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국철도공사 화물전용 철도역, rd1=부산진역(경부선))] ||<-3> {{{+2 '''부산진역'''}}}[br](동구청) || ||<-3> [[부산 지하철 1호선|[[파일:Busan1.svg|width=30]]]] || || [[다대포해수욕장역|{{{#!html
다대포해수욕장 방면}}}]][[초량역|초 량]][br]← 0.8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115)
}}}]] || [[노포역|{{{#!html
노포 방면}}}]][[좌천역(도시철도)|좌 천]][br]1.0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지하철 부산진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Busanjin || || [[한자]] ||<-2> 釜山鎭 || || [[간체자]] ||<-2> 釜山镇 || || [[가나(문자)|가나]] ||<-2> [ruby(釜山鎮, ruby=プサンジン)]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지하350 ([[수정동(부산)|수정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범일역|범일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부산교통공사]]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1987년 5월 15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심도: 12.08m) || ||<-3> '''승강장 구조''' || ||<-3> 2면 3선식 [[승강장]] (횡단 가능)[* 하행 승강장 뒤쪽에 선로는 [[부산진역(경부선)]]과 연결된다. 이 선로는 대표적으로 열차를 반입시킬 때 사용하며,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1호선 신규 열차를 반입시키는 영상을 부산교통공사 공식 유튜브에서 시청할 수 있다. 지금은 가려져 부산진역 비밀 승강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 ||<-3> '''노선거리표''' || || {{{#!html
시종착}}} || '''{{{-2 {{{#f06a00 ① 부산진 연결선}}}}}}'''[br]{{{-2 도시철도 부산진}}} || [[부산진역(경부선)|{{{#!html
철도 부산진 방면}}}]][[부산진역(경부선)|철도 부산진]][br] 0.9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15번. [[부산광역시]] [[동구(부산광역시)|동구]]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지하350 ([[수정동(부산)|수정동]]) 소재. == 역 정보 == || [[파일:부산진역 1호선.jpg|width=100%]] [br] 대합실 || 이 역은 부산진구가 아니라 동구에 소재하지만 역사성을 따르자면 오히려 이름에 부합하는 역이다. 진짜 [[부산진]]이 있던 곳은 동구이지 부산진구가 아니기 때문이다. 거기에 이 역은 [[1957년]] 부산에 [[구(행정구역)/대한민국|구제가 실시되면서]] 부산진구가 생기기 훨씬 전부터 그 자리에 있었다. 그러나 동구 측에서는 잘못 정해진 지명을 바로잡으려하기보다는 역명 변경을 주장했고 이 주장이 일부 반영되어 2017년 3월 14일 부역명으로 '''[[동구청(부산)|동구청]]'''이 추가되었다. 정통성은 소재지에 있음에도 지명이 엉뚱한 지역에 붙어버려 혼동을 조장했다는 점에서 시흥역(현 [[금천구청역]])과 유사한 경우이다. 부산진구, 부산진시장을 '''진구, 진시장'''으로 줄여 부르는 것처럼 이 역의 이름을 '''진역'''이라 줄여서 부르는 주민도 있다. 맞이방을 통하여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는 몇 안되는 역중 하나다. 3호선 개통 전에는 [[신평역|신평]]발 부산진행 열차가 있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9104764|출처]] 안내방송으로도 알려준다. == 역 주변정보 == 인근으로 [[부산일보]] 본사, 메리츠타워, [[동구청(부산)|동구청]], 협성휴포레 부산진역 아파트, [[부산동부경찰서]], 수정초등학교가 있으며 부산일보 본사를 중심으로 상업지구 및 수정시장이 형성되어 있어 유동인구가 많다. 하지만 동구청 일대로는 주택가이며 고령화가 심한 곳이다. 현 메리츠타워 자리에 [[KBS부산방송총국]]이 있었다. 이후 [[1988년]] 남천동으로 이전했다. 과거 [[한국철도공사]]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역]]에 붙어 있었지만 [[2005년]]부터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역]]의 여객 취급을 [[부전역(동해선)|부전역]]에 넘기고 중앙대로 앞에서 충장대로 앞으로 이전하여 화물 영업만 하고 있다. 경부선 부산진역으로 가려면 차량은 [[초량역]]에서 제1지하차도, 도보는 제2지하차도를 통해 충장대로로 진입하거나 자성대교차로에서 충장대로로 들어가야 한다. 시내버스는 [[부산 버스 5-1|5-1번]]을 이용해 부두119안전센터에 하차하면 된다. ==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25 부산진역 승강장.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25 부산진역 역명판.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1151.gif|width=100%]]}}}|| || '''{{{#FFF 역 안내도}}}''' || ||<-7> [[초량역|초량]] ↑ || || ㅣ || {{{#ffffff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2> ↓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경부선^^]] ||<-5> ↓ [[좌천역(도시철도)|좌천]] || || {{{#ffffff 상}}} ||<|3>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남포역(부산)|남포]]·[[하단역|하단]]·[[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ffffff 하}}} ||[[서면역|서면]]·[[연산역(부산)|연산]]·[[교대역(부산)|교대]]·[[동래역(도시철도)|동래]]·[[노포역|노포]] 방면|| || {{{#ffffff }}}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 1호선 신차반입선|| 1상대 1섬식이지만[* (선로)(노포행 승강장)(선로)(선로)(다대포해수욕장행 승강장) 구조다.] 사실상 [[상대식 승강장]]처럼 운용한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ttachment/Busanjin3.jpg|width=100%]]}}}|| || '''{{{#FFF 한때 노출되었던 쓰이지 않는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부산진역 비밀승강장.png|width=100%]]}}}|| || '''{{{#FFF 가려진 후}}}'''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QsMDNV9jBJo, width=100%)]}}}|| || '''{{{#FFF 공식 [[유튜브|{{{#FFF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반입 영상}}}''' || 노포 방향은 섬식형이지만 노포 방향의 나머지 한 선로는 [[경부선]]에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으로 신차 등을 들여오기 위해 만든 [[연결선로|인입선로]]이며 영업용으로 절대로 쓰지 않기 때문에 여닫이문으로 막아 놨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심야 중간 주박이 없기 때문에 주박용으로도 쓰이지 않고 있다. [[노포역]] 방면 승강장에서 이 인입선로를 난간 너머로 바라보면 매우 오싹한 느낌이 들 것이다. 이 인입선로는 위성사진으로 관측할 경우 [[경부선]] 선로에서 도로쪽으로 뻗어나와서 사라지는것처럼 보이기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다. [[상대식 승강장]] 중에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가능한 몇 안 되는 역이다.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AqE21V3RPY, width=100%)]}}}|| || [[2016년]] 현재 승강장에 안전문이 설치되어 있다. 단 전술한 [[경부선]] 직결선에는 [[스크린도어]]가 아닌 여닫이 펜스로 막아 놓은 상태 || 3호선 개통 전 부산진행 막차가 있었을 시절에는 쓰이지 않는 승강장에 신평발 부산진행 막차가 주박했다.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d4DtgNa-qA)]}}}|| || 현재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의 인입선로를 블럭으로 막았다.[* [[전포역]]과 같이 벽으로 막아 버리는 것을 생각하면 될 듯. 하지만 전포역은 외선 공개가 단 한번도 없었다.] || 드라마 [[루카: 더 비기닝]] 2회 방영분 촬영을 승강장 블럭 뒤쪽의 유령 선로에서 했다. == 일평균 이용객 == 부산진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2호선|[[파일:Busan1.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f06a00 24,988명}}} || {{{#fff,#1f2023 비고}}} || || 2002년 || 23,413명 || || || 2003년 || 21,021명 || || || 2004년 || 19,792명 || || || 2005년 || 16,945명 || || || 2006년 || 16,315명 || || || 2007년 || 17,073명 || || || 2009년 || 17,356명 || ||}}}}}}}}} || || 2010년 || 17,128명 || || || 2011년 || 17,884명 || || || 2012년 || 17,729명 || || || 2013년 || 17,842명 || || || 2014년 || 17,827명 || || || 2015년 || 17,449명 || || || 2016년 || 17,133명 || || || 2017년 || 17,227명 || || || 2018년 || 17,065명 || || || 2019년 || 17,580명 || || || 2020년 || 13,123명 || || || 2021년 || 12,864명 || || || 2022년 || 13,136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부산의 주요 [[도심]]지인 [[서면]]과 [[남포동(부산)|남포동]]의 중간에 있지만 역세권이 크게 발달하지 못한 터라 하루 평균 이용객은 2만 명이 채 안 된다. 2020년 기준 13,123명이 이용하여 1호선 평균에 다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역 주변에는 [[부산일보]] 본사, 메리츠타워 및 [[동구청(부산)|동구청]], [[부산진세무서]], [[부산동부경찰서]] 등의 몇몇 기업과 관공서가 있어 어느 정도의 출퇴근 수요가 있으나, 그 뒤의 주거지는 산비탈에 세워진 [[달동네]]여서 매우 낙후되고 고령화가 심한 곳이라 지역 주민 수요가 저조한 것이 발목을 잡는다. [[부산진역(경부선)|경부선 부산진역]]의 여객취급이 중단된 2005년에 이용객 수 평균 2만 명 선이 붕괴하였고, 이후 16,000명 선에서 놀고 있는 것을 볼 때 이 역은 경부선 부산진역과의 환승역 역할이 특히 컸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면 때문에 2007년에 저점을 찍은 이후에, 유가 상승과 같은 호재에도 수요가 증가하지 못하고 17,000여 명에서 10년 가까이 정체하고 있으며, 2012년경 1번 출구 앞에 메리츠타워가 완공되었음에도 이용객이 늘어나지 않았다. KTX 개통 이전처럼 [[경부선]]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역]]에 여객열차가 서면 모를까, 그럴 가능성도 없는 지라 인지도보다 적은 수요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3,5번 출구 사이에 협성휴포레 주상복합이 지어지고 있어서, 이곳의 입주가 시작되는 2019년 이후에는 다소 수요가 증가할 여지가 있다.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사하역|사 하]] || ◁ || {{{#c0c0c0 부산진}}} || ▷ || [[동래역(도시철도)|동 래]]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 || [[경성대·부경대역|경성대·부경대]] || ◁ || [[서면역|서 면]] || ▷ || [[감전역|감 전]]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 || [[배산역|배 산]] || ◁ || [[연산역(부산)|연 산]] || ▷ || [[사직역|사 직]]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 [[부전역(동해선)|부 전]] || ◁ || [[교대역(부산)|교 대]] || ▷ || [[센텀역|센 텀]] || == 기타 == 이역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지게골역]] 사이 연결 지선이 계획되고있다. 이 노선이 개통시에 가칭 "자성대역"도 신설된다. [[https://youtu.be/f7sA73hfTvc|# ]] 부산진역의 쓰이지 않는 승강장이 영화 [[옥수역귀신]]에서 [[옥수역]]의 지하역사 촬영지가 되었다. == 연계 교통 == === 중앙대로 BRT 정류장 === * 부산진역(정류장 번호: 03-711) * [[부산 버스 17]] - 태종대행 * [[부산 버스 22]] - 성북고개행 * [[부산 버스 26]] - 송도혜성아파트행 * [[부산 버스 27]]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40]] - 구덕운동장행 * [[부산 버스 41]]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43]] - 중앙공원·민주공원행 * [[부산 버스 52]] - 수정4동행 * [[부산 버스 59]] - 남포동행 * [[부산 버스 61]] - [[강서공영차고지(부산)|강서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67]] - 엄궁아파트단지행 * [[부산 버스 81]] - 서대신금호아파트행 * [[부산 버스 82]] - 청학동행 * [[부산 버스 85]] - 청학동행 * [[부산 버스 88]] - 태종대행 * [[부산 버스 101]] - 태종대행 * [[부산 버스 103]] - 연제공용차고지행 * [[부산 버스 134]] - 남부민동행 * [[부산 버스 167]] - 동아대학교병원행 * [[부산 버스 168]] - 부산시민공원행 * [[부산 버스 1000]][*심야 심야포함]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1001]][*심야] - 하단행 * [[부산 버스 1003]][*심야] - 부산대학교병원행 * [[부산 버스 1004]][*심야]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행(주간)/서구청행(심야) * 부산진역(정류장 번호: 03-712) * [[부산 버스 17]] - 백양터널행 * [[부산 버스 22]] - 남구국민체육센터행 * [[부산 버스 26]] - 감만동행 * [[부산 버스 27]] - 용호동행 * [[부산 버스 40]]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41]] - 민락동행 * [[부산 버스 43]] - 회동동행 * [[부산 버스 52]] - 반여3동행 * [[부산 버스 59]]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61]] - 동의대역행 * [[부산 버스 67]] - 개금아파트단지행 * [[부산 버스 81]] - [[연제공용차고지]]행 * [[부산 버스 82]] - 전포화신아파트행 * [[부산 버스 85]] - 전포동행 * [[부산 버스 88]] - 당감동행 * [[부산 버스 101]] - 대연사거리행 * [[부산 버스 103]] - [[연제공용차고지]]행 * [[부산 버스 134]] - 용당동행 * [[부산 버스 167]] - 동서대학교행 * [[부산 버스 168]] - 용당동행 * [[부산 버스 1000]][*심야] - 서면행 * [[부산 버스 1001]][*심야]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03]][*심야]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04]][*심야] - 김해(구산동)행 === 마을버스 === * [[부산 버스 동구2]]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198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동구(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역]][[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분류:중앙대로(부산)]][[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