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http://blog.naver.com/bf101/10137778323|운행 당시의 모습]][* 2569호이며 원래 148번에 있던 차량이었다. 그러다가 148번에 신차가 들어오면서 이 차량이 47번으로 넘어온걸로 추정된다. 47번으로 넘어온 뒤에 사진에 나와있는 2기 도색으로 덧칠했다. 그런데 2017년 현재, 2569호는 다시 148번에서 운행중이다.]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구.47번}}}|| ||<-2><:>기점||<:>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br](범어사입구)||<-2><:>종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br](재송볼링장)|| ||<|2><:>종점행||<:>첫차||<:>?||<|2><:>기점행||<:>첫차||<:>?|| ||<:>막차||<:>?||<:>막차||<:>?|| ||<-2><:>평일배차||<:>'''120분'''||<-2><:>주말배차||<:>'''120분[* 사실 주말배차 시간은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 ||<-2><:>운수사명||<:>[[삼신교통]]||<-2><:>인가대수||<:>2대|| ||<-3><:>왕복운행거리||<-3><:>-|| ||<-2><:>노선||<-4><:>[[청룡노포동|범어사입구]] - [[범어사역]] - 침례병원 - [[두실역]] - 금정경찰서 - [[구서동|금정구청]] - 부곡시장 - 온천입구 - 동래전화국 - 동래시장 - 동래한전 - 안락선경아파트 - 원동IC - 재송볼링장 - [[재송동]]|| == 개요 == 부산광역시의 폐선된 시내버스 노선. == 역사 == * 삼신교통 창립노선이며, 신설 당시에는 두구동 - [[노포역]] - [[범어사역]] - 침례병원 - [[두실역]] - 금정구청 - 부곡시장 - 동래전화국 - 연산역 - 양정역 - 서면 - 범내골 - 자유시장 > 국제호텔 > 부산은행 구.본점(현.범일지점) > 중앙시장 > 범내골로 운행하였다. 노선 번호만 달랐지, 당시 [[부산 버스 50|50번]]도 이 노선과 선형이 100% 일치했었다. * 1985년도부터 두구동에서 서창으로 기점을 변경하고 동래전화국 이남부터는 완전히 다른 노선이 되었는데, 서창 - 기존노선 - 동래전화국 - 동래시장 - 안락교차로 - 동래한전 - 원동IC - 해운대경찰서 → 재송농협 → 재송초등학교 → 유창맨션(재송볼링장) → 해운대경찰서(이하 역순)으로 변경되었다. 재송동이 종점이었지만, 재송농협, 재송볼링장만 경유했기때문에 실질적인 재송동인 재반로 연선지역에서는 존재감이 크지 않았다.[* 당시 경남 양산군 웅상면 서창리 최초로 부산시내버스 다니기 시작한것이다 그 이유로 웅상,덕계지역 서창택지개발 주민들 이용하는것이다.][* 7호선 국도 그러니까 두구동에서 월평교차로까지 양산군 진입하면서 손님이 없어 시골지역이라 속도를 70~90km 과속운전이 심하는 경우가 있다.] * 1995년도에 좌석 노선이 신설되었다. 그러다 1998년도에 좌석 노선은 347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그 말고도 같은 날에 47번 일반 노선은 용당 지선 노선을 포함하여 일부 차량들이 구.147번으로 분리되었다. 당시 노선은 서창 - [[교대역(부산)|교대역]]이었다. 그러다 47번은 입지가 크게 줄어들면서 결국 1999년도에 웅상 구간을 전면철수하면서 구.본사 차고지인 범어사입구까지 재단축되었는데, 이게 불난 집에 기름을 끼얹는 꼴이 되면서 급격히 몰락하였다. * 2001년 9월 20일에 [[노포동]][[부산종합버스터미널]]까지 연장되었지만, 불과 한달 여만에 범어사입구로 노선이 환원되었다. * 2003년도에는 수요가 영 좋지 못했는지, 감차를 거듭하더니 운행대수가 6대까지 감차되었다. 그 이후에도 감차가 계속 진행되었고, 운행대수가 계속 적어지자, 1년뒤에는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문제점/노선#s-3.3|운행을 제대로 하지도 않아 사실상 막장노선으로 변모하고 말았다.]] * 2006년 5월 15일에 환승제가 시작되면서 폐선되었다. 폐선 직전에는 단 2대로만 운행을 하였다.(...)[* 그래도 이 [[부산 버스 48|전설의 노선]]보단 나은 거다.] === 구.147번 === [include(틀:폐선)] [[http://blog.naver.com/bf101/11935509|당시 운행모습. 2번째 사진이다.]][* 2568호이며, 2003년말에 슈퍼에어로시티CNG 신차가 들어오면서 본사 148번으로 이동하여 운행하다 2006년에 로얄시티로 대차되었다.] * 47번의 용당 지선노선에서 분리되어 나온 노선으로, 서창(효암고교/개운중학교)~덕계~47번 노선~동래전화국~교대역까지 운행했던 노선이었지만, 서창택지지구 고정수요를 제외하면 배차간격이 더 좋은 [[부산 버스 50|50번]]과 [[부산 버스 1002|좌석 노선]]에 수요가 밀리면서 결국 2001년 5월에 금정세무서까지 노선이 단축되고 만다. 생활 중심지인 동래로 못가는 점과 심지어 종점이 부산대도 아닌 부곡삼거리/금정세무서에서 어중간하게 끊어놔서 웅상 주민들에게 원성을 들어야만 했다.[* 심지어 에어로타운이 전부였던 50-1번도 부산대는 갔었다. 물론 나중에 구서역으로 단축되었지만..] 운행대수도 딱 5대였으나, 2003년 당시 흔하지 않았던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NGV]]가 전 차량으로 운행했다는 점이 그나마 위안 거리. 그리고 양산 [[서창동]]을 경유하는 유일한 일반 노선이었기때문에 서창동 주민들에게는 단비와도 같은 존재였다.[* 현재 운행중인 50번은 평산동에서 끊기며, 301번은 이 때 좌석버스 노선이었다.] 하지만 노선이 단축되면서 운행대수가 5대만 남게 된 만큼, 서창동 주민들이 배차간격으로 인한 큰 불편을 겪으면서 [[삼신교통]] 홈페이지에 이용불편 민원이 자주 올라왔었다. * 그래도 삼신교통 측에서는 주민들의 요청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는데, 2004년에 [[푸른교통|계열사]]를 통하여 선형이 완전히 똑같은 [[양산 버스 58]]을 신설한다. 이후 147번은 양산 58번과 통합배차를 하였다. 그러나 양산 58번에 수요가 몰리면서 구.147번의 수요는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거기다 2005년 12월에 부산대를 지나는 [[부산 버스 301]]이 일반 노선으로 형간전환되자 수요가 더 줄어들었다. * 결국 2007년 1월부터 147번은 본격 폐선수순을 밟은 것인지 서창택지지구 구간을 들어가지 않고,[* 이때부터 147번은 58번과의 통합배차도 하지 않고 아예 따로 다녔다. 그래서 58번과 147번이 같이 다니는 경우들도 종종 있었다.] 301번이 대신 들어가게 되었다. 사실 그동안 서창택지지구 주민들이 301번을 넣어달라는 요구를 했다고 하며 늦게나마 주민들의 요구가 반영된 것이다.[* 이랬던 이유가 당시 301번은 금정구의 대표 번화가인 부산대를 경유하였기 때문이다. 반면 147번은 금정세무서에서 어중간하게 끊기는 노선이라 수요가 크게 반감되었다.] 이때부터 147번은 빈사 상태에 이르게 된다. 급기야 301번에 차량을 빼앗기는 수모를 겪어 감차를 거듭하다 운행대수가 3대(...)만 남게 되었으며, [[2007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s-2.2]]때 301번에 통합되는 개념으로 폐선되었다. * 그러나 이 노선을 집어삼킨 301번마저도 서서히 몰락하게 되는데, [[정관신도시]]가 생기고 정관을 경유하는 [[부산 버스 1008|1008번]]을 삼신교통에서 운행하게 되면서, 1008번에 차량을 꾸준히 빼앗기는 수모를 겪게 된다. 그런 식으로 감차되자, 양산 58번이나 웅상 마을버스 노선들에게 수요를 서서히 빼앗기기 시작한다. 심지어 [[양산시]]가 301번을 몰락시키는데에 결정적인 빌미를 제공했는데, 그게 바로 부산시에 [[부산 버스 302|302번]]의 신설을 요구한 것이었다. 그 바람에 2대를 302번에게 또 빼앗기면서 운행대수가 5대만 남게 되었고, 배차간격이 또 늘어나는 문제때문에 그 과정에서 부산대까지 다녔던 이 노선은 한 순간에 노포동역 종점 노선으로 반토막나고 말았다. 결국 참다못한 [[서창동]] 주민들이 분노가 극에 치닫아 들고 일어나자, 부산시에서는 개편 전에 우야부야 오전 5회 지선노선을 신설시켰지만, 정규 운행도 아니고 오전 5회 운행이라는 땜질 처방이었던 점 때문에 오히려 욕을 더 크게 먹었다. 적자폭이 갈수록 심해져 [[2016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s-2.1]]때 [[웅상]] 구간이 전면 철수되고 말았다. 이젠 [[양산 버스 58]]이 서창택지지구 주민들의 유일한 희망이다. 2021년 12월 1일 개통된 [[양산 버스 60]]의 경우 노포역까지밖에 가지 않아 서창에서는 여전히 58번에 의존한다. === 구.247번 === 현재도 운행중인 급행좌석노선 [[부산 버스 1002|1002번]]의 전신이다. 원래 147번 좌석 노선이었으나, 서창구간을 개운중학교에서 천성리버타운/소남마을 방면으로 변경하면서 노선번호도 247번으로 변경되었다. 2007년 5월 14일까지 247번이란 번호로 다녔으나, [[2007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s-2.2|2007년 5월 15일]]에 급행좌석으로 전환되면서 번호가 1002번으로 변경되었다. 원래 해운대까지 연장될 예정이었지만, 구포3동~센텀파크로 운행이 예정되었던 46번의 노선신설이 무산되자, 이 노선이 해운대가 아닌 센텀파크로 연장되었다. 번호만 1002번으로 변경되었을 뿐이지, 사실상 유일무이하게 구.47번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노선이다. 한때 18대로 운행되었지만 자사노선 [[부산 버스 1008|1008번]]의 증차로 인한 차량공수로 현재는 운행대수가 15대 밖에 되지 않는다. === 구.347번 === [include(틀:폐선)] [[파일:external/cafefiles.naver.net/347%B9%F8_1916.jpg]] * 본래 서창영업소에서 출발했다가 나중에 영산대학교로 기점이 바뀌었던 노선이다. 1998년에 47번 좌석노선에서 노선 분리되어 347번을 부여받았다.[* 같은 날에 일반 47번도 용당 지선노선을 포함하여 147번으로 분리되어 나갔다.] 그러나 47번 좌석 시절부터 수요가 그리 많지 않았다. * 2001년 9월 20일 개편으로 기점이 영산대학교에서 평산동 봉우아파트로 변경되어 [[부산 버스 50|50번]]과 기점이 같아졌다.[* 그래서 원래 이 문단의 내용들은 같은 기점을 사용하는 [[부산 버스 50|50번]] 문서에 있었으나, 엄연히 47번에서 시작한 노선이므로 이 문서가 신설되면서 옮겨졌다.] 당시 노선은 봉우아파트 - 태원아파트 - 덕계초교 - 덕계상설시장 - 월평고개 - 영천초교 - [[노포역]] - 남산볼링장 - 두실 - [[금정구청]] - 소정천 - [[온천장역]] - [[롯데백화점 동래점]]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지하철역]] - [[교대역(부산)|교대역]]이었다. 굴곡구간이 없는 깔끔한 형태였다. 다만 도시철도와 너무 겹쳤고, 단축으로 인해 영산대학교를 가지 않아 영산대학교 수요를 몽땅 잃었으며, 50번의 수요를 거의 흡수하지 못해 총 수요는 오히려 더 감소하였다. 무엇보다 같은날 신설된 계열사 [[푸른교통]]의 구.2000번([[양산시내버스]])[* 구.347번의 봉우아파트 단축 당일 개통된 노선이며, 새빨간 경남21 도색을 하고 다녔다. 무엇보다 양산시내버스인데 스티커의 글꼴 및 스타일이 부산 행선판과 매우 비슷했다.[* 푸른교통이 삼신교통 계열이다보니 똑같을수밖에..] 글꼴 자체는 [[부산광역시]]가 사용하는 글꼴과 똑같았다. 이 노선 역시 현재는 폐선되어 없는 노선.]에 시종일관 압도당하기까지 하였다. 당시 양산 구.2000번의 노선은 영산대에서 롯데백화점(동래)까지였다. * 운행하는 차량도 주로 쇠창틀, 스텐바디 하이파워 차량들이었고(...) 폐선 직전에 잠깐 신도색으로 재도색한(...) 로얄시티[* 1998년식으로 출고 당시에는 구도색이었으나 2000년대 초반에 신도색으로 덧칠했다.]가 투입된 적이 있다. 나중에는 1시간이 넘도록 안 오기도 했으며 소리 없이 운행중단되었다가 2005년 쯤에 공식폐선되었다.(...) == 특징 == * 1993~1997년 기준으로 [[웅상]]의 대표적인 맏형 및 본좌 노선이었으며, 서창에서 재송동까지 운행되었다. 이때까지만해도 [[삼신교통]]의 독보적인 대표/간판 주력노선이자 시초 노선이었다. 입석, 좌석이 같이 운행되었다. * 1995년 기준으로 이 노선이 3~4대가 지나면 그제서야 [[부산 버스 50|50번]]이 겨우 1대가 도착할 정도로 배차간격이 꽤 좋았었다. * 용당 지선 노선이 147번으로 분리된지[* 147번 좌석은 이후 247번으로 분리되었고, [[부산 준공영제 개편]]때 현재의 1002번이 되었다.] 약 1년 뒤에 이 노선도 결국 범어사입구까지 단축되면서 몰락하고 만다. 사실상 구.247번의 하프코스 노선으로 전락되었는데, 6대만 남았기 때문에 배차간격도 좋지 않아서 이 노선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았다. 거기다 범어사역에서 동래전화국까지는 100% 선형이 일치하고 배차간격이 훨씬 더 좋은 50번을 이용하면 그만이었기에 한 마디로 무용지물이었다. 그나마 소수 이용객들이 존재했는데, 47번이라는 번호로 오랫동안 운행해왔던 노선인 점에서 인지도가 약간이나마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일반노선이었기 때문에 구.247번보다 먼저 도착했을때 소수 부곡동 주민들 한정으로 와일드 카드 노선으로 인식되었다. * 2003~2004년도에 반여1동 지역주민들의 민원으로, 범어사입구~기존노선~동래한전~반여1동~반여3동~반여2동~재송동 경유로 변경하자는 민원이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 43번이 거의 반여1동의 유일한 노선이나 다름이 없었을 정도로 노선이 길어서 RH시간대에 배차간격이 25~30분(!!!)까지 벌어지는 진풍경(?)이 연출되었고, 거기다 가축수송까지 더해져 이용불편이 상당하였다.] 그러나 문제는 반여1동을 떡하니 독점하고 있던 업체는 다름 아닌 앙숙인 [[세진여객]] 계열사인 [[삼성여객(부산)|동성여객]]이었고, 안락SK아파트~반여1동~반여3동~반여2동~재송동 루트는 하필이면 세진여객 또다른 계열사인 [[삼화여객]]의 주력노선 [[부산 버스 155|155번]]과 심하게 중복되었다.(...) 가뜩이나 삼신교통은 과거에 구.89번과 148번때문에 삼화여객과 철천지 원수였던지라 애시당초 이게 실현될 가능성이 0이나 마찬가지였으며 게다가 일신여객에서 자사노선들의 수요감소를 우려하여 47번의 진입을 반대했다는 카더라가 있다. 이 때문에 47번이 반여1,2,3동으로 변경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했다. * 범어사입구 단축 이후 [[부산 버스 48|48번]]과 함께 엄청난 천대를 받았는데, 신차는 전혀 투입되지 않았고, 2003년도 기준으로는 과 함께 쇠창틀 BS106(......)이 주력차종이었다. 이후에도 로얄시티도 아닌, 그렇다고 세미 로얄[* 외형은 그냥 하이파워 차량이었는데, 창틀이 새 것으로 바뀐 차량이었다. 이후 해당 창틀은 후속모델인 로얄시티도 사용하게 된다.]도 아닌 갈색창틀 BS106(...)이 주력차종이었으며, 폐선 직전 2대로 운행했을 당시 구도색 로얄시티 예비차 2522호가 잠깐이나마 투입되었던게 그나마 위안.[* 예비차였기 때문에 스티커식 행선판을 부착하지 않고 구.29-2번처럼 아크릴식 구형 행선판을 끼우고 다녔다.(...)] == 대체 노선 == * [[부산 버스 31]] / [[부산 버스 200]] (해운대경찰서 <> 동래시장) * [[부산 버스 50]] (덕계다리 <> 동래전화국) * [[부산 버스 144]] (재송농협 <> 동래시장) * [[부산 버스 148]] ([[범어사역]] <> 부산정보관광고) * [[부산 버스 1002]] ([[범어사역]] <> 해운대경찰서)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버스 템플릿 미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