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매미새우과]][[분류:수산물]] ||<-2> '''{{{#fff {{{+1 부채새우}}}[br]Fan lobster}}}''' || ||<-2> [[파일:Ibacus_ciliatus.jpg|width=100%]] || || [[학명|'''{{{#000,#fff 학명}}}''']] || ''' ''Ibacus'' ''' (Leach, 1815) || ||<-2> '''{{{#fff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아문''' ||[[갑각아문]](Crustace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연갑강]](Malacostrac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십각목]](Decapod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매미새우과(Scyllar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부채새우속'''(''Ibacus'') || ||<-2> '''{{{#fff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부채새우 || || '''[[영어]]''' ||Fan lobster[* "부채바닷가재".], Balmain bug[* ''Ibacus peronii'' 한정.] || || '''[[일본어]]''' ||ウチワエビ[* "부채새우".] || || '''[[중국어]]''' ||扇蝦[* "부채새우".] || [youtube(HtwLU-kg5p8, width=480px, height=270px)][* 먹이주는 모습.~~귀엽다~~] [목차] [clearfix] == 개요 == 십각목에 속하는 [[갑각류]]의 일종. [[부채]] 같이 변형된 머리를 가진 게 특징이다. 근연종으로 [[매미새우]]가 있다. == 상세 == 크기는 10~20cm. [[바닷가재]]와 유사한 두흉부를 가진 매미새우와 달리 두흉부가 넓고 납작하게 퍼지도록 변형되었고 배 또한 납작하다. 머리의 전면을 이루는 제2촉각과 두흉부, 배의 둘레에 돌기가 나있다. [[대륙붕]]의 [[모래]]나 [[진흙]] 같은 부드러운 바닥에서 서식한다. 야행성으로서, 낮에는 삽처럼 변형된 수염을 이용해 저면을 파고 들어가 숨어 지낸다. 밤이 되면 나와서 [[조류(수중생물)|조류]]와 작은 [[갑각류]]를 포식한다. 성체는 갑각이 상당히 단단하지만 헤엄을 못 치고 별다른 방어수단이 없어서 위협을 느끼면 꼬리치기로 도망간다. [[가오리]]나 [[문어]] 등의 먹이가 된다. == 이용 == 종은 모두 식용 가능하며, 주로 [[저인망]]을 통해 낚인다. 아시아에서는 부채새우(''Ibacus ciliatus'')가 주로 소비되며 [[한국]]에서는 [[제주도]]에서 잡힌다. [[호주]] 등지에서는 나비부채새우(''Ibacus peronii'')가 잡히는데, 발만벌레(Balmain bug)로 부른다. [[바닷가재]], 혹은 닭새우와 비교할 만큼 맛 좋은 새우지만 납작한데다 몸통에 비해 큰 머리 탓에 크기에 비해 살이 별로 없다. 맛이 좋고 먹기도 쉬운 편이며[* 몸을 가위로 세로로 잘라 안의 살을 파먹으면 된다. 또는 머리를 떼어내고 몸 양 옆의 가시 부분을 가위로 잘라낸 뒤, 앞뒤의 껍질을 핫바 포장지 까듯이 벗기기도 한다.] 무게당 가격 자체가 비싼 편은 아니나, 크고 무거우며 먹을 수 없는 머리를 떼어내면 갑자기 양이 확 줄어버리는지라 가격에 비해 먹을 것이 별로 없어서 큰 인기는 없는 편. 일반적인 새우와 다른 특유의 그로테스크한 비주얼[* 사람에 따라서는 [[삼엽충]]이나 [[투구게]] 내지는 [[페이스 허거]]를 닮았다고 평하기도 한다.~~아무리 그래도 등각류만 할까~~]도 한 몫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