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육군편제단위)] [목차] 副聯隊長 == 개요 == [[연대장]] 밑에서 지휘를 보좌하고 유사시 연대를 대리 지휘하는 [[부지휘관]] 직위이다. 연대 내에서는 서열 2위가 된다. [[영어]]로는 Regiment Executive Officer이다. 줄여서 해당 연대 내에서는 XO라고 부른다. == 상세 == [[연대장]]의 [[급사]] 가능성이 높은 전시를 제외하면 평시엔 공란으로 두는 경우가 많은데 상비연대의 경우 [[작전과장]]이나 [[인사참모|인사과장]], [[정보참모|정보과장]], [[군수참모|군수과장]], 향토·동원연대의 경우 동원과장 등 연대장을 보좌할 다른 소령급 장교들이 많고 [[군단]]이나 [[사단(군사)|사단]]급 부대에 비해 규모가 작고 숫자가 많아서 [* 육군의 마지막 연대는 223보병연대] 일일이 부연대장을 보임하면 [[중령]]의 소요가 늘기 때문이다. 결국은 인건비 문제다. [[지휘자(군사)|지휘자]]와 간부가 적은 [[소대]]나 [[분대]]급에선 [[부소대장]]이나 [[부분대장]]을 보임하는 것과 달리 더 규모가 큰 부대들은 고급장교를 보임해야 하기 때문에 [[부중대장]], [[부대대장]], [[부연대장]]을 보기가 드물다. 하지만 [[장성급 장교]]가 지휘관으로 보임되는 부대인 사단에서는 [[부사단장]]을 최소 2명 이상 둔다. 근래에는 영관급 장교의 정년이 연장되어 말년 [[중령]]을 부연대장으로 보임하는 경우가 많아 [[부연대장]]이 보임된 연대가 늘고 있다. 하지만 부연대장은 해당 연대에서 근무하는 것이 아니라 사단사령부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은 사단의 참모직과 겸임한다. 그러다가 연대장이 휴가를 가거나 기타 사유([[직위해제]], [[보직해임]], [[입원]], [[사망]] 등)로 연대장의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부연대장이 연대로 와서 연대장 직무대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연대장의 직무수행 불능상태 뿐만 아니라 대대장에게도 해당되며 부대대장이 없는 부대가 많기에 대대장 결원상태가 되는 경우 부연대장이 대대장으로 보임될 수도 있다 [[대령]](진)이 와서 보직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아주 잠깐만 부연대장을 하며 대령으로 진급과 동시에 바로 [[연대장]]이 된다. 잠깐 부연대장을 하는 이유는 연대장으로서의 업무를 인수인계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비군]] 편제에는 남아있는 보직인데 주로 [[예비역]] [[중령]]이 들어가는 게 원칙이지만 인원이 부족할 경우 예비역 [[소령]]까지도 가능하다. 단, 부연대장은 무조건 [[영관급 장교]] 보직이기 때문에 [[부중대장]]이나 [[부대대장]]과는 달리 예비역 [[위관급 장교]] 이하는 못 하며 영관급 장교가 아무도 없으면 공석으로 놔둔다. == 여담 == [[이진삼]] 전 육군참모총장이 중령 시절 부연대장을 역임했다. 이 당시 전역을 심각하게 고려했으나 선배들의 도움으로 대령부터 대장까지 연이어 진급에 성공했다. [[분류:부지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