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副祭 - [[기독교]] [[성직자]]의 품계 중 하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제(성직자))] == [[副]][[帝]] - [[황제]]에 버금가는 지위[anchor(副帝)] == 흔히 [[로마 제국]]의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사두정치]](테트라키아)를 실시하며, [[정황제|정제]](正帝) [[아우구스투스(칭호)|아우구스투스]](Augustus)를 보좌하며 후계자 역할을 하는 부제 [[카이사르(칭호)|카이사르]](Caesar)를 설치한 것이 유래이다. 이는 [[동로마 제국]]에도 존재했는데, 최상급의 명예직[* 동양권의 [[태대각간]], [[대막리지]], [[상국]]과 비슷하달까.]으로 권위를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콤니노스 왕조]] 이후로 세바스토크라토르 등의 작위가 신설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묻히는 감이 있게 되었다. 게르만어권의 [[카이저]]와 슬라브어권의 [[차르]]는 이 동로마 제국의 칭호 '카이사르'에서 출발한 것이다. 이러한 부제의 개념은 동양의 [[황태자]]와 비슷한 속성을 띄었는데 [[대리청정]] 시기 대조와 소조로 조정이 구분되며 소조, 즉 태자가 대조(황제)를 보좌한다는 점은 부제와 동일했다. 다운그레이드 버전으로는 [[부왕]](副王)이 있는데, [[아라곤 왕국]]과 이후의 [[스페인 왕국]]에서 보이는 [[나폴리]] 부왕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부왕은 부제와는 달리 왕의 통치력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곳에서 왕의 직무와 권위를 대행하는 [[총독]]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황제의 최고위 측근 겸 후계자 역할을 했던 부제와는 한국어 번역 명칭만이 비슷할 뿐 완전히 다른 직위라고 할 수 있다. == [[副]][[題]] - [[부제목]]의 줄임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제목)] == [[部]][[制]] - [[자동차]]의 운행 제한 규칙 == 통행량 조절을 위해 주로 [[자가용]] 승용차 및 [[택시]]의 일부를 특정한 날에 운행하지 못하게 하는 것. 대한민국에서는 2006년에 의무화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tvh&oid=214&aid=0000005558|#]] 자율 참여형이 아니면, 누가 운행하고 누가 쉴 지를 정하는 방법으로 널리 쓰이는 것은 10부제, 5부제(요일제), 홀짝제(2부제) 정도가 있다. 10부제는 번호판 끝자리가 날짜와 같으면 쉬는 것, 5부제는 간략화된 10부제로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1~5/6~0번이 짝을 이루어 쉬는 것이다. 홀짝제는 격일로 홀수 날에는 홀수 번호판이, 짝수 날에는 짝수 번호판이 쉰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에는 수험생 수송을 목적으로 일시 해제된다. [[서울시]]의 경우 자가용 승용차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5부제에 자율적으로 참가하며 부제인 날에 운행을 하지 않으면 공영[[주차장]] 30% 할인 등의 혜택이 있다. 부제 위반 차량을 잡기 위해 RFID 태그를 배부하고 앞 유리창에 붙이도록 하는데, 안 붙이고 글러브박스 같은 곳에 넣어놓는 차가 생각보다 많다.[* ~~집에 차 두대가 있으면 할만한 것이다. 번호판 끝번호가 같지 않다면... 일종 꼼수~~] 이런 저런 문제들로 인해 승용차 요일제는 2020년 1월 9일 이후로 신규 가입이 중단되었고 7월 9일에 완전히 폐지되었다.[[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00616/101525656/1|#]] 서울 개인택시의 경우[* 택시는 각 지자체별로 인가를 내기 때문에 부제도 지자체마다 다르다. 서울이 가장 택시가 많기 때문에 부제도 세분화되어 있다.] [[모범택시]]와 고급택시를 제외한 모든 중형택시가 가,나,다,라,9의 5부제를 적용받는다. 부제 여부는 택시의 측면,후면에 부착되어 있다. ~~[[Hi Seoul]]이 들어있다.~~ 가나다조는 1970년대부터 시행된 유서깊은 3부제로, 2일간 일한 다음 하루를 쉬어야되는 방식이다. 가조는 새해 첫날에 휴무한 후 2일간 근무한다. 나조는 새해 첫날을 근무하고 다음날 휴무하고 그 다음 2일간 근무한다. 다조는 새해 첫 2일간 근무하고 셋째날에 휴무한다. 가나다조의 근무일은 오전 4시를 기준으로 변경된다. 라조도 동일[* 다만 쉬는 날로 넘어가기 직전(오전 3시 55분 같은 시간)에 손님을 태우면 그 손님까지는 영업 가능. 즉, 오전 4시까지는 손님을 태울 수 있다.] 라조는 2014년부터 신설된 근무조로 매주 수요일과 일요일에는 무조건 휴무하고, 금요일은 다시 라조 안에서 2교대를 한다.[* 그래서 라조는 부제 표시에 보면 2.4 나 1.3이라고 써있다. 2주에 한 번 금요일은 쉬기 때문. 단, 그 주가 그 달의 첫번째 주인지 아니면 전 달의 마지막 주인지는 그 달의 1일이 무슨 요일인지로 정한다. 그 달의 1일이 수요일 이전이면 그 달의 첫 주로 보고, 목요일 이후면 전 달의 마지막 주로 본다.] 9조는 2013년부터 신설된 근무조로 매일 밤 9시부터 다음날 아침 9시까지 영업할 수 있고, 매주 일요일만 휴무이다. 여담으로 택시 기사가 가장 힘든 부제는 9조이고(매일 밤낮이 바뀌어서 생활해야 한다.), 제일 편한 부제는 라조다. 그리고 서울의 경우 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등 특별한 사유가 있으면 일시적으로 부제를 해제하기도 하는데, 월드컵 경기가 있다거나 하는 이벤트가 있을 경우가 그렇다. 추석이나 구정 연휴 때는 거의 항상 부제가 풀린다.[* 다만 택시 기사들도 명절을 보내야 하니 부제가 풀려도 택시가 그렇게 많이 돌아다니진 않는다.] 2023년에는 서울 [[개인택시]] 부제가 거의 50년만에 해제되어 위 문서 내용이 옛말이 되었다. [[법인택시]] 업계(기사, 사장 등)에서는 부제를 다시 도입하라고 하지만 재도입될 가능성은 없어보인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제호]][[분류:로마 황제]][[분류:유럽의 귀족 작위]][[분류:환경 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