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충청남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부여군의 읍면)] ||<-4> '''[[충청남도|{{{#000,#ddd 충청남도}}}]]의 [[자치군|{{{#000,#ddd 자치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부여군 CI.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부여군}}}'''[br]扶餘郡[br]{{{-1 Buyeo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여군&zoom=10, 너비=100%, 높이=100%)]}}} || ||<-2> '''군청 소재지''' ||<-2> 부여읍 사비로 33 (동남리) || ||<-2> '''광역자치단체''' ||<-2> [[충청남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15[[면(행정구역)|면]] || ||<-2> '''면적''' ||<-2> 624.53㎢ || ||<-2> '''인구''' ||<-2> 61,252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 ||<-2> '''인구밀도''' ||<-2> 100.71명/㎢ || ||<-2> '''군수'''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정현(1964년 6월)|박정현]] ,,(재선),, || ||<-2><|3> '''군의회'''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6석[* 부여군 가선거구 (부여읍, 규암면): 서정호, 박순화[br]부여군 나선거구 (은산면, 외산면, 내산면, 구룡면, 홍산면, 옥산면, 남면, 충화면): 김영춘, [[장성용]][br]부여군 다선거구 (양화면, 임천면, 장암면, 세도면, 석성면, 초촌면): 조재범[br]비례대표: 장소미]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4석[* 부여군 가선거구 (부여읍, 규암면): 민병희[br]부여군 나선거구 (은산면, 외산면, 내산면, 구룡면, 홍산면, 옥산면, 남면, 충화면): 김기일[br]부여군 다선거구 (양화면, 임천면, 장암면, 세도면, 석성면, 초촌면): [[송복섭]][br]비례대표: 윤선예] || || [include(틀:공석/행정구역)] || 1석[* 부여군 가선거구 (부여읍, 규암면) 박상우 의원 사직으로 인한 공석] || ||<-2> [[충청남도의회|{{{#fff '''도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1석[* 부여군 제2선거구 (은산면, 외산면, 내산면, 구룡면, 홍산면, 옥산면, 남면, 충화면, 양화면, 임천면, 장암면, 세도면, 석성면, 초촌면): [[조길연]] (3선)]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진석(정치인)|정진석]][br]{{{#!wiki style="margin: 0 -10px; letter-spacing: -1px; font-size: 12px" ([[공주시·부여군·청양군|공주·부여·청양]] / 5선)}}} || ||<-2> '''지역번호''' ||<-2> '''041''' || ||<-2> '''홈페이지''' ||<-2> [[http://buyeo.go.kr/|[[파일:부여군 CI.svg|height=25]]]] || ||<-2> '''SNS''' ||<-2> [[https://www.facebook.com/buyeosarangbaekj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buyeo_gu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uyeo2013, 크기=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NGZC3GHfLo4o55WoGAXIq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blog.naver.com/buyeoblog|[[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동쪽으로 [[논산시]], 서쪽으로 [[보령시]]와 [[서천군]], 북쪽으로 [[공주시]]와 [[청양군]], 남쪽으로 [[전라북도]] [[익산시]]와 [[군산시]]와 접한다. [[백제]]의 수도였던 [[사비성|사비]]여서 [[백제문화단지]],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이 지역에 있다. '[[부여]]'라는 이름은 [[통일신라]] 때부터 이어온 지명이며, 백제 시대에는 사비, 소부리, 소우리 등으로 불렸다.[* 수도를 의미하는 순우리말인 서울의 어원이 된다.] [[부여]]는 만주 지방에 있던 고대 국가라 상관없을 거 같지만, [[백제]]의 시조 [[온조왕]]이 부여 왕족이었고, 백제 왕들의 성씨도 [[부여씨]]였으며 [[성왕(백제)|백제 성왕]]이 국명을 [[남부여]]로 바꿨을 정도였다. 이 지역을 부여로 명명한 통일신라도 그 역사적 관련성을 인정한 것이다. [[공주시]][* [[백제]] 때의 [[웅진]]]와 함께 백제문화제를 개회식과 폐막식을 번갈아가면서 진행하고 있으며, [[2010년]][* [[이용우(1961)|이용우]] 군수 재임시절이었다.]에는 세계대백제전을 개최했다. == 역사 == === 발전 초기 === [[기원전]]에는 [[청동기시대]]의 송국리 문화유형의 발원지였고, 그 이후 기원전 4~3세기 때 [[고조선]]이 [[연(춘추전국시대)|연나라]]에게 밀려나갈 때 발생한 이주민들의 한반도 이주 러시 후에는 [[삼한]] 중 [[마한]] 고포국의 영역이었다. [[삼국시대]]인 그 이후 대강 4세기 즈음 [[백제]] [[분서왕]] 혹은 [[비류왕]] 시기에 같은 마한의 백제국에 복속되었다. 이후 소부리(所夫里), 소우리, 사비 등의 지명으로 불렸고, 공식적으로는 [[사비성]]이 된다.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정책으로 [[개로왕]]이 죽고 한성백제가 몰락한 뒤 웅진백제시대인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쯤에 본격적으로 도시가 건설되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따르면 5세기 말인 [[동성왕]] 시기부터 왕이 자주 사비로 사냥을 나갔다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때부터 정치적 중요성이 수도 [[웅진성]](현 [[충청남도]] [[공주시]]) 다음으로 큰 도시가 아니었나 추측하거나 혹은 동성왕대부터 의도적으로 키우기 시작한 도시일 것이라 추측된다.[* 이러한 점은 [[고구려]] 마지막 수도인 [[평양성]]과 매우 흡사하다. 평양 역시 313년 [[미천왕]]의 [[한사군]] 정복 이후 고구려령으로 편입되었고 [[장수왕]] 시기 이전부터 제2의 수도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했다. [[고국원왕]]이 백제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소도 평양이고 [[광개토대왕]]대에 이미 평양 지역에 9개의 [[사찰]]을 지었다는 기사나 [[신라]]를 구원하기 위해 평양에서 출발했다는 기사로 미루어 볼 때 평양 역시 427년 장수왕의 천도 이전부터 완성되어있던 도시라고 볼 수 있겠다.] [[백제]] [[성왕(백제)|성왕]]이 국호를 '[[남부여]]'로 고치고 [[538년]] 웅진성에서 사비성으로 천도한 이래로 백제가 멸망하는 [[660년]]까지 6대 122년간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였다. 결국 부여가 도시개발이 안 되는 결정적 이유가 되고 말았다.[* 이건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시]]도 마찬가지이다.] 660년에 백제가 멸망해 궁성을 비롯한 많은 문물이 소실되었는데, 마지막 순간에 한 백제인이 [[금동대향로]]를 땅 속에 묻은 것이 신의 한 수라고 할 수 있다. [[남북국시대]]에 들어서는 중심지는 사비군(泗沘郡)으로, 현 임천면 일대는 가림군(加林郡)으로 불린다. 사비군의 속현으로는 진악산현(珍惡山縣, 석성면)과 열기현(悅己縣,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이 있었고 가림군의 속현으로는 마산현(馬山縣,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과 대산현(大山縣, 홍산면)이 있었다.[* 남북국시대의 행정구역은 보통 삼국시대의 행정구역을 거의 그대로 이어받았다. 부여 지역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던 걸로 보인다.] 신라 [[경덕왕]]의 전국 지명 한화정책 때 사비군은 부여군(扶餘郡)으로, 가림군은 가림군(嘉林郡)[* 한자만 다르다.]으로 개칭됐고 그 아래로 진악산현은 석산현(石山縣)으로, 열기현은 열성현(悅城縣)으로, 마산현은 그대로, 대산현은 한산현(翰山縣)이 된다. === 후삼국시대 이후 === [[후삼국시대]] 때는 [[후백제]]의 영역이었고, 후백제가 [[일리천 전투]]의 패배로 망할 때 고려의 영역이 되었다. [[고려시대]] 때 감무가 설치되었고 [[조선시대]] 때는 부여현으로 재편되는 등 '부여'란 이름을 간직해왔다. [[1914년]] [[조선총독부]]의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석성군 일부, 홍산군, 임천군을 통합하여 현재의 부여군 영역이 되었다. [[1960년]] 부여면이 부여읍으로 승격하였다. [[일제강점기]] 말기인 [[1939년]]에, 일본이 '내선일체' [[프로파간다]]를 퍼뜨리는 일환으로 부여 부소산 일대(지금의 삼충사 위치)에 [[부여신궁]]을 건축하고자 공사를 시작하였다. [[진구 황후]]를 비롯하여 백제와 관계 있는 일본의 옛 천황들의 신령 4위를 모시고자 하였다. 그러나 건물을 완공되기 전에 일본이 패전하고 우리나라가 광복하자, 만들다 만 부여신궁 건물을 부여청년동맹원들이 파괴하였다. 조선총독부가 부여신궁을 세우는데 너무 시골이라 공사가 지지부진하자 아예 부여를 신도(神都)라 칭하며 대대적으로 도시화하려고 하였다. 이 때문에 부여 내의 시가지를 대대적으로 정비하였는데 그 영향이 지금도 남아있다.[* 부여읍 초입 로터리부터 군청 앞까지의 도로가 당시 일제가 닦은 신작로다.] 몇해 전 충남도청 이전에 든 비용이 당시 돈으로 16만 원이었는데, 부여신궁의 총 공사비는 24만 원이었다. 더군다나 [[쇼와 덴노|히로히토]] 천황이 직접 공사 계획을 발표했다('충청남도 인터넷 신문' 인용). 당시 신궁에 모시려던 이가 [[임나일본부설]]에도 나오는 [[진구 황후]] 등이었던 점과 부여가 고대 일본과 관계가 깊은 옛 백제의 마지막 도읍이란 점 등을 드는 얘기가 있다. 부여신궁을 개발하면서 이 일대의 도로나 도시 정비 계획까지 잡혀있었으니 이때 개발이 진척되었더라면 금세 '부여시'가 되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시바 료타로]]의 '한나라(한국) 기행'에서, '일제가 망한 건 좋은데, 부여 일대 개발 때까지는 버텼어야 했다.'고 주장하는 한국인의 인터뷰가 소개된다.[* 물론 친일파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 그만큼 당시 부여가 개발되지 못한 것을 한탄하면서 나온 대화다.] 실제로 현재 부여군은 발전 상태에 비해서 읍내의 도로 정비가 잘 된 편이다. 그러나 만약 일제로 인해 부여가 개발되었다면 지금까지도 일본 극우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며 프로파간다로 써먹었을지는 안 봐도 뻔하다. 또한 서울의 [[풍납토성]]처럼 사비시기의 백제의 유적을 발굴하는 일에 있어 지금 이상의 애로사항이 꽃필 것은 확정이다. [[1960년대]]~[[1970년대]]까지 [[금강]] 내륙수운이 원활히 돌아갈 때 인근의 [[강경읍|강경]]과 더불어 상당한 발전을 구가하였다. 하지만 부여에는 꽤 오랫동안 철도는 물론이거니와 고속도로도 없었던 데다, [[1960년대]]~[[1990년대]]에 이루어진 경제 개발 정책으로 인해 [[경부선]]과 [[경부고속도로]]가 통하는 충청 내륙 지역들과 달리 부여군을 비롯한 충남 서부 지역들은 인구 유출을 겪게 되었으며, 1990년 [[금강하굿둑]]의 완공으로 금강 내륙수운이 완전히 정지됨에 따라 부여의 발전 역시 정체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또한 군의 인구도 계속하여 감소하는 추세다. 그래도 아직 부여읍이 인구 2만 선은 유지했고[* 2021년 3월에 딱 3명 차이로 2만 선이 붕괴했다.], 규암면도 인구 1만이 넘고 [[코아루]]나 [[휴엔하임]] 등이 지어질 정도[* 사실 부여읍이 옛 백제의 수도이기 때문에 대규모 아파트를 짓기 엄청 부담스럽다. 곳곳이 국가지정문화재+유네스코 세계유산이라 허가받는데도 시일이 걸리고, 공사하다가 문화재가 발굴될 수 있으므로...]이므로, 군 치고는 그래도 아직 심각하게 몰락하지는 않았다. === 인구 === || [[파일:부여군 CI.svg|width=50]] '''{{{#000 부여군}}}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97.50%,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94,99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90.03%,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80,0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88.35%,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76,69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81.89%,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63,7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71.32%,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42,63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63.45%,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26,9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52.15%,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04,3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46.84%,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93,6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41.7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83,46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37.52%,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75,0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35.5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71,14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32.68%,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65,35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30.71%,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61,252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94.27%, #888 0%, #888 100%, #AAA 0%)" {{{#fff 부여읍 18,64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58.755%, #888 0%, #888 100%, #AAA 0%)" {{{#fff 규암면 11,6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17.98%, #888 0%, #888 100%, #AAA 0%)" {{{#fff 은산면 3,5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14.98%, #888 0%, #888 100%, #AAA 0%)" {{{#fff 세도면 2,9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13.71%, #888 0%, #888 100%, #AAA 0%)" {{{#fff 홍산면 2,7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13.69%, #888 0%, #888 100%, #AAA 0%)" {{{#fff 석성면 2,7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13.06%, #888 0%, #888 100%, #AAA 0%)" {{{#fff 임천면 2,7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12.80%, #888 0%, #888 100%, #AAA 0%)" {{{#fff 장암면 2,5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11.29%, #888 0%, #888 100%, #AAA 0%)" {{{#fff 구룡면 2,2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11.26%, #888 0%, #888 100%, #AAA 0%)" {{{#fff 외산면 2,2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11.285%, #888 0%, #888 100%, #AAA 0%)" {{{#fff 초촌면 2,03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8.77%, #888 0%, #888 100%, #AAA 0%)" {{{#fff 남면 1,72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8.11%, #888 0%, #888 100%, #AAA 0%)" {{{#fff 양화면 1,6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7.495%, #888 0%, #888 100%, #AAA 0%)" {{{#fff 내산면 1,4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6.905%, #888 0%, #888 100%, #AAA 0%)" {{{#fff 옥산면 1,3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3c9b 5.475%, #888 0%, #888 100%, #AAA 0%)" {{{#fff 충화면 1,090명}}}}}} || || {{{-2 2023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 || == [[부여군/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여군/교통)] == [[부여군/관광|관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여군/관광)] === 특산물 === 대부분 농작물이다. 이들 가운데, 부여8미라는 것이 있다. * [[수박]] - [[함안]]의 브랜드에 밀리지만, 부여에서 생산량이 상당하다. 꽤나 오래전에 수박축제라는 행사가 존재했다. * [[멜론]] - 부여생산량이 전국 생산량의 30% 정도라 [[카더라]]. 과거 [[설빙]]에서 멜론빙수가 흥했을 때는 지역에 따라 가게 구석에 부여멜론 박스가 쌓여 있었을 정도. * [[방울토마토]] - 세도면이 유명하다 * [[오이]] * [[양송이버섯]] - 전국 생산량의 '''45%'''를 차지할 정도라고 한다. * [[밤(열매)|밤]] - 전국생산량의 12%를 차지한다고 한다. 하지만 윗동네 [[공주시|공주]]에 묻혔다. 밭이 넓은 건 이쪽. * [[딸기]] - 옆동네 [[논산시|논산]]에 묻혀서 그렇지 재배는 한다. * [[표고버섯]] - 전국 생산량의 13%를 차지한다고 한다. 모두 굿뜨래 브랜드마크를 달고 팔리며, 굿뜨래는 국내 농촌 브랜드화의 성공 사례로 자주 언급될 만큼 성과가 좋은 편이다. == 상권 == [[2000년대]] 초에 들어서야 [[롯데리아]]가 들어올 만큼 열악한 곳이었으나 최근 들어서 다양한 프렌차이즈들이 많이 입점해있다. 카페가 지역 규모에 비해 정말 많이 입점해있다.[* 특히 [[궁남지]] 일대에 정말 많이 있다.] 전통도시답게 한옥 스타일로 지어졌거나 한옥을 콘셉트으로 하는 커피숍도 많이 있다. 영화관은 전통시장 쪽에 위치하고 있다. 버스터미널과 전통시장 인근에 위치한 금성시네마는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지하주차장이 있으며, 2관까지 있고 1층은 은행이었이다.[* 은행이 2022년에 철수한 이후 실내풋살장 간판을 달고는 있지만 운영은 안 하고 있다] 술집 같은 경우는 딱히 밀집지역 같은 게 없다. 대부분이 동네 술집이다. 술자리 게임 같은 거 하기도 힘들고, 하는 사람도 별로 없다. 음식점 같은 경우는 의외로 괜찮은 편이다. 처음부터 관광도시여서인지 관광객을 타깃으로 한 몇몇 유명한 음식점들이 포진해 있다. 부소산이나 구드래공원 주변에 밀집되어 있는 관광지 식당은 말 그대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식당이다 보니 부실한 식사를 하게 될 확률이 높다. 2013년 9월 8일 규암면에 [[롯데아울렛]]이 새로 생겼다.[* 그와 동시에 [[롯데리조트]]와 롯데스카이힐CC도 같이 생겼다.] 롯데아울렛을 유치하기 위해 부지 땅값을 무료로 해줬다는 카더라가 있다. 꽤 많은 브랜드가 입점하였다. 이제 유명 브랜드를 사러 타지로 나가지 않게 된 일반 시민들은 환영했고, 부여읍 내에서 장사를 하던 사람들은 반대 운동도 벌였었지만 오픈 9년째인 현재도 매우 성업 중이다.[* 아울렛에 대부분 옷을 사러 가기에 그나마 지역상권에 문제가 많이가지는 않는다고 한다.] === 금융 === ||<-4> '''{{{#ffffff 부여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fff '''부여우체국 (16)'''}}}]] || ||<-4> '''{{{#1d1e23 특수은행 }}}''' || ||<-4>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2)'''}}}]] || ||<-4> '''{{{#1d1e23 시중은행 }}}''' || ||<-4> [[하나은행|{{{#ffffff '''하나은행 (1)'''}}}]]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 [[농협|{{{#fcaf16 '''부여농협 (4)'''}}}]] || [[농협|{{{#fcaf16 '''동부여농협 (3)'''}}}]] || [[농협|{{{#fcaf16 '''서부여농협 (3)'''}}}]] || [[농협|{{{#fcaf16 '''장암농협 (1)'''}}}]] || || [[농협|{{{#fcaf16 '''세도농협 (3)'''}}}]] || [[농협|{{{#fcaf16 '''남부여농협 (2)'''}}}]] || [[농협|{{{#fcaf16 '''구룡농협 (3)'''}}}]] || [[농협|{{{#fcaf16 '''대전충남우유농협 (1)'''}}}]] || ||<-2> [[농협|{{{#fcaf16 '''부여축산농협 (2)'''}}}]] ||<-2> [[농협|{{{#fcaf16 '''백제금산인삼농협 (1)'''}}}]] || ||<-4> '''{{{#ffffff 새마을금고 }}}''' || ||<-2> [[새마을금고|{{{#afeeee '''부여새마을금고 (4) '''}}}]] ||<-2> [[새마을금고|{{{#afeeee '''금강새마을금고 (1) '''}}}]] || ||<-4> '''{{{#ffffff 신용협동조합 }}}''' || || [[신협|{{{#ffa500 '''부여신용협동조합 (1) '''}}}]] || [[신협|{{{#ffa500 '''참우리신용협동조합(2) '''}}}]] ||<-2> [[신협|{{{#ffa500 '''새마을홍산신용협동조합(1) '''}}}]] || ||<-4> '''{{{#ffffff 산림조합 }}}''' || ||<-4> [[산림조합|{{{#9acd32 '''부여군산림조합 (1)'''}}}]] || == 생활문화 == 부여군을 본관으로 한 성씨는 [[임천 조씨]], [[부여 서씨]], [[홍산 순씨]] 등이 있다. === 교육 === [include(틀:충청남도 부여군의 초등학교)] [include(틀:충청남도 부여군의 중학교)] [include(틀:충청남도 부여군의 고등학교)] [[초등학교]] 24곳, [[중학교]] 11곳, [[고등학교]] 인문계2곳 실업계 2곳 마이스터 1곳, [[대학교]] 1곳이있다. 초등학교는 '''부여초''', '''백제초''', '''규암초'''를 제외하고는 1학년 1학급이다.[* 이 세 학교를 제외하곤 학생수가 많이 적다.] 고등학교는 '''부여고'''와 '''부여여고'''를 제외하고 남녀공학이다. [[마이스터고등학교]]인 [[한국식품마이스터고등학교]]가 있다. 대학교는 4년제 국립특수대학인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있다. === 음식 === [[전라북도]]와 가까운 탓에 전라도와 충청도가 혼합해 있는 듯한 음식들이 대부분. 대표적으로는 구드래 돌쌈밥이라는 곳이 있는데 구드래에 위치하고 20년이 넘게 성업 중이다. 돌솥밥에 여러가지 쌈들이 같이 나오는데 반찬이 많지만 대부분 구색 갖추기 수준. 읍내 전통시장에 시골통닭 같은 경우, 과거부터 치킨이 아닌 통닭과 삼계탕을 팔던 곳이었는데, [[백종원의 3대 천왕]]에 나온 이후로 부여를 방문하게 되면 오게 되는 맛집으로 유명해졌다. === 의료기관 === 부여[[경찰서]]옆에 부여 유일한 지역응급의료기관인 [[건양대학교부여병원]](74병상)이 있긴 한데, 종합병원은 아니고 일반 병원급이다.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요양원도 뒤편에 위치해 있다.[* 이 요양원은 건양대에서 운영하고 있다.] === 기타 === 지역 특성상 바로 아래 [[전라북도]] [[익산시|익산]]과 붙어 있어서 그런지 익산 쪽에서 유입되어 오던 사람들이 있다. 먼 과거 부여와 익산이 백제 중후기의 핵심 지역인 데다, 가까운 과거 경제 발전기에는 충남에서 가장 발전한 동네였던 강경과 맞붙어 있어서 전북에서 사람들이 많이 유입되어있다. 실제로도 충청도 사투리에 약간의 전북 사투리가 섞여서, 구분하기 어려운 사투리를 쓰는 경우가 자주 보인다. 그러나 전라도 특유의 사투리인 '거시기'의 사용은 드물고 '시방'을 자주 쓴다. 이는 [[논산시|논산]] 및 [[서천군|서천]] 등지도 똑같다. (논산시 반절 정도는 원래 전라북도에 속해있다가 충청남도로 부속되었다.) [[1967년]]에는 농민 [[올림픽]]이라는 행사가 이 곳에서 열린 적이 있었다. 올림픽이라는 거창한 이름과는 달리 그냥 충남 지역의 16개 면에서 온 농민들이 선수로 참가해 심플하게 하루 만에 끝낸 행사였다. 농촌의 번영을 위한 취지로 열렸으며 종목으로는 손수레 빨리 끌기, 쟁기질 빨리 하기, 감자 빨리 까기, 경운기 빨리 몰기 등 농촌 생활을 스포츠화한 종목들이 있었다. 우승 상품으로는 비료가 주어졌으며 대회가 폐막된 후에는 참가상격으로 술과 음식을 나눠주며 잔치를 벌였다고 한다. 그러나 농민 올림픽은 [[솔로대첩|1회성으로 끝나고 말았다]]. [[https://youtu.be/ixfnKzz6GXw?t=203|대한뉴스 중 농민 올림픽]] 축구팀은 [[부여 FC]]가 [[K3리그(2007~2019)|K3리그]] 2016 시즌부터 2018 시즌 참가했었다. == [[부여군/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여군/정치)] == 하위 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여군/행정)] == 기타 == 한창 [[행정구역 개편/기초자치단체 통합|행정구역 통합 시도]]가 잦았을 때 부여군에서 [[공주시]]에 '백제시'로 통합하자는 제안을 했지만 무산된 적이 있다. 여러모로 공주 입장에선 손해인 데다가, 부여에서 공주시는 의외로 멀다. [[KBS 2TV]]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드라마)|구르미 그린 달빛]] 의 주요 촬영지 중 한 곳이 부여였다. 그 중에서도 백제문화단지. 일부 몰지각한 지역 주민들이[* 옥산면 J리라고 알려졌는데 옥산면에 J로 시작하는 장소는 중양리 말고는 없다.] [[부루마불|마을]] [[산적|통행료]]를 요구하며 [[장례식등방해죄|장의차를 막는]] 기행을 보인 사건이 있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3216455|#]] 이 지역 뿐만 아니라 부여군의 다른 지역에서도 유골함도 못묻게 막고 돈을 요구하는 일이 있어 사람들의 지탄을 받았다. [[http://www.segye.com/newsView/20171024001914|#]] 한편 이 J리의 당시 이장은 2014년부터 2015년까지 태양광발전소 부지 진입 도로를 틀어막고 최대 1억의 뒷돈을 요구하여, 해당 업자가 결국 사업을 접은 일이 뒤늦게 밝혀졌다. [[http://v.media.daum.net/v/20171209174237184?f=m&rcmd=rn|기사]] 2017년 10월 J리의 이장이 물러나고 새 이장이 선출되었는데, 새 이장은 전 이장단이 불법으로 받은 통행료 내역을 공개하라며 대자보를 붙인 귀농 부부를 J리에서 제명한 뒤 마을회관 등의 출입금지 조치를 하는 이른바 [[작은 사회]]의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3231917|기사]] [[장의차 통행료 요구 사건]] 문서로. 창천의 백제와 후속작 대해의 백제에서는 동아시아를 완전히 제패하고 이후 알려진 문명세계를 정복하기 시작하는 제국이자 대백제국의 2개의 도읍지(나머지 하나는 "한성" 지금의 서울특별시)중 하나로 나오면서 주인공 의자왕 (백제국왕겸 초원의 대칸으로 나옴)덕분에 원래 도읍이다 보니 정쟁의 중심이며 이후 왕비 은고와 왕자들을 남방으로 내쳐 숙청하고 외척 진구도 아프리카로 보내는등 유혈사태가 벌어지기도하나 신라를 멸하고 일본을 몇개의 귀족령을 제외하면 직할령으로 삼고 당나라를 멸하고 강남지역을 직할령화 하면서 돌궐의 대칸이되고 고구려를 동생국 또는 아래로 두었으면서 금 은화도 생산하고 세계적으로 가장 큰 도서관(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있었으나 프톨레마이오스왕조 말기 로마제국후기의 혼란기와 이슬람제국의 점령등으로 파괴되고 복구하다 서서히 입지가 좁아지고 작중 시기에서는 완전히 사라진다)을 두고 주변국으로 인재를 받아들이면서 원래역사보다 더욱 커진 번영하는 거대도시가 된다. 2000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적용되기 전에는 영문 표기를 PUYO로 한 적이 있었다. 그래서 영문으로 이름이 같은 [[뿌요뿌요]]를 만든 [[컴파일(게임 회사)|컴파일]]의 사장 [[니이타니 마사미츠]]가 이를 보고 한국 방문 때 부여를 직접 들른 적도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복성]] 중 하나인 [[남궁]]씨의 최대 집성촌이 있다. 부여군 부여읍 석목리 위치. [[바람의나라: 연]] 광고에서 고구려 군대와 부여 군대가 서로를 놀리는 플롯의 광고를 냈는데, 부여의 군대가 '부여군'으로 표현되면서 이 부여군을 연상하는 사람이 여럿 있었고 '부여군청 반응이 궁금하다' '저도 부여 사람인데 군수님이 이거 봤으면 좋겠다' 이런 댓글들이 나왔다. 심지어 자기가 부여에서 태어났는데 기분 나쁘다며 신고한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https://youtu.be/XmuYIAMQYLQ|1995년 간첩이 침투하여 군경과 교전을 벌인 적이 있다.]] 과거 내비게이션이 대중화되기 전 종이 지도책이 성행했을 때 국내 시들의 시가지 지역을 확대한 지도를 모아둔 코너가 있었는데, 몇몇 지도의 해당 코너에 군 지역임에도 유일하게 부여읍내가 수록된 경우가 있었다. 관광 도시로 전국적으로 유명하다는 점을 반영한 듯하다. == 출신 인물 == * 강성모: 독립운동가 * [[강신육]] * 구인회 전 [[천국복음전도회]] 회장 * [[김기남(1964)]] * [[김기서]] * [[김덕주]] * [[김무환]] * [[김부회]] * [[김성기(1936)|김성기]] * [[김성진(1905)|김성진]]: [[일제강점기]]~[[미군정기]]의 유명한 [[외과]]의사, 정치인 * [[김연수(정치인)|김연수]] * [[김영미(교수)]] * [[김윤경(1949)]] * [[김익진]] * [[김종락]]: 前 [[대한야구협회]]장, 국회의원. 김종필의 셋째 형. * [[김종익(1918)|김종익]]: 김종필의 큰형. * [[김종필]]: 제11·31대 [[국무총리]] * [[김준호(공무원)|김준호]]: 전 우정사업본부장 * [[김증한]] * [[김지용(법조인)|김지용]] * [[김철수(1906)]] * [[김택수(1944)]] * [[김헌동]]: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 * [[나승일]] * [[남궁영]] * [[남궁현(정치인)|남궁현]] * [[류철희]] * [[민병태]] * [[박덕수]]: 인천광역시 행정부시장 * [[박병구]] * [[박상우(1971)]] * [[박선희]] * [[박영순]]: 제21대 국회의원[* 지역구: 대전광역시 [[대덕구]]] * [[박시후]] * [[박정현(1964년 6월)]]: 現 부여군수 * [[박종근(1957)]] * [[박진규(1966)]]: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 [[박한기]] * [[상병헌]] * [[성동규]] * [[송복섭]] * [[신동수(기업인)]] * [[신동엽(시인)|신동엽]] * [[신현환]] * [[심상기(언론인)|심상기]]: 서울미디어그룹([[서울문화사]]) 창업주 * [[왈로]]: [[디핀칼즈 레코즈]] 소속 래퍼 * [[유덕준]] * [[유병기]] * [[유병돈]] * [[유상근]] * [[유재성]] * [[유진영]] * [[유지나(1968)|유지나]]: 트로트 가수 * [[유찬종(1959년 1월)|유찬종]] * [[윤석전]]: [[연세중앙교회]] 담임목사 * [[윤성한(정치인)|윤성한]] * [[윤택영(1964)]] * [[윤희석(배우)|윤희석]]: 배우 * [[윤성훈]]: [[메가스터디]] 소속 사회탐구 강사 * [[이석기(1907)|이석기]] * [[이승미]] * [[이영애(1951)|이영애]] * [[이오숙]] * [[이용우(1961)|이용우]]: 前 부여군수 * [[이웅범]] * [[이원범]] * [[이원종(1966)|이원종]] * [[이재경(정치인)|이재경]] * [[이종순(1908)|이종순]] * [[이진삼]] * [[이한구(1870년 10월)]] * [[이호철(독립운동가)|이호철]] * [[임두빈]] * [[임병직]] * [[임옥상]] * [[임정모]] * [[임철호]] * [[임화빈]] * [[장성용]] * [[정국교]] * [[정두홍]] * [[정상철(1954)|정상철]]: 前 충남대학교 총장, 정치인 * [[정한모]] * [[조길연]] * [[조남수]] * [[조대현(법조인)|조대현]] * [[조의연]] * [[삼부토건]] 가문 * [[조정구(1916)|조정구]]: 삼부토건 창업주 * 조창구: 前 삼부토건 회장 * 조경구: 가산토건 창업주 * [[조남욱]]: 前 삼부토건 회장 * [[조종국]] * [[조치연]] * [[지용호]] * [[최갑석]] * [[최고병]] * [[태민영]]: 배우. 본명 태명언 * [[한광석]] * [[함영주]] * [[허익범]] * [[홍표근]] * [[황우석]] * 최치환(1959): 작곡가 *윤여산(1976): 서울전문학교 전 교수, 제이원레저에듀 대표. [각주] [[분류:부여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