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2015년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개편 목록)] [[파일:external/blogfiles14.naver.net/SAM_4440.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35번}}}|| ||<-2><:>기점||<:>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한국해양대학교]] 구 본관)||<-2><:>종점||<:>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중앙공원/민주공원 입구)|| ||<|2><:>종점행||<:>첫차||<:>05:00||<|2><:>기점행||<:>첫차||<:>05:40|| ||<:>막차||<:>'''22:35'''||<:>막차||<:>'''23:15'''|| ||<-2><:>평일배차||<:>16~17분||<-2><:>주말배차||<:>19~20분(공휴일:23~24분)|| ||<-2><:>운수사명||<:>[[신한여객]]||<-2><:>인가대수||<:>7대(예비차 1대) || ||<-3><:>운행거리 ||<-3><:>30.5km || ||<-2><:>노선||<-4><:>[[한국해양대학교]] - 동삼동국민은행 - 동삼삼거리 - [[영도구청]] - 청학시장 - [[HJ중공업]] - 해동병원 - {{{#aaa 영도대교 }}} - 영도대교·[[남포역(부산)|남포역]] - [[국제시장]] - [[보수동|보수초등학교]]-구.법원앞 - [[부산서여자고등학교|서여고]] - [[동아대학교병원]] - 동대고개.옛 구덕축구장 - [[혜광고등학교|혜광고교]] - [[부산디지털고등학교|부산디지털고]] - 중앙공원입구||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 역사 == === [[세진여객]] 운행 시절 === 135번은 80년대 초반에 신설된 노선으로 동부터미널(세진 온천영업소)에서 출발하여 온천초등학교~사직운동장~거제교회~부전역~서면~좌천동가구거리~부산역~영도대교를 거쳐 청학동간 노선으로 운행하여 사실상 [[부산 버스 35|구.35번]]의 지선노선이었다.[* 부산은 XX번과 비슷한 노선으로 XX-1이나 1XX번을 붙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러다 부전시장~서면으로 가지 않고 전포동~동성고교로 노선이 한 차례 변경되었다가 1987년도에 반여1동으로 노선이 연장되어 반여1동~안락교차로~동래역~동부터미널~기존노선~청학동 순으로 운행되다가 이후 도시철도 1호선 개통여파로 반여1동~동래한전~동래시장~동래역~사직운동장~기존노선~청학동 순으로 변경했지만 수요가 저조해 1~2대로 굴리다가 1996년도에 [[부산 버스 506|506번]][* 현재는 반여4동으로 운행되고 있지만 개통초기 당시에는 반여1동~안락교차로~동래역~교대역으로 운행하여 43번의 하프코스를 담당했었다.]이 신설되어 반여1동~동래역 구간을 잇게되면서 이 노선이 다시 온천2동 기점으로 환원되다, 1998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 [[신한여객]] 운행 시절 === ==== 동삼중리 시종착 시절 ==== ##신한여객 차고지에서 출발했던 노선 형태의 내용이 없어서 작성하였으므로 지우지 말기 바람 1998년 말경에 세진여객은 135번 노선과 차량들까지 모두 신한여객에 매각하면서[* 이 영향으로 세진여객의 면허인 31XX호 일부차량들을 신한여객에서도 볼 수 있으며, 그 밖에 해동여객에서도 세진여객의 31XX호 면허를 볼 수 있다. 신한여객에서 딱 필요한 만큼만 매입하는 바람에 세진여객이 남는 차량/면허들을 해동여객으로 매각된 것.] 동삼중리(신한여객 중리영업소)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운행이 재개됐었다. 신한여객에 인수된 후 동삼중리에서 황령터널입구, 양정, 시청까지 운행하였지만 중복노선들에게 너무 치여다녀서 [[황령터널]]입구로 단축되었다. 첫 구간의 운행 형태가 매우 독특했는데 '조양아파트' 방면으로 가던 113번, 101-1번과는 달리, '부산남고' 방면으로 운행을 시작했었다. '75광장' 삼거리에서 '반도보라아파트' 방면으로 우회전 한 다음 [[함지로]][* 반도보라아파트-절영복지회관-영도여고-조은유치원(절영아파트 217동 뒤)-벽산아파트 구간. 이 구간 중 영도여고-벽산아파트 구간은 당시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었으며 지금은 [[부산 버스 영도5|영도5번]]이 운행중이다.]를 거쳐 중리초등학교에서 우회전해서 내려와 좌회전 한 후 동삼전신전화국 정류장부터는 113번, 101-1번(1990년대 당시 기준)과 동일한 형태로 운행했다. 즉 기점에서 바로 청학동으로 가지 않고 [[부산 버스 59|59번]]마냥 동네를 빙 돌아서 나오는 노선이었다. 청학동 방면으로 가고자 하는 반도보라아파트와 함지그린아파트 주민들을 위한 노선이 아닌가 추측한다.[* 현재 이쪽 동네에서는 71번과 508번, 영도5번이 있으나 모두 청학동으로는 가지 않는다. 2021년 6월 5일 개편으로 6번이 봉래동영업소에서 청학동 남부여객차고지까지 노선이 연장되어 함지로를 완주한다.] 그 당시 신한여객 차고지에서 135번 버스를 타기 위해서는 차고지에서 문이 열려 있거나 안에 기사님이 탑승해있다면 그 버스는 곧 운행한다는 뜻이었다. 하지만 이 노선은 수요 부족으로 2003년 부로 후술할 한국해양대학교 시종착 노선으로 개편된다. ==== [[한국해양대학교]] 시종착 시절 ==== 2003년도부터 시종착 지점이 [[한국해양대학교]]로 변경되었다. 영도해양대~부산역까지 학생수요로 꽤 좋았으나 [[부산역]] 이북부터는 여러중복노선들이 존재하는데다 [[황령터널]]입구([[전포동]])에서 애매하게 끊기고 서면과 같은 수요지나 번화가를 비껴가는데다 무엇보다 황령터널 인근을 경유하다보니 교통체증으로 인해 안그래도 적은 운행대수에 배차간격까지 벌어지는게 문제였다. 특히 영도우체국 이후부터는 [[부산 버스 82|82번]][* 거기다 이 쪽은 배차간격이 훨씬 좋은데다 부산진시장까지 경유하고 있다.]과 상당히 중복되었기에 수요가 매우 저조했다. 그러다 2003년말경, 굳이 5대 모두 전포동까지 갈 필요성을 못느낀 신한여객에서 일부 차량들을 135-1번[* 본 노선은 2기노선이고 1기 노선은 [[삼화PTS]]에서 운행했다.](해양대~부산역)으로 분리신설 조치를 하였고 황령터널입구까지가는 오리지널 노선은 배차간격이 30분까지 벌어지게된다. 당연히 부산역까지만 가는 짧은 노선에 배차간격도 15분정도로 다니던 135-1번의 수요가 더 많아지자, 곧 135번은 쇠락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결국 2005년도엔 135-1번 노선으로 흡수통합되어 운행하게되었으며 해양대수요는 물론이고 영도에서 부산대교를 건너 부산역으로 가는 몇 안되는 노선이였기때문에[* 당시 이 노선을 제외하면 부산대교를 건너 부산역을 지나거나 종점을 둔 노선들로 88-1번, 101번, 190번이 존재하였다.] 드디어 파란만장한 삶이 끝나고 전성기를 맞이하는가 싶었지만 2007년도에 후술할 대중교통과의 거한 삽질로 전성기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할 [[부산 준공영제 개편]] 이후 문단을 참고바람. ===== [[부산 준공영제 개편]] 이후 ===== 2007년 준공영제 개편으로 중앙.민주공원까지 운행되었던 86번이 충무동까지 단축이 확정되면서 단축구간인 보수동~중.서구산복도로~중앙.민주공원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부산 대중교통과에서는 70번을 직선화[* 망양로→대영로(부경고교→서대신역.서부경찰서→동대시장.동대신역 정류장) 구간 폐지 및 구덕로 왕복 통합운행이다. 직선화로 인한 구덕운동장, 동아대부민캠퍼스, 부산대병원 부재 구간은 [[부산 버스 190|190번]]으로 대체가 가능하다.]하여 대체할 생각을 전혀 하지 않고-- 멀쩡히 잘다니던 135번 노선을 --괜히 쓸데없이 건드려서-- 해양대~기존노선~[[영도대교]]~[[국제시장]]~대청동~서여고~중앙공원 순으로 멋대로 조정하여 당시 해양대학생들과 서구/중구산복도로 주민들에게 공분을 사게 만든데다 한창 전성기를 맞이중이던 구.135번 노선을 망쳐놓은 결과만 얻고 말았다. 이후에도 반발이 극심했으나 부산시 공무원은 '''중앙동에서 내려서 걸어가거나 타 노선으로 환승하셈'''[* 부산시가 중구산복도로를 끝까지 고집한 결과물로 보여진다. 그러나 문제는 중구산복도로에서도 이 노선은 존재감이 극히 희박하다.]으로 빅엿을 날렸고 이후 변화없이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 후 부산역에서 해양대로 이동했던 패턴은 남포동역(영도대교입구)에서 출발하여 교내로 이동하는 패턴으로 바뀌었다. 그런데.. '''가장 큰 문제는 타지역 거주 해양대생들의 집결지인 [[부산역]]을 전혀 경유하지 않았다는 점과 중구, 서구산복도로 연선지역 주민들이 버스로 가장 많이 가는 곳인 부평시장&동아대부민캠퍼스나 서구청 환승센터를 경유하지 않았다는 점이 해양대생들과 중구, 서구산복도로 연선지역 주민들이 135번을 외면한 결정적인 이유였다.''' 그나마 수요지라고 주장하는 국제시장도 남포동까지 한참 걸어가야하는데다가 환승할 수 있는 버스노선도 몇 없다.[* 40번, 81번, 86번, 186번이 전부이며, 심지어 15번과 58-1번(현재는 미경유), 126번은 남포동 방면 한정 편도 경유다.] 그 결과 [[2007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때 [[부산 버스 12|구.12번]] 다음가는 대실패 사례로 남게 된다. 한국해양대학교 측에서도 부산역 종점시절 노선의 환원을 위해 서명운동까지 펼쳤지만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결국 참다못한 해양대학생들 대다수가 영도 하리까지만 운행하는 학교 내 무료셔틀버스로 등을 돌리기도 했다. 그 밖에 동삼동~영도대교구간 수요는 자사노선인 8번, 30번, 88번, 113번과 별 차이점 없이 운행하는 노선이 되어버린 탓에 수요가 상당히 저조했었다. [* 이 노선이 밀릴 수 밖에 없었던 가장 큰 원인은 남포동, 충무동을 가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부산역을 가는 것도 아니었기때문이었다. 한 마디로 이도저도 아닌 애매한 노선.] 뿐만 아니라 준공영제 당시 86번의 대체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서구청, 부평시장쪽으로 운행되지 않는 어처구니가 없는 선형으로 중구, 서구산복도로 지역주민들에게도 철저히 외면받았다. 이후 해당지역 수요 마저도 70번에게 대량으로 빼앗기게 된다. 결국 안 하니만 못한 노선조정이였고 [[망양로(부산)|망양로]] 중구 구간의 [[부산 버스 70]], [[부산 버스 135]], [[부산 버스 190]] 노선들 중에서도 가장 상태가 좋지 못한 채로 운행했다. 이후 하행 한정으로 동아대병원을 경유토록 조치가 되었는데, 기존보다 소요시간이 늘면서 경남고등학교 통학생들에게 원성을 드높이는 꼴이 되었다. 2007년 5월 15일에 펼쳐진 [[2007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에서도 사상 최악의 노선개편 대실패 사례로 꼽히고 말았다.[* 이 중에서도 가장 최악의 노선조정은 [[부산 버스 12]]였다.] 한 마디로 [[탁상행정]]의 대표적인 폐해다. 이로써 중.서구 산복도로 주민들이 이 노선을 이용할 이유가 완전히 없어졌으며, 심지어 중구1번이 충무동교차로까지 연장되고나서 중구, 서구산복도로 지역주민들에게 완전히 [[아오안]] 취급을 당하고 말았다. 버스동호인들은 차라리 이 노선을 190번으로 통폐합시키는게 낫다며 이를 민원화시켜 부산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단체로 수차례 건의하였고, 영도주민들과 해양대학교에서도 반응이 좋았는지 민원세례가 쏟아지기 시작했고 2012년 하반기 노선--[[청강리 사태]] 수습--담당관이었던 송 모씨도 적극적으로 추진했으나 --부산시의 윗선들에 의해--매번 개편 대상에서 제외당하였다.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그런데 약 8년 뒤]]에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뜻 밖의 일]]이 일어났다.''' === [[폐선]] === 2015년 11월 28일자 부산시 개편 공지에 따르면 이 노선을 폐선하고 일부구간들은 190번으로 통합될 것이 확정되었다. 해당사항은 [[부산 버스 190]] 항목을 참고바람. 폐선 후 동삼삼거리~[[국제시장]] 까지는 [[부산 버스 186|186번]]이 동일하게 운행 중이므로 186번을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노선담당관은 동삼삼거리에서 [[국제시장]]까지 노선이 동일한 186번이 아닌 완전 반대편에서 오는 [[부산 버스 81|81번]]을 대체노선으로 지목하여 ~~[[탁상행정]]~~ 전문성이 결여된 모습을 또 한 번 과시해줬다(...). 매번 이런 식이니까 상술한 2007년도 135번 같은 노선이 생겨나는거다. 그리고 통합 노선 [[부산 버스 190]]이 이전과는 달리 [[부산대교]]가 아닌 [[영도대교]]를 건너는 점[* 2007년 대개편 이전 135번도 부산대교를 건넜었다.]에서 아쉬움을 토로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또한 몇 안되는 인원이지만 [[영도구]]에 거주하는 [[경남고등학교]] 학생들을 통학시키는 노선이기도 했다. 대부분 시민들은 통폐합을 찬성하는 분위기지만 영도구에 거주하는 [[경남고]] 통학생들은 대체 노선인 [[부산 버스 8|8번]]을 타고 동아대병원입구 정류장에 하차하여 많이 걸어야 한다.[* 다만 2020년 현재로써는 영도구 거주 경남고 통학생 숫자가 급감하여 큰 불편함은 없다.] 하지만 190번은 동아대병원을 경유하여 조금 돌아간다.[* 정확히는 문화아파트를 지나 기존의 135번이 다니던 선형으로 다닌다.(동아대병원입구→동아대학교병원→경남고등학교→동대고개) --어차피 동대신3동에서 내려도 걷는건 매한가지고 동대신브라운스톤 아파트의 준공으로 기존 골목길이 사라져서 시간 차이도 얼마 안난다.--] 다만 [[국제시장]]에서 [[보수대로]]를 직통하여 [[보수동]]과 [[동대신동]]을 바로 이어주었던 노선과 동대신1동 화랑초교 정류장을 경유하였던 몇 없는 노선이 사라지게 된 점은 참 아쉽다.[* 40번과 81번이 있으나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로 조금 돌아서 운행하기 때문에 이 노선이 바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였다. 다만 이를 의식했는지 186번이 태종대까지 연장되었을때 행선판의 중간 경유지를 국제시장으로 표기하였다.] == 특징 == 당연히 주 이용객은 해양대학교 학생들이였다. 영도나 대신동 지역에서 국제시장으로 가는 수요도 뒷받침하였다. 단 국제시장까지의 수요는 주로 [[부산 버스 186|186번]]과 같이 분담하였다. 해양대 이후로는 다른 [[부산 버스 8|중]][[부산 버스 30|복]][[부산 버스 88|노]][[부산 버스 101|선]]들[* 전부 이 노선과 같은 업체에서 관리했었다. 본격 [[원월드|다굴 팀킬...]]]과의 경쟁에서 빈번하게 밀렸으며, 배차간격도 신한여객의 노선 중에서는 [[부산 버스 66|66번]] 다음으로 긴 편이였다. 출발점이 [[한국해양대학교]] 교내이기 때문에 구본관 옆의 주차장에 1대씩 짱박혀 있는 걸 자주 볼 수 있었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2대 이상 짱박혀있었다 카더라..~~ 이제는 [[부산 버스 190|이 노선]]에서 보인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s://ptc.ts2020.kr/app/#/inside/use|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소숫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3790.29||<)>|| ||2015년||<)>3504.43||<)>{{{#blue ▽ 285.86}}}|| == 연계 철도역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남포역(부산)|남포역]], [[중앙역(부산)|중앙역]] == 대체 노선 == === 해양대 1기 노선 === * [[부산 버스 88-1]] (동삼주공입구 ~ 부산역) * [[부산 버스 101]] (해양대입구 ~ 부산역) * '''[[부산 버스 190]]''' (한국해양대학교 ~ 부산역)[* 단, 영도대교를 건넌다.] === 해양대 2기 노선 === * [[부산 버스 186]] (해양대입구 ~ 국제시장)[* 단, 동삼동 구간에 한해 태종로가 아닌 해양로 연선지역으로 운행된다.] == 관련 문서 == * [[부산 버스 190]]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15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