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夫]][[人]]: [[유부녀]]를 일컫는 말 == '''남의 [[아내]]'''를 정중하게 일컫는 단어. 이 경우는 남편의 이름을 덧붙여 xxx(의) 부인이라고 칭할 경우가 많다. 또한 예전엔 사대부 집안의 남성이 자신의 아내에게 대고 직접 부를 때 쓰는 표현이기도 했다. [[사극]]에서 양반 집안의 남성이 자기 아내를 부를 때 2인칭 격으로 이 말을 쓰는 건 이 때문이다. 대부분 [[하오체]]와 더불어 사용했다. 좀더 고대에도 부인은 귀족집안의 기혼 여성을 이르는 말로 백제에 경우 왕후를 대부인이라고 불렀다. 백제 유물인 [[무령왕비 은팔찌]]에서도 이러한 사실을 알수있다. 사실 [[유부녀]] 자체를 의미하는 말로 부인(婦人)이란 말도 있는데 (ex. 부인회), 현대엔 이 말보다는 [[부녀|부녀자]] 등을 더 많이 쓴다. 팬덤 계열에서는 은어로 '부인'을 줄여서 '뷘'이라고도 한다. 특정 인물의 부인을 자청해서 '~뷘'이라고 칭하는 식으로 사용된다. == 작위 부인(夫人) == 중국 주나라의 예법엔 제후의 아내(夫人)를 일컫는 말이기도 했다.[* 예기에 따르면 천자의 비(妃)는 후(后), 제후의 아내는 '''부인(夫人)''', 대부의 아내는 유인(孺人), 사(士) 아내는 '''부인(婦人)''', 서인의 아내는 처(妻).] 이는 [[작위]]로 발전해서 천자가 제후의 아내를 봉해줄 때 사용되었다. 한국 왕조에선 고구려, 신라, 백제 왕조가 군주의 아내를 부인이라고 불렀는데[* 일본서기 부인의 훈으로 하시카시ハシカシ가 있는데 백제어로 추정한다.] 중국과 사용 방법이 전혀 달랐다. 부인을 부를 때 이름[* 유화부인 등.], 부족(가문), 중국식 존호를 붙혀서 부르거나 왕후가 된 순서대로 정부인, 중부인, 소부인으로 부르기도 했다.[* 고조선, 부여, 발해는 기록이 없다.] 이후 고려 왕조에서도 초기에 삼국과 비슷하게 사용했다. 중기 이후 체제가 정비된 후 중국과 같게 사용하게 된다. 보통 신하가 작위를 받으면 따라 봉해졌는데 풀명칭은 "'''OO국(군) 대부인(OO國 大夫人)'''"이었다. 국가를 봉해 줄 땐 실제 국가나[* [[이자겸]]의 처 변한국 대부인.] 가상의 국가를 봉해줬다.[* 이자겸의 어머니 통의국 대부인.] 군현을 봉해 줄 땐 실제 지역을 봉해 주었다. === [[에로영화]]의 상투적인 제목 === 어째 주로 [[불륜]]극의 제목에 많이 쓰는 듯하다. [[파일:external/ddotb.files.wordpress.com/bov.jpg|width=350]] * [[보바리 부인]] 여주인공인 보바리 부인의 [[불륜]]을 다룬 19세기 프랑스 소설이 원작이다. 시대가 시대기 때문에 주인공은 자살로 최후를 맞이한다. [[파일:external/lh3.ggpht.com/14683.jpg|width=350]] * [[채털리 부인의 연인|채털리 부인]] 간단히 말하자면 남편이 [[고자]]라서 채털리는 정원사와 불륜을 저지르고, 남편도 그걸 묵인한다는 내용.(...) 참고로 이것도 원작이 소설인데, 내용이 저런지라 당시 금서로 지정되었다. 자세한 것은 [[채털리 부인의 연인]] 항목 참조. [[파일:자유부인 포스터.jpg|width=350]] * [[자유부인(영화)|자유부인]] 교수의 아내가 춤바람이 난다는 영화. 정비석의 원작소설을 한형모가 영화로 각색했다. 당시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파일:애마부인.jpg|width=350]] * [[애마부인]] [[파일:젖소부인 바람났네.jpg|width=350]] * 젖소부인 [[파일:external/www.mlbpark.com/77.bmp|width=350]] * 엠마뉴엘 부인 == 否認: 인정하지 않음 == 어떠한 사실을 인정하지 않음. 예시 >[[범인|그는]] [[범죄|범행사실]]을 부인했다 법률적으로는 [[민사소송]]에서 원고의 청구에 대하여 피고가 하는 것이 부인과 [[항변]]이 있는데, 부인이 청구사실이 없음을 주장하는 것이라면, 항변은 청구사실이 있음에도 다른 원인으로 청구원인이 이유가 없음을 드러낸다. 구체적으로 부인의 이유가 없는 단순부인(單純否認)과 이유가 존재하는 이유부부인(理由附否認)이 있다. 다만 법학적으로는 부인보다는 [[항변]]이 더 많이 다루어지는 편. === [[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 || '''영어판 명칭''' || '''Negate''' ||<|5>[[파일:Negate.jpg]]|| || '''한글판 명칭''' || '''부인''' || || '''마나비용''' || {{{#white {1}{U} }}}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순간마법 || ||<-2><:>생물이 아닌 주문 한 개를 목표로 정한다. 그 주문을 무효화한다.|| 마나 2개짜리 [[카운터]] 중에서도 꽤나 많이 사용되는 카드다. 생물 주문을 카운터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상대방의 디나이얼이나 키 카드 등의 콤보를 끊어줄 때에 유용하게 쓰인다. Conflux에서 좀더 강화판인 [[Countersquall]]이 나온 바 있다. 하지만 유색을 2개 먹기 때문에 부인에 비해서는 범용성이 떨어진다. '''수록세트 일람''' ||<:>{{{#fff '''세트'''}}}||<:>'''[[매직 더 개더링/블록|{{{#fff 블록}}}]]'''||<:>{{{#fff '''희귀도'''}}}|| || Morningtide || [[Lorwyn]] ||<|12> 커먼 || || Magic 2010 ||<|6> 코어세트 || || Magic 2011 || || Magic 2012 || || Magic 2013 || || Magic 2014 || || Magic 2015 || || 타르커의 용 || [[타르커]] || || [[매직의 기원]] || 코어세트 || || 관문수호대의 맹세 || [[젠디카르 전투]] || || Conspiracy - Take the Crown || — || || [[익살란의 숙적들]] || [[익살란]] || ||<-2> [[매직 더 개더링/카드 일람/스트릭스헤이븐 신비한 저장소|스트릭스헤이븐: 신비한 저장소]] || 언커먼 || ||<-2> [[도미나리아 유나이티드]] || 커먼 || [각주][[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분류:가족]][[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관문수호대의 맹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