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1 '''부산 요금소'''}}}[br]{{{-2 '''釜山 料金所'''}}}[br]{{{-2 '''Busan Tollgate'''}}}}}}}}} || || [[구서IC|{{{#!html부산 방면}}}]][br][[영락IC]][br]← 0.5 km || [[경부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svg|height=23]]{{{#!html
경부선}}}]]'''{{{#fff {{{+1 TG}}}}}}''' || [[양재IC|{{{#!html서울 방면}}}]][br][[노포IC]][br]1.2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TG, 너비=100%, 높이=225px)] || ||<-3> [[파일:120431_121495_2344.jpg|width=100%]]|| ||<-3> {{{-2 '''다차로 하이패스 설치 이후의 부산TG'''}}}[* 서울TG와 달리 요금소가 두동강이 났으며, 새로 설치했던 요금소 간판도 타원형으로 양쪽에 분리 설치 되었다. 참고로 일반 차로 사이에 낑겨있는 또 다른 하이패스는 당연히 4.5톤 이상 [[화물차]]를 위한 것. 이러한 방식은 이후 [[김포TG]] 등 수도권의 본선요금소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비슷한 톨게이트로 [[중부내륙고속도로]]에 있는 [[칠원TG]]도 타원형 톨게이트다.] || ||<-3> {{{#fff '''주소'''}}} || ||<-3> [[부산광역시]] [[금정구]] [[고분로(금정구)|고분로]] 148 ([[두구동]]) || ||<-3> {{{#fff '''관리기관'''}}} || || [[경부고속도로|{{{#fff 경부선}}}]] ||<-2>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서울산지사 || ||<-3> {{{#fff '''개통'''}}} || ||<-3> [[1969년]] [[12월 1일]][*A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9122900209203013|大邱-釜山개통]], 동아일보, 1969-12-29]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경부고속도로]]의 [[폐쇄식 요금소]] [* [[구서IC]] 방향은 개방식 구간이 시작되는데 나들목이 꼴랑 2개 있다. 그리고 반대방향인 [[양재IC]] 방향은 폐쇄식 구간이 시작된다.]. == 상세 == 고속도로계의 레전드인 [[경부고속도로]]의 한쪽 끝을 장식하는 요금소로써 오랫동안 부산의 대표 관문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너무 북쪽에 치우친 위치 덕에 통행량은 그럭저럭으로 [[서울TG|서울 요금소]]처럼 큰 규모를 자랑하진 않는다. 반대쪽은 [[북부산TG|북부산 요금소]]와 [[서부산TG|서부산 요금소]]가 자리를 제대로 잡았으며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고속도로]]의 개통으로 대다수의 외지인들이 [[대동TG|대동 요금소]]를 거쳐 덕천 or [[백양터널]]을 통해 시내로 들어가는 까닭에 부산 요금소 근처에서 정체가 발생하는 일은 잘 없다. [[중앙고속도로]]에서 [[중앙고속도로지선]]을 통해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로 환승 후 이쪽으로 시내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다. 북구보다 더 북쪽에 위치한 [[금정구]] 주민들은 상당히 돌아가는 구조에도 불구하고 제일 빠른 길이며 다른 동네 주민들도 [[만덕터널]] 구간 대신 구서 - 도시고속도로 루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잦기 때문. 이제는 부산외곽고속도로의 개통으로 굳이 양산까지 올라갔다 내려올 필요 없이 대감분기점을 통해 바로 올 수 있지만 그래봤자 부산 요금소 코앞에서 [[경부고속도로]]와 만나기 때문에 별 의미는 없다. [[상주영천고속도로]]도 오픈되긴 했는데 이거 타고 오는 사람들은 예전에도 이쪽으로 많이들 진출입하는 양반들이기 때문에 역시 상관없다. ||[[파일:0716.jpg|width=100%]]|| 본디 여타 톨게이트와 똑같은 디자인이었으나 서울 요금소가 간판을 바꿔달아서 그런지 이쪽도 리모델링을 통해 [[부산광역시|부산]]을 상징하는 바다, 파도, 갈매기를 형상화하였다. 그러나 2019년 12월에 다차로 하이패스가 설치되면서 요금소 중앙의 양방향 3차로씩을 그냥 밀어버리면서 해당 간판도 철거되었고 분할될 두 요금소에 각각 신설 요금소에 설치되는 타원형 간판이 따로 설치되었다. == 구조[* 부산 시점에서 접속하는 도로 포함] == === [[양재IC|서울]] 방향(상행선) === *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다차로 하이패스|1, 2, 3]], 6 차로'''. * 일반 진출차로: '''4, 5, 7, 8 차로'''. === [[구서IC|부산]] 방향(하행선) === *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다차로 하이패스|1, 2, 3]], 9 차로'''. * 일반 진출차로: '''3~8, 10~14 차로'''. == 역사 == * [[1969년]] [[12월 29일]] 경부고속도로 부산 - 대구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영업을 시작하였다.[*A] * [[2010년]] 10월에 톨게이트 리모델링 공사가 실시되었다.[* [[http://www.bulgu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7818|[부울경뉴스]금정구,부산 톨게이트 새 얼굴 기대하세요]], 2010-10-19, 부울경뉴스] * [[2019년]] [[12월]] 다차로 하이패스가 설치되었다. == 일평균 통행량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34,023대 || 35,569대 || 36,569대 || (출처 : 한국도로공사) == 기타 == * 반대쪽의 [[서울TG|서울 요금소]]가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것과는 달리 [* [[1987년]]까지만해도 [[서울TG|서울 요금소]]가(現 [[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 [[서초구]] [[원지동]]에 운영을 했다.] 이 요금소는 이름대로 [[부산광역시]] 관할이다. * [[북부산TG|북부산 요금소]]보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훨씬 북쪽에 위치해 있다]]. 이쪽에 톨게이트가 설치된 이후에 [[북부산TG|북부산 요금소]]를 만들었기 때문. * 과거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동래구 온천동에 있었던 시절에는 모든 고속버스들&시외버스들이 죄다 이 요금소를 통과했기 때문에 교통량이 굉장히 많았고 부산 요금소답게 이름값을 제대로 했지만, [[금정구]] 노포동으로 옮긴 이후에는 교통량이 굉장히 줄어들었다. [[노포IC|노포 나들목]]이 생긴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부산의 북부 끝자락에 있어서 접근성도 영 좋지 않아 지금까지도 부산 시민들의 불만이 하늘을 찌를 정도.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문서에도 나오지만 기존 노포동 버스터미널을 폐쇄하고 [[대전복합터미널]]이나 [[동대구터미널]]처럼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역시 [[해운대구]]나 [[수영구]]에 훨씬 더 크게 만들어 최신식 시설로써 이용객들의 만족도를 최대한으로 높이고 아울러 부산의 이미지도 훨씬 더 좋아졌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부산 시민들이 굉장히 많다. 심지어 서부산 거주 시민들은 사상터미널 출발 노선을 이용하거나 이마저도 여의치 않으면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이나 [[김해여객터미널|김해]]로 가서 환승하는 경우도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경부고속도로의 구간)]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요금소]][[분류:경부고속도로]][[분류:나무위키 도로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