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 버스 2_1429.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2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다대포) ||<-2> 종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부산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5:55 || || 막차 || 22:15 || 막차 || 23:10 || ||<-2> 평일배차 || 출퇴근 7분 / 평시 1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0분 / 일요일 11분 || ||<-2> 운수사명 || [[동원여객]] ||<-2> 인가대수 || 18대[*공휴일 17대 운행] || ||<-2> 노선 ||<-4> [[다대포]] - 몰운대아파트 - [[다대포해수욕장]] - (→ [[다대포항역]]·다대수협 →/← [[다대포항역]] ← 다대1동주민센터 ←) - [[낫개역]] - [[신장림역]] - 장림초등학교 - 장림시장 - 신평2동교차로 - [[신평역]] - 하남초등학교 - 가락타운2.3단지 - 동아대입구 - 하단교차로 - 사하구청.[[당리역]] - [[사하역]] - 괴정자유아파트 - [[대티역]] - 대티고개 - [[삼육부산병원]] - 부경고교 - 동신초등학교입구/서여고 - {{{#aaa 부산터널}}} - [[부산역]]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9.8km다. [[http://map.naver.com/?busId=7100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파일:부산버스2_1965.jpg|width=83%]] || || 1965년의 모습. || * 부산 시내버스 중 가장 첫 번째 번호였던 구 1번이[* 구 1번은 [[하단역]] 근처 에덴공원 앞에서 출발해 [[부산역]]을 경유해 연일시장(현 [[물만골역]] 근처)을 잇는 노선이었다. 현 [[부산 버스 1001|1001번]](당시 240번) 회차지 자리에 있다.] 폐선되면서 2번이 제일 앞 번호였다. 하지만 2016년 11월 29일의 개편으로 [[민락동(부산)|민락동]] - [[부암역]] 간 [[부산 버스 1|1번]]이 개통되면서 다시 가장 첫 번째 번호 타이틀을 1번에 내어주게 되었다. 하지만 2021년 1월 16일의 개편으로 1번이 폐선되면서 다시 가장 첫 번째 번호 타이틀이 2번으로 돌아왔다. * 노선의 변경이 잦았던 노선이다. 1965년에 온천장~충무동 노선으로 운행했으며[* 당시에는 천일교통(우리가 아는 천일여객의 시내사업부였다.)에서 운행] 1973년 이전에는 [[연산동(부산)|연산동]]~[[남포역(부산)|시청]]~[[구덕운동장|운동장]]간을 운행했으며 1973년 2월 22일에 연산동~영주터널~운동장 간 노선으로 조정되었다. * 1980년대 이 노선은 대창운수[* 1983년 밀성여객 → 1988년 영신상운 → 폐업. 광주 [[대창운수]]가 아니다.] 출신 노선이며 노선은 에덴공원~괴정~대티터널~영주터널~[[부산역]]~교통부~서면~연산동.영남유지(現 시청)~사직동을 운행한 노선이었으며, 1990년 초에 신평~괴정~부산터널~부산역~서면~연산동으로 변경되었으며 1994년에 지금의 동원여객이 맡으면서 서면으로 단축되었다 1998년 다대포로 연장되었고 2000년에 자유.평화시장으로 단축되었다.[* 다대포로 연장 될 때에는 동우여객이란 이름으로 운행하였고, 일부는 좌석버스가 투입되었으나 곧 일반버스로 전환하면서 동원여객으로 운행하였다.] * 2007년 5월 대개편을 기점으로 인가대수가 26대였다가 두달 뒤 준저상버스가[* 2012년에 [[부산 버스 81|81번]]으로 넘어갔고 2015년 연말에 뉴슈퍼에어로시티 F/L 저상으로 대차되었다.] 증차분으로 투입되면서 인가대수도 27대가 되었다. * 2008년 7월 2일, [[부산 버스 338|338번]] 몰운대 롯데캐슬 연장 및 증차 건으로 동원여객, 동진여객 노선에서 각각 1대씩 감차해 338번으로 넘겼다. 이때 동원여객에서는 이 노선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어 넘어갔다. * 2014년 7월 26일, 증차요구가 늘어난 338번 인가대수를 증차하기 위해 동원여객, 동진여객 노선에서 각각 1대씩 감차해 338번으로 넘겼다. 이때 동원여객에서는 이 노선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어 넘어갔다. * 2015년 8월 22일, 태영버스가 [[부산 버스 58-2|58-2번]] 노선변경 및 증차 건으로 338번에서 철수하게 되어 4대의 공백을 동원여객, 동진여객에서 각각 2대씩 투입하여 메웠다. 이때 동원여객에서는 이 노선 인가대수가 2대 감차되어 넘어갔다. * 2015년 12월 27일, 회차지점이 진시장에서 부산역으로 단축되었다. * 2017년 4월 22일, 동남여객 [[부산 버스 338|338번]] 철수로 인한 공백 분담해결 및 [[부산 버스 96-1|96-1번]] 참여 문제로 이 노선 인가대수가 4대 감차되었다. 338번에 3대, 96-1번에 1대가 넘어갔다. * 2017년 11월 4일, 증차요구가 여전한 338번 인가대수를 증차하기 위해 동원여객, 동진여객 노선에서 각각 1대씩 감차해 338번으로 넘겼다. 이 때 동원여객에서는 이 노선에서 1대가 넘어갔다. == 특징 == * '''현존하는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노선이다.'''[* 1960년대에 개통된 시내버스 노선 중 2번, 구.25번, 26번 노선만 유일하게 개통년도가 알려져있으며 그 외에 개통된 노선은 6번, 7번, 8번, 10번, 11번, 13번, 16번, 17번, 구.28번, 구.32번, 33번, 구.38번, 구.39번, 57번, 59번, 61번, 62번, 88번, 96번, 구.107번, 108번이다.] * 동원여객이 [[부산 버스 81|81번]]을 인수하기 전까지만해도 동원여객의 간판/주력노선이었다. 2007년 5월 15일 기준으로 27대로 자사노선들 중에서 운행대수가 가장 많았다. 게다가 338번이 계속 수요가 증가하고 2017년 4월 22일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연장으로 현재에 이르게 된다. * 전체 노선의 약 75% 가량이 [[사하구]]에 속해 있고 나머지 25% 중 20%인 대티고개랑 동대신동 구간은 [[서구(부산)|서구]] 소속이며 중구 영주동 정류장과 동구 부산역 정류장이 5%를 차지한다. 구평, 감천만 뺀 사하구 거의 전 지역을 다 간다고 보면 된다. [[다대포]] 착발 노선 대부분이 그렇듯이 굉장한 수요를 보여준다. 게다가 굴곡이 좀 많은 노선이다. 하단교차로에서 신평역으로 바로 가지 않고 [[동아대학교]], 가락타운 1.2단지가 있는 [[하신번영로]]로 다니기 때문에[* 2016년 4월 23일부터 [[부산 버스 138-1|138-1번]]도 가락타운2단지만 경유하다가 2018년 12월 29일 개편으로 이 버스와 같은 선형으로 경유한다.] 타 노선보다 더 굉장한 수요를 자랑하며, [[동아대학교]]와 낙동대로를 거쳐 시내로 나가기 때문에 통학수요도 상당하다. [[부산 버스 11|11번]]과 마찬가지로 장림시장을 거쳐 신평역까지가 가장 혼잡하며 96번, 113번과 함께 [[대티터널]]로 바로 가지 않고 대티고개로 우회하는 노선이라서 이 구간의 고정수요도 상당하다. * [[부산 버스 1000|1000번]], [[부산 버스 1001|1001번]]과 마찬가지로 [[남포동(부산)|남포동]]을 경유하지 않고 [[구덕운동장]]을 거쳐 바로 [[부산터널]]을 경유하여 [[부산역]] 방면으로 가는 노선이긴 하지만 이 곳이 상습 정체구간이기 때문에 출퇴근시간에는 좀 돌아가더라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타거나 [[부산 버스 40|40번]], [[부산 버스 81|81번]]을 이용하는게 훨씬 낫다.[* [[대청로(부산)|대청로]](보수동책방골목,국제시장)를 경유하여 중앙동-영주동-부산역 방면으로 가는 노선들이다. [[부산터널]]보다는 조금 돌아가는 편이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이쪽으로 가는 편이 오히려 훨씬 낫다.] * [[신평역]] 이전 구간에서 [[부산역]]으로 가려는 사람들도 이 노선이 [[신평역]]에서 하단오거리로 바로 가지 않고 [[굴곡 노선/버스|가락타운 안으로 거쳐 가기 때문에]](대략 5~10분가량 더 걸린다.) 그냥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을 타는게 낫다. * 확실히 이 노선은 다른 시내버스들처럼 [[서면]]까지 가지 못하고 [[범일역]]에서 노선이 끊겨버린 특성상 [[부산역]] - [[부산진시장]] 구간 수요는 극히 적었다. 다만 [[다대포]]랑 [[사하구]]에서 [[부산터널]]을 경유하여 부산진시장으로 바로 이어주는 입석버스노선이 사라지게 되었다.[* [[범일역]]에서 내리면 바로 자유.평화시장이 나오고 다대포에서 진시장 방면으로 가는 급행버스 [[부산 버스 1000|1000번]]이 존재한다.] 반대로 말하면 자유.평화시장과 진시장에서 대티고개와 [[사하구]],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로 바로 이어주는 입석버스노선이 사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자유시장·자성대·부산진시장에서 이용했던 수요 또한 적지 않았기에 단축 이후 대당 운송수입금이 약 5만원 정도가 감소되었다. 자유시장까지 운행했을때도 당장 단축해야할 정도로 심각한 장거리 노선이 아니었다. 대티고개와 보수대로[* 167번은 차고지 방면은 보수대로를 미경유하고 67번은 진시장으로 가지 않기에 이 노선만의 차별화가 있었는데 부산역으로 단축되어 보수대로 연선에서는 그야말로 이도저도 아닌 노선이 되어버렸다.] 연선 구간에서 부산진시장과 범일역으로 가려는 수요도 제법 많았었다. 단축 직후에는 자성대, 진시장, 부산진역에서 2번이 왜 안오냐고 묻는 시민들이 적지 않았다. 아무래도 부산역 - 자유시장이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중복된다는 이유로 단축했을 가능성이 있다. 구간 수요가 많지 않은 구간이 잘린데다 잘린 구간은 전통적으로 도시철도와 급행버스의 영향이 강하다. 그래서인지 이 노선의 단축에 대한 항의가 거의 없었다.[* 물론 대티고개 연선 주민들이 항의가 가장 많았으나 이용객 수가 적어 진시장 환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부산 버스 46|46번]]도 그렇다. * 부산역으로 단축된 이후 배차간격이 1~2분 가량 줄었으며 [[부산 버스 1000|1000번]]의 [[서구(부산)|서구]]~[[부산역]] 구간, [[부산 버스 1001|1001번]]의 하프코스구간[* [[대티터널]]/대티고개 경유 여부를 제외하면 [[동아대학교]](을숙도초등학교)에서 [[부산역]]까지 노선이 거의 유사하다. 다만 이 노선은 서여고(동신초교)~구덕운동장~대티고개를 경유한다.]을 담당하는 수준으로 운행중인 것이 확인되었다. 동아대~부산역까지 1001번의 저가형으로 이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노선이 꽤 오랫동안 운행되어 [[인지도]]가 높고 단독구간(가락타운104,115동)[* 현재로선 [[부산 버스 138-1|138-1번]]도 경유를 하지만, 하단역 방면이 아닌 엄궁동 방면으로 간다.]도 있어 여전히 많은 승객이 이용한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장으로 이 노선도 수요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지만 장림시장, 가락타운, 대티고개, [[보수대로]], [[부산터널]] 등 은근히 도시철도 노선을 피해 우회하는 노선이라 더 이상의 단축은 없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2017년 4월 22일 노선 개편 때에도 '''아무런 조정 없이 인가대수 감차만 이루어졌으며''' 4대가 감차되어 19대로 운행한다. 부산역 단축 이후 1~2분 가량 줄었던 배차간격이 4대 감차로 1~2분 가량 다시 늘어났다. 감차된 차량은 [[부산 버스 338|338번]]에 3대, [[부산 버스 96-1|96-1번]]에 1대가 넘어갔다. 게다가 2017년 11월 4일에는 338번 인가대수 증차분으로 1대가 넘어갔다. 2008년 7월 1일까지 인가대수가 27대였던 이 노선은 2017년 11월 4일부로 인가대수가 18대로 설정되면서 9년동안 무려 9대가 감차되었다. * 노선이 단축되고 인가대수가 감차되는 수모를 겪었음에도 대당 운송수입금은 대체로 60만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장 이후 약 58~59만원대까지 하락했다. 그래도 다대포 노선들 중에선 도시철도 연장 이후의 수요 감소폭이 338번과 함께 적은 노선이다. 향후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동아대역]]이 완전히 개통되면 수요에 조금 타격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노선은 큰 문제 없이 현행대로 유지 가능할것으로 전망된다. 아니면 수요 확보겸 다시 진시장으로 재연장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게 나오고 있는 중이다. * 2016년 기준 일평균 이용객수가 15,980명이었으나, 2017년 기준 13,074명으로 이용객 수가 2,900명 이상 감소하였다.[*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일단 [[https://ptc.ts2020.kr/app/#/inside/use|이 사이트]]에 들어간 뒤 설정찍고 보면 된다.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7을 나누면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나오며,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1주일 간의 운행대수(2번 125대)를 나누면 1일 대당 승객수가 나온다(평일과 주말의 인가대수가 다른 노선이 많으니, 반드시 주말 인가대수까지 확인해야 한다.).] * [[부산역]]에서 노선이 끊기는 특성상 구덕운동장 이후 구간부터는 한산한 편이며[* 부산역 방면 [[보수대로]] 연선의 경우 서면까지 이어주는 [[부산 버스 67|67번]]이 있기에 이 노선을 이용할 일이 거의 없다. 더군다나 67번의 배차간격이 이 노선보다 훨씬 좋다.] 주로 부산역에서 타 노선으로 환승하려는 이용객들이 간간히 탑승하는 편이다. 반대로 부산역에서 회차하여 돌아나가면 부산역 정류장에서부터 좌석이 다 차서 입석까지 발생하기도 한다.[* 이들은 주로 가락타운이나 장림, 다대동까지 가는 이용객들인데 1000번이 급행버스라 요금이 비싸기에 조금 더 걸리더라도 이 노선을 타고가는 수요층이 많이 존재한다.] * 반대로 '''흑교사거리 이북 구간[* 화랑초등학교, 서여고, 동신초교 정류장.]에서는 유일하게 [[동아대학교/승학캠퍼스]]를 연계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서구청에서 흑교사거리 구간까지는 [[부산 버스 126|126번]]이 있으나 흑교사거리에서 [[구덕로]] 서부교회 방면으로 좌회전해버린다.]''' 동아대 통학생들의 고정수요가 상당히 많다. 또한 대티고개에서도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를 잇는 유일한 노선[* [[부산 버스 113|113번]]은 하단교차로에서 [[신평역]] 방면으로 좌회전해버린다.]인지라 수요가 매우 많다. 여러모로 이들 지역에서는 절대 없어서는 안 될 노선. * 대티고개를 경유하는 노선들 중 유일하게 부산역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때문에 진시장에서 부산역 단축 안건이 나왔을 시절에 대티고개 연선 승객들의 반발이 심했었다. 현재는 대티고개에서 진시장으로 가려면 얄짤없이 환승해서 가야만 한다(..) * 2018년 12월 29일에 [[부산 버스 138-1|138-1번]]이 [[하신번영로]] 구간으로 노선이 조정되어 2번의 수요를 보조할 수 있게 되었다. * [[피아노(SBS)]]에 이 노선의 버스가 출연한 적이 있다. * 노선 경로에는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의 부산 야고보지파 본부교회가 포함되어있다.[* 강변아파트 정류장.] 그래서 주말 및 수요일 저녁에는 하단 구간이 신천지 교인들로 붐비는 버스이다. 이들은 항상 [[정장]] 차림 또는 흰색 상의에 검은색 하의([[모나미 볼펜]]) 및 파란색 넥타이를 하고 있다. 이들은 버스를 탈 때 줄 서서 가지런히 타며, 어른들에게 자리를 양보하라고 지속적으로 교육하는 등 대외적 이미지를 의식하고 있는 듯 하다. 그리고 이 현상이 138-1번에도 발생되고 있다.[* 실제로 138-1번 승무원의 증언을 들어보면 햇님공원 정류장(현재는 강변아파트 정류장)에서 타는 교인들은 기본 사상까지 간다고 한다.] === 이용 시 유의할 점 === * [[다대포]]에서 [[괴정역|괴정시장]]이나 동대신동을 갈 때 절대 이 노선을 타면 안된다. 빙빙 둘러가는 굴곡노선이기 때문에 도시철도나 [[부산 버스 11|11번]][* [[부산 버스 96|96번]]에 비해서 신평역과 하단으로 조금 둘러가긴 하지만 이 노선과는 달리 동아대 승학캠퍼스와 대티고개를 추가로 경유하지 않는 만큼 이 노선에 비하면 더욱 빨리 간다.], 96번이나 96-1번을 이용하여 가자. 마찬가지로 괴정이나 서구에서 다대포를 갈 때에도 도시철도나 96번을 이용하는 편이 낫다. * 또한 다대포에서 하단으로 갈 때에도 이 노선보다는 도시철도나 3번, 11번, 96번,96-1번이나 338번을 이용해서 가는 편이 훨씬 낫다.[* 장림시장이랑 신평역으로 우회해서 가는 11번보다 배고개와 동매교를 통해 빠르게 하단교차로로 이어주는 3번을 이용하는 편이 더욱 낫다.] * 이 노선은 부산역 방면으로 대영고가교를 이용하는 특성상 부산역 방면 운행 시 서여고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동신초교 정류장의 경우 [[부산 버스 67|67번]]과 함께 기존 정류장에서 남쪽으로 약 100m 좀 떨어진 동신초등학교입구 정류장에 정차한다.[* 따라서 동신초교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은 [[부산 버스 135|135번]]이 폐선된 이후로는 11번이 단독으로 정차하며[* 8번과 67번의 경우 구덕운동장 정류장에 정차하는지라 정류장 간 거리가 가까워진다는 이유로 그냥 통과하고 있다. 그래도 구덕운동장 정류장까지 길을 건너가야 하는데다 11번 단독 정류장이라 같이 정차시켜달라는 의견도 많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해당 정류장에서는 2번을 이용하려면 100m정도 서여고 방면으로 내려가라고 표기되어 있다.] 허나 11번이 무정차 통과하는 문화아파트 정류장에 이 노선은 70번과 190번이랑 같이 정차하기 때문에 이 곳에서 하차하면 [[구덕운동장]]으로 바로 갈 수 있으며 동신초교 정류장도 도보로 1분 정도 이동하면 바로 도착한다. 이용 시 참고할 것.[* 부경고교 정류장에 하차해도 구덕운동장과 바로 연계된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19671.86|| || ||2015년|| 17729.00|| {{{#blue ▽ 1942.86}}}|| ||2016년|| 15980.86|| {{{#blue ▽ 1748.14}}}|| ||2017년|| 13074.29|| {{{#blue ▽ 2906.57}}}|| ||2018년|| 11576.71|| {{{#blue ▽ 1497.58}}}|| ||2019년|| 11185.57|| {{{#blue ▽ 391.14}}}||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2021년|| 7680.28|| {{{#blue ▽ 3505.29}}}|| ||2022년|| 8741.81|| {{{#red △ 1061.57}}}||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6> '''부산역[br]03054 · 03060''' || || 영주동[br]01028 || {{{#ffffff ↓}}} || || || {{{#ffffff ↑}}} || 영주동[br]01029 || || 서여고[br]02024 || || || || || -[br] || || 동신초등학교[br]02028 || {{{#ffffff ↓}}} || || || {{{#ffffff ↑}}} || 동신초등학교입구[br]02026 || || -[br] || || || || || 문화아파트[br]02030 || || 구덕운동장[br]02032 || {{{#ffffff ↓}}} || || || {{{#ffffff ↑}}} || 부경고등학교[br]02042 || || -[br] || || || || || 서대신역.서대신교차로[br]02041 || || -[br] || {{{#ffffff ↓}}} || || || {{{#ffffff ↑}}} || 삼육부산병원(서대신역)[br]02035 || || 삼육부산병원[br]02034 || || || || || 삼육부산병원후문[br] || || 광민약국(서대신동)[br]02039 || {{{#ffffff ↓}}} || || || {{{#ffffff ↑}}} || 광민약국(서대신동)[br]02038 || || 민들레맨션[br]02154 || || || || || 민들레맨션[br]02155 || || 대티고개[br]10040 || {{{#ffffff ↓}}} || || || {{{#ffffff ↑}}} || 대티고개[br]10039 || || 괴정2치안센터[br]10042 || || || || || 괴정2치안센터[br]10041 || || 대티역[br]10044 || {{{#ffffff ↓}}} || || || {{{#ffffff ↑}}} || 대티역[br]10043 || || 괴정초등학교[br]10046 || || || || || 괴정초등학교[br]10033 || || 괴정시장(괴정역)[br]10048 || {{{#ffffff ↓}}} || || || {{{#ffffff ↑}}} || 괴정역 괴정시장[br]10032 || || -[br] || || || || || 괴정역.괴정사거리[br]10291 || || 괴정자유아파트[br]10051 || {{{#ffffff ↓}}} || || || {{{#ffffff ↑}}} || 괴정자유아파트[br]10052 || || 괴정삼익아파트[br]10062 || || || || || 괴정삼익아파트[br]10061 || || 사하역[br]10063 || {{{#ffffff ↓}}} || || || {{{#ffffff ↑}}} || 사하역.사하우체국[br]10064 || || 당리중학교[br]10066 || || || || || 당리중학교[br]10065 || || 사하구청(당리역)[br]10070 || {{{#ffffff ↓}}} || || || {{{#ffffff ↑}}} || 사하구청(당리역)[br]10068 || || 하단오병원[br]10072 || || || || || 낙동초등학교[br]10073 || || 하단교차로[br]10081 || {{{#ffffff ↓}}} || || || {{{#ffffff ↑}}} || 하단교차로[br]10231 || || 에덴공원[br]10085 || || || || || 에덴공원[br]10084 || || 동아대입구[br]10090 || {{{#ffffff ↓}}} || || || {{{#ffffff ↑}}} || 동아대입구[br]10088 || || -[br] || || || || || 을숙도초등학교[br]10091 || || 가락타운115동[br]10099 || {{{#ffffff ↓}}} || || || {{{#ffffff ↑}}} || 가락타운115동[br]10098 || || 가락타운104동[br]10100 || || || || || 가락타운104동[br]10101 || || 강변아파트[br]10102 || {{{#ffffff ↓}}} || || || {{{#ffffff ↑}}} || 강변아파트[br]10103 || || 가락타운2,3단지[br]10109 || || || || || 가락타운2,3단지[br]10108 || || 하남초등학교[br]10111 || {{{#ffffff ↓}}} || || || {{{#ffffff ↑}}} || 하남초등학교[br]10110 || || 신남초등학교[br]10112 || || || || || 신남초등학교[br]10114 || || 신평역[br]10115 || {{{#ffffff ↓}}} || || || {{{#ffffff ↑}}} || 신평역[br]10116 || || 동성화학[br]10117 || || || || || 동성화학[br]10118 || || 신평2동교차로[br]10149 || {{{#ffffff ↓}}} || || || {{{#ffffff ↑}}} || 신평2동교차로[br]10148 || || 한국주철관[br]10150 || || || || || 한국주철관[br]10147 || || 장림포구입구[br]10151 || {{{#ffffff ↓}}} || || || {{{#ffffff ↑}}} || 장림포구입구[br]10152 || || 장림1동행정복지센터[br]10227 || || || || || 장림1동행정복지센터[br]10226 || || 장림시장[br]10155 || {{{#ffffff ↓}}} || || || {{{#ffffff ↑}}} || 장림시장[br]10153 || || 장림중소기업은행[br]10156 || || || || || 장림중소기업은행[br]10157 || || 장림우체국[br]10158 || {{{#ffffff ↓}}} || || || {{{#ffffff ↑}}} || 장림우체국[br]10159 || || 장림역[br]10162 || || || || || 장림초등학교[br]10160 || || 영남중학교[br]10165 || {{{#ffffff ↓}}} || || || {{{#ffffff ↑}}} || 영남중학교[br]10164 || || 신장림역[br]10166 || || || || || 신장림역[br]10167 || || 고려냉장[br]10168 || {{{#ffffff ↓}}} || || || {{{#ffffff ↑}}} || 고려냉장[br]10169 || || 다대롯데캐슬블루[br]10172 || || || || || 다대롯데캐슬블루[br]10171 || || 낫개역[br]10173 || {{{#ffffff ↓}}} || || || {{{#ffffff ↑}}} || 낫개역[br]10174 || || 다대현대아파트[br]10175 || || || || || 다대현대아파트[br]10176 || || 다대푸르지오아파트[br]10177 || {{{#ffffff ↓}}} || || || {{{#ffffff ↑}}} || 다대푸르지오아파트[br]10178 || || 다대1동주민센터[br]10180 || || || || || 다대큰샘[br]10179 || || 다대포항역[br]10183 || {{{#ffffff ↓}}} || || || {{{#ffffff ↑}}} || 다대새마을금고[br]10182 || || 다대농협[br] || || || || || 다대포항역(다대수협)[br]10185 || || 다대우신아파트[br]10188 || {{{#ffffff ↓}}} || || || {{{#ffffff ↑}}} || 다대회센터[br]10186 || || 다대자유아파트[br]10189 || || || || || 다대자유아파트[br]10190 || || {{{#ffffff ↓}}} - || {{{#ffffff ↓}}} || || || {{{#ffffff ↑}}} || 다대포해수욕장[br]10191 || || 몰운대아파트[br]10195 || || || || || 몰운대아파트[br]10196 || || 대우아파트[br]10197 || {{{#ffffff ↓}}} || || || {{{#ffffff ↑}}} || 대우아파트[br]10198 || ||<-6> 다대포 || ||<-6> || }}}}}}}}}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영주동 ▼}}}||{{{-2 ▲ 부산역}}} || ||<-2> [[대영로|{{{#353535,#eee '''대영로'''}}}]] || || {{{-2 서여고 ▼}}}||{{{-2 ▲ 영주동}}} || ||<-2> [[보수대로|{{{#353535,#eee '''보수대로'''}}}]] || || {{{-2 구덕운동장 ▼}}}||{{{-2 ▲ 동신초등학교입구}}} || ||<-2> [[망양로(부산)|{{{#353535,#eee '''망양로'''}}}]] || || {{{-2 삼육부산병원 ▼}}}||{{{-2 ▲ 서대신역.서대신교차로}}} || ||<-2> [[대티로|{{{#353535,#eee '''대티로'''}}}]] || || {{{-2 괴정초등학교 ▼}}}||{{{-2 ▲ 대티역}}} || ||<-2> [[낙동대로(부산)|{{{#353535,#eee '''낙동대로'''}}}]] || || {{{-2 가락타운115동 ▼}}}||{{{-2 ▲ 을숙도초등학교}}} || ||<-2> [[하신번영로|{{{#353535,#eee '''하신번영로'''}}}]] || || {{{-2 신남초등학교 ▼}}}||{{{-2 ▲ 하남초등학교}}} || ||<-2> [[하신중앙로|{{{#353535,#eee '''하신중앙로'''}}}]] || || {{{-2 장림1동행정복지센터 ▼}}}||{{{-2 ▲ 장림포구입구}}} || ||<-2> [[장림로|{{{#353535,#eee '''장림로'''}}}]] || || {{{-2 장림시장 ▼}}}||{{{-2 ▲ 장림1동행정복지센터}}} || ||<-2> [[장림번영로|{{{#353535,#eee '''장림번영로'''}}}]] || || {{{-2 장림역 ▼}}}||{{{-2 ▲ 장림초등학교}}} || ||<-2> [[다대로|{{{#353535,#eee '''다대로'''}}}]] || ||<|3> [[다대로|{{{#353535,#eee '''다대로'''}}}]]||{{{-2 ▲ 다대푸르지오아파트}}} || ||[[다대동로|{{{#353535,#eee '''다대동로'''}}}]] || ||{{{-2 ▲ 다대회센터}}} || ||<-2> [[다대로|{{{#353535,#eee '''다대로'''}}}]] || || {{{-2 몰운대아파트 ▼}}}||{{{-2 ▲ 다대포해수욕장}}} || ||<-2> {{{#353535,#eee '''다대낙조1길'''}}} || || {{{-2 다대포 ▼}}}||{{{-2 ▲ 대우아파트}}} || ||<-2> [[다대로|{{{#353535,#eee '''다대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항역]] [[낫개역]], [[신장림역]], [[장림역]][* 다대포 방향만 경유한다.], [[신평역]], [[당리역]], [[사하역]], [[괴정역]], [[대티역]], [[서대신역]],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 * 일반철도: [[부산역]](SRT,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 둘러보기 == [include(틀:다대포 버스)] [include(틀:동아대학교 경유버스)] [include(틀:부산역 경유버스)] [include(틀:한국해양대학교 경유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1965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