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부산광역시)]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VIvVStKjc)]}}} || || {{{#ffffff '''부산 구군별 인구 변화 (1966-2019)'''}}} || 해방 이전에도 [[부산광역시|부산]]은 한반도 제2의 도시이긴 했지만, 50만명 안팎이던 부산 인구가 [[6.25 전쟁]] 이후 100만명을 훌쩍 넘게 되는 데는 전쟁 피난민이 부산으로 대거 몰린 것과 연관이 깊다. 이후 남동임해공업지역의 한 축이자 경공업을 중심으로 성장하였고 전국에서 [[이촌향도]] 인구를 받아들이며 꾸준히 인구가 증가해 한때 390만을 목전에 두었지만 1992년을 정점으로는 인구가 꾸준히 감소 중이다. 1995년에 [[기장군]]이 편입되어 인구가 소폭 증가하기도 했으나 이를 제외하면 계속 감소 추세이며 서울 다음으로 정점 대비 인구 감소폭이 큰 도시이다. 또한 대도시 중에서는 최초로 인구 자연 감소에 접어든 곳이기도 하다. 인구 감소의 원인으로는 일자리의 감소와 주변 지역의 개발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 부산 도심에 있던 산업시설이 [[경남]]과 [[울산]]을 필두로 한 근처 지역으로 이전함에 따라 부산의 생산 및 고용 기능이 약화되었고[* [[부산 울산권]]은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보다 도시 간 거리가 멀고 부산의 업무 기능이나 소득수준이 [[서울]]이나 [[울산]]등 보다 크게 약하므로 서로간의 통근보다는 주민들이 이주하는 양상으로 흘러갔다], 많은 근로자들과 가족들이 해당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2000년대 이후로는 주변의 신도시[* [[김해시]]의 [[장유(지역)|장유신도시]], [[양산시]]의 [[양산신도시]] 및 [[물금신도시]]]가 본격 개발되어 주거 기능의 교외화도 일어났다. 이 역시 부산이 많은 인구를 배출한 요인이다. 부산에서 빠져나간 인구의 대부분은 [[김해시]]와 [[양산시]] 등 부산의 [[위성도시]]로 향했으므로 부산의 인구는 감소했지만 부산권의 인구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김해시와 양산시의 인구는 20년간 2배나 빠르게 증가하여 서울의 위성 도시와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실제로 1995년부터 2020년까지 김해, 양산의 증가한 인구 27만, 19만이며 이를 2020년 부산의 인구에 더하면 약 386만명이다. 이는 1995년 부산의 최대 인구 수치에 육박한다!] 2020년대 이후로는 부산의 제조업 쇠퇴 및 이로인한 일자리의 감소, 전국 최하위의 낮은 임금수준등이 맞물려 수도권/창원/울산 등으로의 인구 유출이 심화되었고, 산업화 세대가 가장 먼저 이주한 도시이기 때문에 전국 광역시 중 [[고령화]]가 특히 빠르게 진행되었다. 2019년까지는 부산에서 감소한 인구가 경남 지역으로 유출되었으나 [[2020년]] 이후에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수도권 순유출이 늘어나고 있다. "노인과 바다"라는 별명마저 생겼다.[[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081667781|#]]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cOePs9My6A)]}}}|| || '''{{{#ffffff 청년 유출의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영상}}}''' || 2020년 10월 기준, 깨지지 않을 것 같던 인구 340만명선이 깨져 330만명대 시대를 맞게 되었다. [youtube(arM8LByfFjo)] [youtube(DKjmDsLn6_s)] 2023년에는 330만명마저 깨져 320만명대가 되어 경남과 비슷해졌다. == 부산광역시의 전체 인구 추이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국영문.svg|width=200]][br]'''[[부산광역시|{{{#000000 부산광역시}}}]] {{{#000000 인구 추이}}}''' [br] {{{-3 (1949년~현재)}}} || || [[1949년]] 부산부 → 부산시 개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11.84%, #888 0%, #888 100% , #AAA 0%)" {{{#fff 1949년 473,61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26.23%, #888 0%, #888 100% , #AAA 0%)" {{{#fff 1955년 1,049,363명}}}}}} || || [[1963년]] 부산시 → (정부 직할) 부산시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40.05%,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842,25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61.32%,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2,453,1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78.99%,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3,159,766명}}}}}} || || [[1981년]] (정부 직할) 부산시 → 부산직할시 개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87.86%,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3,514,7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94.95%,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3,798,113명}}}}}} || || [[1995년]] 부산직할시 → 부산광역시 개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97.32%,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3,892,9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94.91%,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796,5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90.95%,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638,29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89.19%,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567,9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87.84%,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513,7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84.79%,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3,391,9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31aa 82.12%,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3,284,947명'''}}}}}} || || {{{-2 인구 수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00만 명}}} || == 부산광역시의 각 구, 군별 인구 추이 == === 서부산 지역의 인구 추이 === ||<-3> '''북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height=60]]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78년 || 275,265 || '''[[북구(부산광역시)|북구]]''' 설치 || || 1981년 || 340,432 || || || 1984년 || 345,785 || 정체사유:[[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출장소]] 분리 || || 1987년 || 406,128 || || || 1990년 || 460,688 || 강서출장소가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 로 승격 || || 1993년 || 531,782 || || || 1996년 || 284,678 || 급감사유:[[사상구]] 분구 || || 1999년 || 297,370 || || || 2002년 || 311,798 || || || 2005년 || 333,581 || || || 2008년 || 324,640 || 33만 선 붕괴 || || 2011년 || 311,604 || || || 2014년 || 309,341 || || || 2017년 || 309,789 || || || 2020년 || 290,908 || 30만 선 붕괴 || ||<-3> '''사하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사하구 CI.svg|height=65]]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76년 || 138,197 || 시 직할 사하출장소 설치 || || 1978년 || 165,704 || || || 1981년 || 209,895 || || || 1984년 || 247,436 || 1983년 사하출장소가 '''[[사하구]]'''로 승격 || || 1987년 || 286,859 || || || 1990년 || 334,455 || || || 1993년 || 371,510 || || || 1996년 || 389,494 || || || 1999년 || 391,515 || || || 2002년 || 383,114 || 39만 선 붕괴 || || 2005년 || 373,936 || 38만 선 붕괴 || || 2008년 || 365,886 || 37만 선 붕괴 || || 2011년 || 358,430 || 36만 선 붕괴 || || 2014년 || 348,636 || 35만 선 붕괴 || || 2017년 || 334,654 || 34만 선 붕괴 || || 2020년 || 320,254 || 33만 선 붕괴 || ||<-3> '''강서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svg|height=60]]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83년 || 50,230 || 시 직할 강서출장소 설치 || || 1984년 || 50,454 || || || 1987년 || 53,743 || || || 1990년 || 77,299 || 1989년 강서출장소가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로 승격 || || 1993년 || 80,402 || || || 1996년 || 73,088 || 8만 선 붕괴 || || 1999년 || 66,913 || 7만 선 붕괴 || || 2002년 || 60,192 || || || 2005년 || 54,611 || 6만 선 붕괴 || || 2008년 || 51,736 || || || 2011년 || 62,576 || '''6만 선 돌파''' || || 2014년 || 70,572 || '''7만 선 돌파''' || || 2017년 || 109,810 || '''10만 선 돌파''' || || 2020년 || 130,298 || || ||<-3> '''사상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사상구 CI.svg|height=65]] || || 1995년 || 294,293 || '''[[사상구]]''' 설치 || || 1996년 || 293,805 || || || 1999년 || 291,196 || || || 2002년 || 299,687 || || || 2005년 || 281,687 || 29만 선 붕괴 || || 2008년 || 265,105 || 27만 선 붕괴 || || 2011년 || 257,431 || || || 2014년 || 246,448 || 25만 선 붕괴 || || 2017년 || 232,536 || || || 2020년 || 217,594 || 23만 선 붕괴 || === 원도심 지역의 인구 추이 === ||<-3> '''중구'''지역의 인구추이[*A 각 년도별 인구는 각 해의 1월~3월기준이다(2008년이후로는 1월로 고정)][[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svg|height=65]]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66년 || 126,679 || || || 1969년 || 122,730 || || || 1972년 || 117,318 || 12만 선 붕괴 || || 1975년 || 112,542 || || || 1978년 || 105,497 || || || 1981년 || 97,610 || 10만 선 붕괴 || || 1984년 || 93,348 || || || 1987년 || 87,677 || || || 1990년 || 79,825 || 8만 선 붕괴 || || 1993년 || 74,659 || || || 1996년 || 65,051 || || || 1999년 || 60,227 || || || 2002년 || 56,964 || 6만 선 붕괴 || || 2005년 || 53,057 || || || 2008년 || 49,930 || 5만 선 붕괴 || || 2011년 || 49,402 || || || 2014년 || 47,347 || || || 2017년 || 45,144 || || || 2020년 || 41,830 || || ||<-3> '''서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height=65]]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66년 || 290,796 || || || 1969년 || 309,945 || || || 1972년 || 337,044 || || || 1975년 || 361,087 || || || 1978년 || 239,419 || 급감사유:[[사하구]]분구 || || 1981년 || 234,566 || || || 1984년 || 220,663 || || || 1987년 || 210,205 || || || 1990년 || 204,971 || 21만 선 붕괴 || || 1993년 || 199,962 || || || 1996년 || 178,270 || 18만 선 붕괴 || || 1999년 || 162,324 || || || 2002년 || 151,403 || || || 2005년 || 142,143 || 15만 선 붕괴 || || 2008년 || 132,548 || || || 2011년 || 125,867 || || || 2014년 || 118,584 || 12만 선 붕괴 || || 2017년 || 112,628 || || || 2020년 || 107,973 || || ||<-3> '''동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height=60]]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66년 || 236,280 || || || 1969년 || 240,622 || || || 1972년 || 241,387 || || || 1975년 || 232,603 || 24만 선 붕괴 || || 1978년 || 224,600 || || || 1981년 || 216,669 || || || 1984년 || 204,454 || 21만 선 붕괴 || || 1987년 || 193,801 || || || 1990년 || 186,268 || || || 1993년 || 175,930 || 18만 선 붕괴 || || 1996년 || 153,583 || || || 1999년 || 134,953 || 15만 선 붕괴 || || 2002년 || 124,267 || || || 2005년 || 113,771 || 12만 선 붕괴 || || 2008년 || 104,602 || || || 2011년 || 101,483 || || || 2014년 || 95,857 || || || 2017년 || 89,741 || 9만 선 붕괴 || || 2020년 || 88,292 || || ||<-3> '''영도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영도구 CI.svg|height=60]]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66년 || 154,378 || || || 1969년 || 170,671 || || || 1972년 || 192,246 || || || 1975년 || 210,627 || || || 1978년 || 214,873 || || || 1981년 || 213,010 || || || 1984년 || 211,330 || || || 1987년 || 208,956 || 21만 선 붕괴 || || 1990년 || 205,519 || || || 1993년 || 204,593 || || || 1996년 || 208,148 || || || 1999년 || 192,641 || || || 2002년 || 179,267 || 18만 선 붕괴 || || 2005년 || 165,779 || || || 2008년 || 154,998 || || || 2011년 || 146,519 || 15만 선 붕괴 || || 2014년 || 135,532 || || || 2017년 || 125,988 || || || 2020년 || 116,447 || 12만 선 붕괴 || === 동래 지역의 인구 추이 === ||<-3> '''동래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동래구 CI.svg|height=60]]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66년 || 191,340 || || || 1969년 || 289,181 || || || 1972년 || 449,686 || || || 1975년 || 646,080 || || || 1978년 || 707,401 || 정체사유: [[남구(부산광역시)|남구]]분구 || || 1981년 || 680,135 || 감소사유:[[해운대구]]분구 || || 1984년 || 770,446 || || || 1987년 || 855,312 || || || 1990년 || 595,858 || 급감사유:[[금정구]] 분구 || || 1993년 || 592,013 || || || 1996년 || 312,359 || 급감사유:[[연제구]] 분구 || || 1999년 || 300,390 || || || 2002년 || 294,754 || 30만 선 붕괴 || || 2005년 || 279,257 || 29만 선 붕괴 || || 2008년 || 284,675 || || || 2011년 || 283,649 || || || 2014년 || 277,711 || 28만 선 붕괴 || || 2017년 || 273,394 || || || 2020년 || 271,562 || || ||<-3> '''금정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금정구 CI.svg|height=65]]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88년 || 295,916 || '''[[금정구]]''' 설치 || || 1990년 || 311,205 || || || 1993년 || 322,251 || || || 1996년 || 310,956 || 32만 선 붕괴 || || 1999년 || 297,370 || 30만 선 붕괴 || || 2002년 || 284,793 || || || 2005년 || 270,429 || 28만 선 붕괴 || || 2008년 || 258,893 || 26만 선 붕괴 || || 2011년 || 255,574 || || || 2014년 || 252,974 || || || 2017년 || 244,288 || || || 2020년 || 238,556 || 24만 선 붕괴 || ||<-3> '''연제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연제구 CI.svg|height=65]] || || 1995년 || 249,196 || '''[[연제구]]''' 설치 || || 1996년 || 247,822 || || || 1999년 || 226,080 || 23만 선 붕괴 || || 2002년 || 226,512 || || || 2005년 || 221,353 || || || 2008년 || 212,722 || 22만 선 붕괴 || || 2011년 || 213,318 || || || 2014년 || 209,173 || 21만 선 붕괴 || || 2017년 || 207,208 || || || 2020년 || 209,980 || || === 서면 지역의 인구 추이 === ||<-3> '''부산진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부산진구 CI.svg|height=35]]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66년 || 426,496 || || || 1969년 || 530,199 || || || 1972년 || 671,128 || || || 1975년 || 785,762 || || || 1978년 || 690,329 || 급감사유:[[남구(부산광역시)|남구]]분구 || || 1981년 || 505,898 || 급감사유:[[북구(부산광역시)|북구]]분구 || || 1984년 || 512,852 || || || 1987년 || 516,615 || || || 1990년 || 515,255 || || || 1993년 || 501,760 || || || 1996년 || 460,391 || 50만 선 붕괴 || || 1999년 || 436,039 || 45만 선 붕괴 || || 2002년 || 425,735 || || || 2005년 || 406,154 || || || 2008년 || 402,519 || || || 2011년 || 395,299 || 40만 선 붕괴 || || 2014년 || 389,132 || || || 2017년 || 375,957 || || || 2020년 || 357,284 || || === 동부산 지역의 인구 추이 === ||<-3> '''남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height=40]]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75년 || 353,215 || '''[[남구(부산광역시)|남구]]''' 설치 || || 1978년 || 400,827 || || || 1981년 || 468,845 || || || 1984년 || 505,338 || || || 1987년 || 532,415 || || || 1990년 || 544,186 || || || 1993년 || 549,536 || || || 1996년 || 320,048 || 급감사유:[[수영구]] 분구 || || 1999년 || 304,322 || 32만 선 붕괴 || || 2002년 || 302,672 || || || 2005년 || 304,283 || || || 2008년 || 296,851 || 30만 선 붕괴 || || 2011년 || 297,868 || || || 2014년 || 291,348 || || || 2017년 || 278,472 || 28만 선 붕괴 || || 2020년 || 273,707 || || ||<-3> '''해운대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해운대구 CI.svg|height=65]] || || 연도수 || 인구(명) || 비고 || || 1980년 || 192,622 || '''[[해운대구]]''' 설치 || || 1981년 || 196,837 || || || 1984년 || 213,927 || || || 1987년 || 230,091 || || || 1990년 || 245,684 || || || 1993년 || 279,310 || || || 1996년 || 310,580 || || || 1999년 || 402,273 || 40만 선 돌파[* [[지방자치제]] 시행이후 유일하게 자연증가를 통해 40만명 선을 돌파하였다.] || || 2002년 || 406,841 || || || 2005년 || 403,562 || || || 2008년 || 424,068 || || || 2011년 || 426,460 || || || 2014년 || 423,656 || || || 2017년 || 419,405 || 42만 선 붕괴 || || 2020년 || 406,312 || 41만 선 붕괴 || ||<-3> '''수영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수영구 CI.svg|height=65]] || || 1995년 || 203,547 || '''[[수영구]]''' 설치 || || 1996년 || 201,768 || || || 1999년 || 189,395 || 19만 선 붕괴 || || 2002년 || 180,933 || || || 2005년 || 180,492 || || || 2008년 || 178,383 || 18만 선 붕괴 || || 2011년 || 178,266 || || || 2014년 || 174,980 || || || 2017년 || 179,111 || || || 2020년 || 176,112 || || ||<-3> '''기장군'''지역의 인구추이[*A][[파일:기장군 CI.svg|height=35]] || || 1995년 || 70,748 || '''[[기장군]]''' 설치 || || 1996년 || 72,092 || || || 1999년 || 74,408 || || || 2002년 || 76,190 || || || 2005년 || 79,816 || || || 2008년 || 79,598 || || || 2011년 || 102,814 || '''10만 선 돌파''' || || 2014년 || 133,860 || || || 2017년 || 158,654 || '''15만 선 돌파''' || || 2020년 || 164,710 || || [[분류:부산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