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2> '''{{{+2 부산신항선}}}'''[br]釜山新港線 | Busansinhang Line || ||<-2> [[파일:map_busansinhang.png|width=100%]] || ||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30706[* 신항북선 30709, 신항남선 30710] || || '''노선명''' ||경전선 부산신항선 (慶全線 釜山新港線) || ||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 || '''영업거리''' ||21.3㎞ || || '''궤간''' ||1435㎜ || || '''정거장수''' ||3 || || '''기점''' ||[[진례역]][* 경전선 창원 동쪽 구간 편입 이후 [[삼랑진역]]으로 기점이 연장될 예정이다.] || || '''종점''' ||[[부산신항역]] || ||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 '''신호장비''' ||[[열차자동정지장치|ATS-S2]][br](5현시 속도조사식) || || '''개업일''' ||[[2010년]] [[11월 30일]] || || '''운영노선''' ||화물열차[br]--[[무궁화호]]--[* 삼랑진-마산 구간 편입 이후 운행. 당 구간 운행 후 경전선 본선으로 합류하는 운행 계통이 될 예정이다.][br]--[[공항철도]][* [[가덕도신공항]] 항목에 나오듯 법률에 명시돼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sansinhang.jpg|width=100%]]}}}|| || 신항남선의 교량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역]]과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부산신항역]]을 잇는 총연장 21.3km의 복선전철 노선이다.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을 지나간다. [[http://naver.me/5KlxdyEC|화물을 싣고 가는 부산신항선 상 열차(네이버 로드뷰)]] [[부산신항]]의 화물 처리를 위해 건설된 화물 전용 노선[* [[https://www.mk.co.kr/opinion/contributors/view/2010/12/687461/|[열린마당] 항만·철도 연계 新물류시대 연다]]]이다. [[부전-마산 복선전철]]과 함께 기능하며 부산신항에서 마산ㆍ진주ㆍ광양 방면으로 바로 화물을 수송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부전-마산 복선전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그 구간에서는 여객열차도 다닐 예정이다. [[부전역(동해선)|부전역]] 방면의 삼각선 설치는 확정되지 않았었지만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신항 배후철도 연결 지선[*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200&key=20160204.22001201407|신항 배후철도 타고 부전역까지 곧장 온다]]]이 포함되었다. 전액 국비로 추진되며 기존 경로 대비 57.9㎞의 단축 효과가 있게 된다. [[부전-마산 복선전철]] 개통 이후 지선이 된 [[삼랑진역]]-[[진례역]] 구간의 경전선 본선을 편입할 예정이다. 특이한 점은 [[경전선]] 복선화 이전에 개통되었다는 점이다. 이 시기의 영업거리표에는 두 거리가 다 기재된 이상한 모습을 볼 수 있었고, 그 당시에 진례~창원 구간의 신선으로는 화물열차가 다니지 않았지만 한림정~진례 신선으로는 화물열차가 운행했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2013년 3월 14일 기준[*A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3-146호] || {{{#fff ㎞}}} ||<-2> {{{#fff 역명}}} || {{{#fff ARS}}} || {{{#fff 여객}}} || {{{#fff 화물}}} || {{{#fff 등급}}} || {{{#fff 분기선}}} || {{{#fff 소재지}}} || || 0.0|| [[진례역|진 례]] || 進 禮 || 511 ||m || ─ || ○ || [[경전선]] ||<|3> [[경상남도]] [[김해시]] || || 9.6|| [[장유역|장 유]] || 長 有 || ─ ||~~t~~ || H || ◑ || ~~[[경전선]]~~ || || || ~~[[칠산신호소|칠 산]]~~ || ~~七 山~~ || ||~~─~~ || ~~─~~ || ~~†~~ || || || 21.3|| [[부산신항역|부산신항]] || 釜山新港 || ─ ||─ || H || ⊙ || ~~부산신항 연결지선~~ ||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 === 지선 === 신항북선과 신항남선은 부산신항선의 지선으로 취급하며 철도영업거리표에서도 동시에 기재되어 있었다가 다시 별개의 지선으로 분리되었다. 노선번호는 각각 신항북선은 30709, 신항남선은 30710이다. 두 선로는 진례기점 23.7㎞ 지점에서 분기된다. 이 분기점은 별도의 신호장이나 건넘선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부산신항역 장내에서 분기된 선로가 그대로 북철송장역과 남철송장역으로 쭉 간다. 또, 이 지선 구간은 현재 전철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구간은 복선이 아니라 두 개의 단선 구간인 단선 비전철 구간이다. ==== 신항북선 ==== * 2013년 3월 14일 기준[*A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3-146호] || {{{#fff ㎞}}} ||<-2> {{{#fff 역명}}} || {{{#fff ARS}}} || {{{#fff 여객}}} || {{{#fff 화물}}} || {{{#fff 등급}}} || {{{#fff 분기선}}} || {{{#fff 소재지}}} || || 0.0|| [[부산신항역|부산신항]] || 釜山新港 || ─ ||─ || H || ⊙ ||부산신항선 ||<|2>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 || 5.8|| [[북철송장역|북철송장]] || 北鐵送場 || ─ ||─ || H || ◑ || || ==== 신항남선 ==== * 2013년 3월 14일 기준[*A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3-146호] || {{{#fff ㎞}}} ||<-2> {{{#fff 역명}}} || {{{#fff ARS}}} || {{{#fff 여객}}} || {{{#fff 화물}}} || {{{#fff 등급}}} || {{{#fff 분기선}}} || {{{#fff 소재지}}} || || 0.0|| [[부산신항역|부산신항]] || 釜山新港 || ─ ||─ || H || ⊙ ||부산신항선 ||<|2>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 || 7.7|| [[남철송장역|남철송장]] || 南鐵送場 || ─ ||─ || H || ◑ || || == 장래 계획 ==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개통되면 [[부전-마산 복선전철]] 구간이 [[삼랑진역]] ~ 진례역 구간을 대신하여 경전선 본선으로 편입될 예정이라고 하며, 해당 구간은 경전선 대신 부산신항선의 일부가 된다. 이로써 이 노선은 순수 화물철도에서 벗어나게 될 예정이다. 아울러 가덕도신공항 추진과 함께 부산신항선에 지선을 건설하는 것이 추진중에 있다. ===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확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덕도신공항/연계 교통망)] 인접한 [[가덕도]] 섬 북쪽까지 부설되어 있으므로 [[가덕도신공항]] 연결 철도로 이 노선을 개량, 연장해 [[ITX-마음]]이 운행하는 [[공항철도]]로 활용할 예정이다.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관련 법률]]에도 접근교통수단 건설 조항이 명문화되어 있다. 2023년 8월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안 수립과 함께 아래와 같이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의 계획안이 공개되었다. [[파일: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안 연계철도 선형.jpg]] || [[파일: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전략환경영향평가 운행계획1.jpg|width=100%]] || [[파일: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전략환경영향평가 운행계획2.jpg|width=100%]] || ||<-2> {{{#fff 2023년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열차운행계획}}} || 열차운행계획의 '''1번째 시나리오'''는 부산신항선과 부전마산선 부산 방면 사이에 '''연결지선을 설치하는 경우'''이며, 이 경우 * 태화강 ~ 가덕도신공항 : ITX-마음, 배차간격 25분 * 진주 ~ 가덕도신공항 : ITX-마음, 배차간격 60분 * 동대구 ~ 가덕도신공항 : ITX-마음, 배차간격 60분 으로 계획되었다. 2번째 시나리오는 부산신항선과 부전마산선 부산 방면 사이에 연결지선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이며, 이 경우 * 장유 ~ 가덕도신공항 셔틀 : ITX-마음, 배차간격 60분 * 진주 ~ 가덕도신공항 : ITX-마음, 배차간격 60분 * 동대구 ~ 가덕도신공항 : ITX-마음, 배차간격 60분 으로 계획되었다. || ㎞ ||<-2>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접근철도 분기기 || || || || || ||<|3>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 || 16.526 || 가덕도신공항 || 加德島新空港 || T || || || || === 가덕도 신공항철도 연결선 === 부전마산선과 부산신항선 사이에 복선 연결선로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해당 사업이 실현되면 부산, 울산에서 환승 없이 가덕도신공항까지 ITX-마음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및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는 단선 규격으로 부산신항 연결지선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2024년 1월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다면 2031년 개통 예정이다. [[분류:부산신항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가덕도신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