24일에 [[부천 버스 57-2|57-2번]]이 분리신설되어 '제이드카운티 - 산들초등학교 - 호반베르디움.자이' 구간이 단축되었다. [[http://www.bucheon.go.kr/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boardtypeid=26740&menuid=148004001004&boardid=673666|부천시 공지사항]] * 2019년 10월 5일부터 [[부천 버스 57-2|57-2번]]과 통합하여 '부천남부생태공원 - 온수남부역 - 호반베르디움 - 온수남부역 - 부천남부생태공원' 순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또한 온수역 정류장이 기존 2번출구에서 3번출구 경서농협 앞(17-990)으로 이전되었다. [[https://www.bucheon.go.kr/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menuid=148009010002001&pagesize=10&boardtypeid=26960&encid=EOGg7j3mXljZ7tq4BIyxTQ==|부천시 공지사항]] == 특징 == * 현재 노선은 매우 특이한 형태로, 상행의 경우 부천남부생태공원(제이드카운티)에서 온수남부역까지는 옛 [[부천 버스 57-2|57-2]]번 경로를 이용하다가 호반베르디움까지는 옛 57-1번의 경로를 이용한다. 하행은 57-1번 경로로 온수역까지 가다가 57-2번 경로로 돌아가는 식.[* 2009년에서 2019년까지는 평범한 노선이였다.][* 노선 선형만 보면 애초에 왜 통합했나 의문이 들 수 있지만, 부천남부생태공원에서 휴게 및 식사를 할 수 있는 자체적인 휴게공간(태현전기차충전소)을 운영하고 있어, 기사 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이렇게 운행하고 있다.][* 이렇게 운영하게 되면 기사 두 명이 해야 할 일을 기사 한 명만 있어도 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 이 노선이 생기기 이전에는 [[부천 버스 57|57번]]이 현대홈타운을 들렀다가 나가는 방식으로 운행했는데, 개통 이후 해당 구간을 폐지하였다. * [[부천범박힐스테이트]]에서 [[소사동로]](구 동남우회로)를 경유해서 [[온수역]]까지 최단거리로 간다. 따라서 [[역곡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하지만 역곡역으로 가는 [[부천 버스 10|10번]]과 겹치는 구간이 많아 큰 불편은 없다. 오히려 출퇴근 시간 괴안사거리 부근에서의 정체를 겪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장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 범박동이나 [[양지로(부천)|양지로]] 지역에서 사실상 유일한 7호선 연계 수단이기에[* [[부천 버스 56-1|56-1번]]으로 [[부천종합운동장역]]이나 [[천왕역]]을 가기엔 해당 지역에서 돌아가는 선형이라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10번 만큼 존재감이 강하진 않지만 또 없으면 안 되는 노선이다. * 주 수요는 범박동, 괴안동, 옥길동에서 [[온수역]]을 통해 7호선을 타려는 승객들이다. * [[옥길지구]]에서는 일부 단지를 제외하고는 이 노선의 효용성이 떨어진다. 1호선을 이용하자니 급행까지 정차하는 [[역곡역]]이 더 가까우면서도 연계하는 노선이 더 많으며, 7호선을 이용하자니 [[천왕역]] 가는 [[부천 버스 56-1|56-1번]]이나 [[부천 버스 56-2|56-2번]], [[광명사거리역]] 가는 [[광명 버스 2|광명 2번]]이 시간을 덜 잡아먹는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성공회대학교]]를 가더라도 [[서울 버스 6614|6614번]]이 성공회대까지 항동만을 거쳐 가기에 시간을 덜 잡아먹는다. * [[옥길지구]]에서는 최근 들어 불법 운행이 감지되고 있다. 가령 기점으로 돌아올 때 [[양지로(부천)|양지로]] 구간에서 승객이 없으면 옥길지구 구간을 건너 뛰고 제이드카운티 근처 퀸즈파크나 아예 부천생태공원으로 바로 가서 휴식을 취하러 가는 경우가 있으며, 기점에서 출발할 땐 아예 처음부터 옥길지구 구간을 건너뛰고 양지로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하는 모습을 보인다. 엄연히 시청과 협의되지 않은 운행 방식이므로 불법이지만, 위에 상기했듯 옥길지구에서는 타 노선과 경쟁력이 지나치게 밀리다보니 묻히는 감이 있다. * [[유한대학교]]는 온수역 방향만 정차한다. 옥길동 방면으로는 역곡고가사거리에서 좌회전을 해야 하는 관계로 차병원 정류소에서 내려서 걸어가야 한다. * CNG 버스에 LED행선판을 안달고 스티커를 붙여논 대신에, 온수역에서 각 방향을 구별하기 위해서 스티커 아래에다가 LED 전광판을 붙여놓고 운행한다.[* 옥길동에서도 양방향 정류장이 있다. 온수역 방면, 생태공원 방면을 잘 확인하자. ]전광판에는 각 종점인 '생태공원'[* 부천 생태공원 방면], '스타필드'[* 부천 스타필드 방면], '충전소'[* 승객을 안태우고 충전하러 충전소행], '온수역'[* 온수역 방면] 이렇게 나뉘어져있으니 참고해봐도 될듯~~ 일부 차량은 부일교통 안전운행 이라면서 나온다. 현재의 부일교통 예비차가 다른 노선에 투입될때 쓴다.~~[* 단 최근에는 대부분 전기차량으로 운행 중이며, 전기버스의 경우 LED 전광판을 따로 붙이지 않고 예전처럼 팻말을 바꿔서 행선지를 표시한다.] * [[부천 버스 56-1|56-1번]]과 마찬가지로 부천 범박힐스테이트 1, 2단지에서 승무교대를 한다.[* 교대시간에 이 정류장에 부일교통 소속 기사들이 많다.] * 부천남부생태공원이 기점이지만 자이.호반베르디움에서 마찬가지로 쉬고 있는 경우 또한 많다.[* 과거에는 [[부천 버스 57-2|57-2번]]의 기점이던 옥길한신더휴에서도 쉬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전기차량으로 대부분 운행하는 현재는 차량 관리 및 전기 충전, 그리고 기사 휴식의 일원화가 용이한 부천남부생태공원 기점에서 쉬는 경우가 많다.] * 신기한건 범안동 내부만 돌다가 온수역 쪽으로 갈 때 나오는 서울 구간을 지나간다. 부천시 범안동만 지나가기 때문에 흔치 않은 케이스다. *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온수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역]] [[분류:부천시 시내버스]][[분류:200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부천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