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 버스 103H.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 버스 103HG.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0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3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연제공용차고지) ||<-2> 종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동원자동차정비공업사)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5:00 || || 막차 || 22:30 || 막차 || 22:45 || ||<-2> 평일배차 || 출퇴근 10분 / 평시 12분 ||<-2> 주말배차 || 13분 || ||<-2> 운수사명 || [[동원여객]] ||<-2> 인가대수 || 20대[*주말 토요일 18대 / 공휴일 17대 운행] || ||<-2> 노선 ||<-4> [[연제공용차고지]] - 시민도서관 - 부산진고교 - 국립부산국악원 - 부암교차로 - 부산진구청 -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부전도서관 ← 지오플레이스 ←) - [[범내골역]] - 범곡교차로 - [[부산진역]] - (→ 고관입구 → [[경남여중]][*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 [[초량역]] ← 인창병원 ←) - 부산고교 - (→ 부산역.초량시장입구 →/← 부산역[* BRT정류장] ←) - [[중앙역(부산)|중앙역.부산우체국]] - 남포동 - 서구청 - 보수초등학교 - [[구덕운동장]] - {{{#aaa 대티터널}}} - 괴정시장 - 신평입구 - 신평[[배고개]] - [[동매역]] - 사하경찰서 - [[장림역]] - [[신장림역]] → 협성르네상스타운 → 동원자동차정비공업사 → 고려냉장 → 신장림역 → 이후 역순 || ||<-2> '''종점 첫차 중간 출발 시간''' || || '''연제공용차고지''' 방향 ||동원자동차정비공업사^^05:00→06:09^^[* 장림에서 주박하는 2대가 05:00, 05:10에 출발한다. 05:10 다음 출발한 차(기점에서 05:00에 출발한 차)는 거의 1시간 뒤에 온다.] || ||<-2> '''종점 막차 중간 종료 시간''' || || '''동원자동차정비공업사''' 방향 ||연제공용차고지^^22:30→23:36^^[* 막차, 막차의 앞차는 종점(회차지점)까지만 운행하고 장림에 주박한다. 그리고 이 차들이 다음날 첫차와 첫차의 뒤차로 운행한다. 쉽게 말해서 과거 대도운수 148번과 동일한 형태라 보면 된다.]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9.6km다. [[http://map.naver.com/?busId=71002|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신평 - 배고개 - 괴정 - 구덕운동장 - 남포동 - [[부산역]] - 교통부 - 서면 - 양정 - 망미동 - 수영교차로 구간으로 다닌 장거리노선이었고 동화여객[* 이후 대한여객, 신평여객을 거쳐 2000년 대명여객에 인수된다. 현재의 동남여객 장림영업소.], 흥성버스[* 이후 태흥버스, 동원버스를 거쳐 1993년 동원여객에 인수된다.], 학성여객에서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이후 1983년에 대한여객[* 동화여객이 1981년에 사명변경]이 철수, 1985년에 학성여객이 철수하여 태흥버스[* 흥성버스가 1985년 사명변경]에서 단독운행했다. 이후 태흥버스는 동원버스로 사명을 변경하고 1990년대 초반 사하지역 공동배차제를 시행할때 동원여객이 참가, 이후 동원버스를 동원여객이 인수하면서 동원여객의 노선이 되었다. * 1991년에 노선이 대폭 변경되어 장림 - 배고개 - 괴정 - 구덕운동장 - 남포동 - 부산역 - 초량 - 구.성분도병원 순으로 운행하는 평범한 노선이었다. 이후 2002년 8월 1일 교대앞 - 충무동 간을 운행하던 28번 노선이[* 대일여객과 [[태진여객]]이 공동배차했었다. 본래 초읍착발이었으나 교대앞까지 연장되었다.] 노선 회차지와 차고지 공차거리 문제 및 업체 사정으로 동일한 초량상로 연선지역을 지나는 103번에 통폐합되면서 서면, 초읍, 사직운동장을 거쳐 [[교대역(부산)|교대역]]까지 연장되었다. 당시 차량 면허가 복잡했는데, 등록상으로는 동원여객 단독운행이었지만 배차 문제로 대일여객과 태진여객의 28번 출신 차량 일부를 지원받아서 운행했다.[* 동원여객에 현재 존재하는 47XX 넘버(태진여객 면허) 차량들이 다 이때 넘어온 것이다. 대일여객 출신 면허들은 나중에 전부 동원여객 주 면허인 22XX로 전환되었다.] 이후 별다른 조정없이 운행되고 있었다. * 지선 노선으로 [[부산 버스 103-1|구.103-1번]]이 따로 존재했었으며 노선도 비슷하였고 운행사도 동일했으나 구.103-1번은 1991년도에 기종점이 변경되면서 [[대진여객(부산)|대진여객]]과 [[삼화PTS]]로 변경되었고 노선 또한 완전 다른 노선으로 탈바꿈하여 서로 갈라지게 된다. * 그러나 초량안동네 종점에서 교대역 종점으로 연장되는 과정에서 왕복운행시간이 230분이나 되는 초장거리 노선이라는 문제점이 생겼고, 결국 [[2007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2007년 준공영제 대개편]]으로 신설된 구.12번이[* 그러나 3개월만에 54번으로 통폐합되었다.] 사직운동장 - [[월드컵대로(부산)|초읍고개]] - 서면 구간을 대체하게 되면서 [[부전역(동해선)|부전역]]까지 단축되었다. 이후 2008년 7월 2일 개편으로 지오플레이스 구간 폐지 및 범내골 양방향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6년 5월 21일 [[동원여객]]이 [[연제공용차고지]]에 입주함에 따라 장림동 본사[* 현재 본사인 장림동 차고지는 [[연제공용차고지]] 입성시기에 맞춰서 매각했다. 다만 장림동 차고지 옆에 있는 동원자동차정비공업사는 그대로 있다.]와 초읍영업소가 통합되어 [[성지로]]를 따라 [[연제공용차고지]]까지 연장되었으며 기종점은 연제공용차고지가 기점, 장림동이 종점으로 변경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95796&page=1|#]] 동시에 장림동 구간은 단선 순환으로 변경되어 현대아파트[* 현.[[신장림역]] 정류장] → 협성르네상스타운 → 벽산아파트 → 동원자동차정비공업사 → 현대아파트 순으로 회차하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첫차, 막차 승객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고정된 2대가 구.본사 옆의 장림 동원자동차정비공업사에 주박한다.''' * 2020년 5월 30일 [[서면교차로]] [[새싹로]] 방면 버스 전용 신호 폐지로 인하여 범내골 → 부전도서관 → 부전시장입구로 [[동천로(부산진구)|동천로]]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이로써 2008년 이후 약 12년만에 지오플레이스, 부전도서관 구간을 재경유하게 되었다. === 구.28번 === [include(틀:폐선)] [[부산 버스 28]] 문서로. === 구.103-1번 === [include(틀:폐선)] [[부산 버스 103-1]] 문서로. == 특징 == * '''[[장림동]], 신평[[배고개]], 초량상로 연선지역, 성지로 연선지역 일대에서 구간별로 단독수요가 있는 노선이다.''' 특히 [[장평로(부산)|장평로]] [[배고개]] 일대에서 [[괴정역|괴정동]], [[동대신역|구덕운동장]], [[남포동(부산)|남포동]]으로 연결하는 유일한 노선[* [[부산 버스 113|113번]]도 있지만 편도 경유에 하단교차로를 경유하고 있으며 [[부산 버스 1000|1000번]]은 요금이 비싼 급행버스로 운행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원도심으로 향하는 노선은 103번이 유일하다.], 초량상로 연선지역 일대에서 [[남포동(부산)|남포동]], [[서면역|서면]]으로 연결하는 유일한 노선,[* [[부산 버스 190|190번]], [[부산 버스 508|508번]]이 초량파출소를 경유, [[부산 버스 22|22번]], [[부산 버스 52|52번]]이 구.성분도병원을 경유하고 있으나 네 개 노선 모두 편도만 경유하고 있다.] 성지로 연지동 일대에서 [[서면역|서면]]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 [[부산 버스 83-1|83-1번]]이 있으나 20분~3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부산 버스 33|33번]]은 하마정을 경유해 둘러간다. 실질적으로 103번이 서면으로 가는 가장 빠른 노선이다.]이다. * 2002년 [[부산 버스 28|구.28번]]과 통합되기 이전의 103번은 부산역 → 초량교차로 → 침례병원[* 인창병원] → 중앙초등학교[* 경남여중] → 성분도병원[* 이편한세상부산항] → 부산고등학교 → 초량지구대 → 부산역을 단선 순환하는 노선으로 운행하였으며 통합 이후에도 초량상로 구간을 계속 존치시켰다.[* 단독노선이라 부산고등학교 통학생 수요와 초량안동네 수요가 상당했다.] 하지만 침례병원[* 남산동으로 이전하였으나 파산하였다.]과 성분도병원[* 2006년에 [[용호동(부산)|용호동]]으로 이전과 함께 성모병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이 이전하여 수요가 줄어들었고 이후 구.성분도병원 일대 재개발로 수요가 더 줄어들었지만 재개발이 완료되어 현재 구.성분도병원 일대 두 개의 아파트 단지 1,388세대, 인창병원 일대 아파트 단지 1,076세대가 입주하여 수요가 다시 늘어났다. 그 외 노선 선형상 연제공용차고지 방향으로 [[초량역]]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았다.[* 초량교차로에서 좌회전해야 하기 때문인데 22번과 52번은 정차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정차하고 있다. * 28번과 통합되기전 103번은 배차간격도 길고 수요도 적은 노선이었다. 28번이 103번에 통합되었다지만 사실 수익도 운행대수도, 배차간격도 모두 28번이 103번보다 훨씬 좋았다.[* 당시 28번은 신차도 곧잘 투입되었지만 103번은 무냉방 차량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노선이었다.] 28번이 폐선된게 대일여객, 태진여객이 본사와 너무 멀리 떨어져있는 영업소 관리에 어려움을 겪어서이지 노선 수익이 적어서가 아니었다. * 초량동 초량상로 일대를 경유하는 굴곡노선이라 남포동/부산역 ~ 부산진역/서면 구간의 수요는 없으며 간혹 행선판만 보고 탑승하다가 낭패를 보는 승객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자갈치시장]] / [[남포동(부산)|남포동]] 등지에서 [[부전역(동해선)|부전역]] / [[서면]] 쪽으로 빠르게 가려고 할 때는 절대 이 노선을 이용하면 안된다. 자갈치,남포동에서는 [[부산 버스 5-1|5-1번]], [[부산 버스 17|17번]]을, 중앙역에서는 [[부산 버스 81|81번]], [[부산 버스 88|88번]], 양구간 공통으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을 이용하는 편이 더 낫다.''' * 동원여객이 다대포 출발노선이 많아 [[다대포]]가 본사였던 것으로 착각하기 쉬우나 다대포는 본래부터 계속 영업소였고 실제로는 103번이 출발하는 [[장림동]]이 본사였다. 즉 103번은 유일한 본사 출발 시내노선이었다. 참고로 다대포차고지는 [[동진여객(부산)|동진여객]]의 본사이다. 1980년대에는 308번 좌석버스가 장림동에서 출발하기도 했다. 이후 2016년 5월 21일 본사와 초읍영업소가 통합되어 [[연제공용차고지]]로 이전해 이곳이 본사로 변경되었다. * 차고지를 [[연제공용차고지]]로 이전하였으나 첫차, 막차 이용승객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고정된 2대가 장림 동원자동차정비공업사에 주박한다.''' 덕분에 기종점에서 첫차, 막차가 동시에 출발하는 노선이 되었다. * 그리고 행선판 스티커에 계속 '다대동입구'로 표기해놓았으나, '''실제로는 다대동은 전혀 들어가지 않고 장림동 끄트머리에서 노선이 끊긴다.''' --아예 연제공용차고지◀▶서면◀▶신장림역 으로 바꾸지..-- 그래도 사실 하나병원 있는데가 장림동의 끝자락이긴 하니.. 개편 이후 '''다대동입구◀▶[[서면]]◀▶[[연제공용차고지]]'''로 변경되었다. 본래 중간경유지는 충무동이 표기되어 있었으나 연장되면서 서면으로 변경되었다. --바뀌어도 놓지않는 다대동입구-- * 연제공용차고지 연장 이후 승객수와 운송수입금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이 나날이 올라 54~55만원대를 유지하였다. 게다가 초읍고개 - 범내골 구간에서는 [[부산 버스 83-1|83-1번]]의 [[상위호환]] 노선으로 등극하였다. 허나 증차 없이 노선이 통째로 연장된 탓에 승무원들이 배차간격 조율에 어려움을 겪어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한다.[* 때문에 연장 초기에는 배차간격이 심하게 들쑥날쑥했었다.] 심지어 이 문제로 동료 승무원끼리 다툼까지 일어났다고 한다. 결국 운행소요시간을 늘리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한 듯 하다.[* 연장초기때 왕복기준으로 165분이었으나, 현재는 189분으로 조정되었다. 그럼에도 저속주행할 일은 전혀 없다. 사실 연제구 끝자락 지역에서 출발해서 중간에 초량안동네 굴곡 구간이 있는데다 사하구 거의 끝자락 지역까지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인데 왕복 기준으로 165분은 너무나 가혹했다.] * 증차 없이 노선이 통째로 연제공용차고지까지 연장된 탓에 체감 배차간격이 10분 이상으로 긴 편이며 연착이 자주 되는 노선이라 증차요구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으나 동원여객의 경우 마땅히 빼올 차량이 없어서 증차가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노선보다 운행거리가 더욱 짧은 [[부산 버스 81|81번]]에서 차량을 빼오라는 의견이 있으나 81번은 승객수와 운송수입금으로 부산시내버스 중에서 열 손가락 안에 드는 노선이라 함부로 건드릴 수 없다. 2번의 경우에도 2017년 4월에 수요감소로 인하여 대량감차까지 이루어진 상황이라 더 이상의 감차는 곤란한 상황이다. 96-1번의 경우에는 알다시피 [[4|운행대수]]가(...)... 그나마 만만한 노선은 1호선 연장으로 인해 수요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된 1000번이다. 하지만 연제공용차고지는 더이상 주차가 불가능하여 81번 감차 외에는 답이 없다.] 최근 서면교차로 새싹로 방향 BRT신호폐지로 인해 동천로로 우회하여 운행하고 있다. 출퇴근을 중심으로 상공회의소, 지오플레이스, NC백화점사거리, 서면교차로 일대 교통정체로 인해 배차간격이 자주 벌어지고 있어 승무원들의 스트레스가 상당하다고 한다. * 중앙대로 BRT 2단계 공사기간 동안 큰 피해를 입었던 노선 중 하나이다. 1단계와 다르게 우회도로가 존재하지 않아 구덕로 자갈치교차로~남포동, 중앙대로 남포동~좌천동 구간으로 차량정체가 매일 발생하여 배차간격이 자주 엉망이 되어 차내 혼잡도가 극에 달했다. 출퇴근과 평상시에는 정체현상이 심하면 평균 15분 간격으로 운행되었며 가장 심각할 때에는 20분~4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간혹 발생하기도 하였다. BRT 공사가 끝나 개통한 이후에는 배차간격이 균일해져 웬만하면 10분에 한대식은 온다. * 2017년 4월 20일부터 사하소방서부터 1호선 연장구간과 선형이 정확히 일치하게 되었다. 장림동 지역에서 1호선 연장구간의 선형을 그대로 따라가는 노선은 이게 유일하다. 이 영향을 조금 받기라도 했는지, 연제공용차고지 연장 이후 약 54~55만원대까지 오른 후 유지되었던 운송수입금이 2017년 5월에 약 51만원대까지 떨어졌다. * [[2017년]] [[12월 30일]]부터 [[부산 버스 83-1|83-1번]]의 인가대수가 2대 줄어들어 배차간격이 20분 이상으로 늘어난 관계로, 이 노선으로 수요가 쏠리는 현상이 더욱 심해졌다. 동시에 [[성지로(부산)|성지로]] 연선지역에서는 절대 없어서는 안 될 노선이 되었다. === 이용 시 유의할 점 === 기점에서 [[서구(부산)|서구]] 구간([[구덕운동장]] 방면)으로의 이동 시에는 이 노선보다는 [[부산 버스 81|81번]]을 이용하여 가는 편이 훨씬 낫다. 이 노선을 이용하면 초량안동네 굴곡 구간과 더불어 남포동과 자갈치로 빙 둘러가기에 81번에 비해 이동 소요시간이 상당히 길며 배차간격 또한 좋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이 노선은 [[성지로(부산)|성지로]]를 거쳐가기에 [[새싹로]]로 운행하는 81번과는 차이점이 있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11728.29|| || ||2015년|| 11123.57|| {{{#blue ▽ 604.72}}}|| ||2016년|| 10799.43|| {{{#blue ▽ 324.14}}}|| ||2017년|| 11148.71|| {{{#red △ 349.28}}}|| ||2018년|| 10734.42|| {{{#blue ▽ 414.29}}}|| ||2019년|| 10489.14|| {{{#blue ▽ 245.28}}}||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03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장평로(부산)|{{{#353535,#eee '''장평로'''}}}]] || || {{{-2 고려냉장 ▼}}}||{{{-2 ▲ 협성르네상스타운아파트}}} || ||<-2> [[다대로|{{{#353535,#eee '''다대로'''}}}]] || || {{{-2 신평시장 ▼}}}||{{{-2 ▲ 사하경찰서}}} || ||<-2> [[신산로(부산)|{{{#353535,#eee '''신산로'''}}}]] || || {{{-2 동매역 ▼}}}||{{{-2 ▲ 동매역}}} || ||<-2> [[장평로(부산)|{{{#353535,#eee '''장평로'''}}}]] || || {{{-2 괴정자유아파트 ▼}}}||{{{-2 ▲ 신평입구}}} || ||<-2> [[낙동대로(부산)|{{{#353535,#eee '''낙동대로'''}}}]] || || {{{-2 서대신역.서대신교차로 ▼}}}||{{{-2 ▲ 서대신교차로(서대신역)}}} || ||<-2> [[망양로(부산)|{{{#353535,#eee '''망양로'''}}}]] || || {{{-2 동대신역 ▼}}}||{{{-2 ▲ 구덕운동장}}} || ||<-2> [[구덕로|{{{#353535,#eee '''구덕로'''}}}]] || || {{{-2 동아대부민캠퍼스 ▼}}}||{{{-2 ▲ 서부교회}}} || ||<-2> [[흑교로|{{{#353535,#eee '''흑교로'''}}}]] || || {{{-2 서구청 ▼}}}||{{{-2 ▲ 부평시장}}} || ||<-2> [[보수대로|{{{#353535,#eee '''보수대로'''}}}]] || || {{{-2 자갈치입구(자갈치역) ▼}}}||{{{-2 ▲ 서구청(충무동)}}} || ||<-2> [[구덕로|{{{#353535,#eee '''구덕로'''}}}]] || || {{{-2 CJ대한통운 ▼}}}||{{{-2 ▲ 남포동}}}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국민은행 ▼}}}||{{{-2 ▲ 부산역}}}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221번길'''}}}]] || || {{{-2 초량지구대 ▼}}}||{{{-2 ▲}}} || ||<-2> [[초량상로|{{{#353535,#eee '''초량상로'''}}}]] || || {{{-2 인창병원 ▼}}}||{{{-2 ▲ 경남여중}}} || || [[고관로|{{{#353535,#eee '''고관로29번길'''}}}]]||[[고관로|{{{#353535,#eee '''고관로'''}}}]] || || {{{-2 ▼}}}||{{{-2 ▲}}} || || [[고관로|{{{#353535,#eee '''고관로'''}}}]]||[[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349번길'''}}}]] || || {{{-2 초량역 ▼}}}||{{{-2 ▲ 고관입구}}}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범내골역.상공회의소 ▼}}}||{{{-2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 [[황령대로|{{{#353535,#eee '''새싹로'''}}}]]||<|6>[[새싹로|{{{#353535,#eee '''새싹로'''}}}]] || || {{{-2 지오플레이스 ▼}}}|| || [[동천로(부산진구)|{{{#353535,#eee '''동천로'''}}}]]|| || {{{-2 서면교차로 ▼}}}|| || [[서전로|{{{#353535,#eee '''서전로'''}}}]]|| || {{{-2 부전시장입구 ▼}}}|| ||<-2> [[새싹로|{{{#353535,#eee '''새싹로'''}}}]] || || {{{-2 연지일동아파트 ▼}}}||{{{-2 ▲ 부암교차로}}} || ||<-2> [[동평로(부산)|{{{#353535,#eee '''동평로'''}}}]] || || {{{-2 국립부산국악원 ▼}}}||{{{-2 ▲ 연지일동아파트}}} || ||<-2> [[성지로(부산)|{{{#353535,#eee '''성지로'''}}}]] || || {{{-2 초읍삼거리 ▼}}}||{{{-2 ▲ 초읍초등학교}}} || ||<-2> [[월드컵대로(부산)|{{{#353535,#eee '''월드컵대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신장림역]] ,[[장림역]], [[동매역]], [[괴정역]], [[대티역]], [[서대신역]], [[동대신역]], [[자갈치역]], [[남포역(부산)|남포역]], [[중앙역(부산)|중앙역]],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 [[초량역]], [[부산진역]], [[좌천역(도시철도)|좌천역]], [[범내골역]], [[서면역]]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서면역 * 일반철도: [[부산역]](무궁화호, 누리로, ITX-새마을, KTX, SRT, 남도해양관광열차) == 둘러보기 == [include(틀:다대포 버스)] [include(틀:부산역 경유버스)] [include(틀:동아대학교 경유버스)] [include(틀:한국해양대학교 경유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