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노선명=부산 도시철도 C-BAY-PARK선, 공사구간=모든, 공사진행상황=구상중, 노선개통예정일=2022년 중앙역 ~ 문현역까지의 구간 완공을 목표)] [include(틀:대한민국의 경전철)] [include(틀:동남권 광역전철 노선)] ||<-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Busan(C-Bay-Park).png|width=50]]||{{{#81bf48 '''부산 도시철도 {{{+1 C-BAY-PARK선}}}'''[br]{{{-1 釜山 都市鐵道}}} C-BAY-Park線[br]{{{-1 Busan Metro}}} C-BAY-Park Line}}} ||}}} || ||<-5> [[파일:씨베이파크선 1단계.jpg|width=90%]] ----- 미정 || ||<-5><:>{{{#fff '''노선 정보'''}}} || || '''분류''' ||<-4>[[대한민국의 도시철도|도시철도]]|| || '''기점''' ||<-4>[[중앙역(부산)|중앙역]]|| || '''종점''' ||<-4>[[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역]]|| || '''영업거리''' ||<-4>2.4㎞|| || '''역수''' ||<-4>5개|| || '''전동차''' ||<-4>[[노면전차]]|| || '''전기''' ||<-4>미정|| || '''신호''' ||<-4>미정|| || '''배선''' ||<-4>미정|| || '''표정속도''' ||<-4>미정|| || '''차량기지''' ||<-4>[[좌천차량사업소]]|| || '''지상구간''' ||<-4>전 구간|| || '''착공예정''' ||<-4>2023년[* 그러나 착공이 계속 지연되면서 2024년에 착공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개통목표''' ||<-4>2030년. [* 원래 계획으로는 2022년 개통이 목표였지만 착공이 지연되면서 결국 2022년에 개통하지는 못했고, 아직까지도 착공이 되지 않아 정확한 개통 시기는 알 수 없는 상태이다. 계획상으로는 2023년 개통 예정이나 현재 착공조차 하지 못했는데 2023년 안에 개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2030년 개통예정이지만 2024년에 착공 한다면 2027년에 개통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차량제작을 포함 한다면 2030년 엑스포 때 현 노선이 엑스포 장을 정차하기 때문에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수도 있다.] [[중앙역(부산)|중앙역]]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역]] 미정.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역]] ↔ [[문현역]] 미정. [[문현역]] ↔ 시민공원역||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부산도시철도C-bay~Park선.png|width=75%]] [[부산광역시]]의 개통 예정인 [[경전철]] 노선 중 하나이다. 씨베이는 센트럴 베이(Central Bay), 즉 북항재개발지역을 뜻하고, 또 파크는 부산시민공원을 의미한다. == 역사 == * 2017년 6월 16일,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받아 [[https://www.busan.go.kr/bbtrdata01/860088?curPage=&srchBeginDt=&srchEndDt=&srchKey=&srchText=|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구축계획]]에 편입되었고, 이에 따르면 2021년부터 계획에 착수, 1단계, 2단계 구간으로 나누어 1단계는 2030년까지 2단계는 2038년까지 개통하는 계획으로 확정되었다. * 2017년 6월 25일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서 [[북항재개발]]과 연계된 계획이 완비되지 않아 조사 대상에도 오르지 못했다.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81024000361|#]] * 2020년 6월 18일 부산광역시는 국토교통부를 상대로 도시철도 씨베이파크선 구축을 위한 사전협의 공문을 발송하고 본격적인 행정절차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4&aid=0004445851|#]] * 2020년 7월 중앙역에서 국제여객터미널까지 이르는 1-1 단계를 먼저 추진하기로 하는 듯 하다. 부산항만공사와 해양수산부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 등에 따르면 사업 타당성을 평가하는 수치인 수익성 지수(PI)는 1.042로 1을 넘었고 1-1 구간만 착공할 경우 500억원 이하의 예산이 들 예정으로 중앙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과정을 거치지 않으며 국토부가 기본 계획을 하반기 중 승인하면 2020년 중 트램 기반시설 착공, 2022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할 예정이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70519290005790|[단독] 북항 ‘씨베이파크선’ 본궤도, 2022년 완공]] * 2020년 12월 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2차) 관련 공청회에서 추진순위 2순위로 알려졌다. * 해수부 감사등으로 북항재개발의 뒤숭숭한 분위기에도 씨베이파크선 1-1 단계 구간은 트램 실시설계를 2021년 하반기에 완료한 뒤 2022년 12월 노반을 완공하고, 이어 2023년 차량 도입과 시운전을 거쳐 2023년 하반기 상용운전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해수부 감사로 해수부는 절차상 문제를 들어 그동안 업무를 추진해왔던 추진단 단장을 교체하고, 감사 결과를 토대로 지난 10월 부산항 북항 재개발 10차 사업계획 변경안을 내놨다. 이 변경안에서 해수부가 부담하던 트램 차량 구입비가 부산시가 부담하는 것으로 사업계획을 변경하면서 트램 차량 구입비 180억의 부담 주체를 두고 법제처의 유권해석을 받는 것으로 어느 정도 의견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 2021년이 거의 지나가고 2022년이 된 시점에도 아직 착공이 제대로 시작하지 않았다. 북항재개발 지구가 코로나-19로 인해 공기가 늘어지면서 C-BAY-Park선의 건설도 늘어지는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북항 재개발구간은 도로를 C-BAY-Park선을 염두에 두고 건설될 예정이라 실제 공도에서의 공사구간은 국제여객터미널의 임시개통된 도로, 중앙역-연안부두 삼거리의 짧은구간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공기가 그렇게 늘어지지는 않을 것 이다. 더군다나 1-1공구 구간은 편도로 2km 길이밖에 되지 않는다. * 2022년 3월,''' '북항 트램(씨베이파크선) 차량구입비는 해수부 부담'을 명시하는 법제처의 유권해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사업 추진 및 착공이 급속도로 진행될 예정이다.[[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20330.99099008032|#]]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33011142238186|#]][[https://www.fnnews.com/news/202203301414575034|#]] == 상세 == [[부산 경전철]] 계획 중 [[2009년]] 부산시 도시철도기본계획 재정비안에 의해 [[부산 도시철도 북항망양선|북항망양선]], [[부산 도시철도 강서선|강서선]]과 함께 새로 제안된 세 노선 중 하나이다. 계획은 기본적으로 1호선 [[남포역(부산)|남포역]]([[부산롯데타워]])에서 출발해 [[경부선]] [[부산역]][* 흔히 부산역 앞으로 알려진 부산역광장 반대편, [[충장대로]] 방향 출구 쪽, 일명 부산역후문이라고 불리는 곳이며 만약 1호선과의 환승통로가 개통되면 필히 [[막장환승]] 대열(...)에 들 것으로 보인다 ], [[부산항]] [[북항재개발]]지역[*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신청사가 있으며, [[야구장]][[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317000074|##]], 크루즈여객터미널, 수변공원, 쇼핑몰, 연안여객부두 연선에 위치한 부산세관과 부산출입국관리사무소가 이 곳으로 이전하여 들어설 예정이다.]을 지나며, 이후 구간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문현역]] 방면(5.6㎞, 8개역), 2호선 [[대연역]] 방면(8.6㎞, 12개역),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범일역]]∼문현역 방면(6.3㎞, 9개역) 등 3가지 방안이 검토되었다. [[북항재개발]]지역을 통과하며, 상시 혼잡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수요 분담 역할과 동시에 바로 옆인 [[범일역]]과 [[문현역]]을 서면까지 올라갔나 내려와야하는 선형 때문에 급행버스에 경쟁력이 밀리는 2호선 동부 지역([[해운대구]] 등) ↔ 구도심([[부산역]], [[남포동(부산)|남포동]]) 간 수요를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차량은 [[노면전차]]로 결정되었으며,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31224000141|제기되고 있다.]] 일단 북항 재개발 부지는 노면전차부지 확보가 어렵지 않을것으로 보인다.[* 트램 건설이 도로에 문제를 주는건 대부분 기존 도로를 방해하기 때문으로, 북항 재개발 부지처럼 계획 단계에서 트램 공간이 고려된다면 문제가 확실히 적어진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5/24/0200000000AKR20160524162200051.HTML|2025년 도시철도 구축계획]]에는 C-Bay-Park 선이라고 나와있고, 기존 [[부산 도시철도 초읍선]]의 계획을 통폐합하였으나 초읍선이 반영된 부분은 전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부전역을 지나가는 것 빼고는 초읍선과는 전혀 동떨어진 [[북항재개발]] 지구를 지나는 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심지어 초읍동보다 남쪽인 연지동도 가지 않는다.] 씨베이파크선이 부산시민공원 위쪽으로 연장되지 않는 이상 초읍선은 사실상 완전히 백지화. 또, 노면전차로 내정했으며 [[중앙역(부산)|중앙역]]~[[문현역]]~[[부전역(동해선)|부전역]]~[[부산시민공원|시민공원]]을 지나는 것으로 바뀌었다. 총 연장 거리는 9.1km로 계획되었다. 다만 부정적인 평가도 있다. 우선 부산의 다른 간선급 철도(또는 경전철)가 미치지 못하는 음영구역을 커버하는 경전철 계획들을 모조리 제치고 노선평가 2위에 올랐다. 문제는 북항과는 경부선으로 단절되있다 해도 문현~부전 구간은 완벽하게 1,2호선과 중복된다. 노포-정관선은 그나마 3순위이나 다른 철도 음영지역인 우암선, 태종대(영도)선은 아예 순위에도 들지 못했다. 또한 서면역 연계로 인해 [[부산 버스 1001|1001번]]에 수요를 뺏기고 있는 1호선 범일역 - 2호선 문현역 사이를 씨베이파크선이 제대로 연계해주지도 못한다. 과거 계획안에는 1호선 좌천역 또는 1호선 범일역- 2호선 문현역간 환승이 가능해 제대로 된 연계가 되었던 것에서 오히려 후퇴를 해버렸다. 이는 트램으로 방식을 변경하면서 1호선과는 동떨어지게 연계가 될 수 밖에 없기 때문. 사실상 씨베이파크선을 이용해 환승을 하는 것은 걸어서 1호선 범일역-2호선 문현역을 환승하는것과 같다. 앞에서 이미 서술하였듯, 초읍선 계획을 흡수했으나, 사실상 그 계획도 부전역 복합환승역사, 부산시민공원까지만 반영이 되었다는 점도 있다. == 역 목록 == === 확정 구간 === *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역명은 가칭이다.[* 다만 역번이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중복되기에 바뀔 가능성도 있다.] ||<|2><:><#6ba53a> {{{#ffffff 역번}}} ||<|2><:><#6ba53a> {{{#ffffff ㎞}}} ||<-2><:><|2><#6ba53a> {{{#ffffff 역명}}} ||<-2><:><#6ba53a> {{{#ffffff 승강장}}} ||<|2><:><#6ba53a> {{{#ffffff 환승노선}}} ||<|2><:><#6ba53a> {{{#ffffff 소재지}}} ||<|2><:><#6ba53a> {{{#ffffff 공사[br]단계}}}|| ||<:><#6ba53a> {{{#ffffff 형태}}} ||<:><#6ba53a> {{{#ffffff 횡단}}} || ||<:> 101 ||<:> 0.0 ||<:> [[중앙역(부산)|중 앙]] ||<:> 中 央 || || ||<:>[[파일:Busan1.svg|width=15]]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3>중구||<|5><:> 1-1단계 || ||<:> 102 ||<:> - ||<:> [[연안여객터미널역|연안여객터미널]] ||<:> 沿岸旅客터미널 || || || || ||<:> 103 ||<:> - ||<:> [[북항해양문화지구역|북항해양문화지구]] ||<:> 北港海洋文化地區 || || || || ||<:> 104 ||<:> - ||<:> [[부산역복합환승센터역|부산역복합환승센터]] ||<:> 釜山驛複合換乘센터 || || || ||<:><|6>동구|| ||<:> 105 ||<:> -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역|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釜山港國際旅客터미널 || ||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부산 도시철도 C-BAY-Park선/역 목록 , version=4)] == 연장 == === 북부 연장 === ==== 문현역 연장 논의 ==== *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역명은 가칭이다. * 역 번호는 정해지지 않았으며, 아래 번호는 노선 계획도에 표기된 임시 번호이다. ||<|2><:> 역번 ||<|2><:> ㎞ ||<-2><:><|2> 역명 ||<-2><:> 승강장 ||<|2><:> 환승노선 ||<|2><:> 공사[br]단계 ||<|2><:> 소재지|| ||<:> 형태 ||<:> 횡단 || ||<:> 106 ||<:> - ||<:> 한국허치슨터미널 ||<:> 韓國허치슨터미널 || || || ||<|5><:> 1-2단계 ||<|4> 동구 || ||<:> 107 ||<:> - ||<:> 해양수산청 ||<:> 海洋水産廳 || || || || ||<:> 108 ||<:> - ||<:> 신범일 ||<:> 新凡一 || || || || ||<:> 109 ||<:> - ||<:> 자성대 ||<:> 子城臺 || || || || ||<:> 110 ||<:> - ||<:> [[문현역|문 현]] ||<:> 門 峴 || || ||<:>{{{#81bf48 ●}}}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1>남구|| ==== 부산시민공원 방면 추가 연장 논의 ==== *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역명은 가칭이다. * 역 번호는 정해지지 않았으며, 아래 번호는 노선 계획도에 표기된 임시 번호이다. ||<|2><:> 역번 ||<|2><:> ㎞ ||<-2><:><|2> 역명 ||<-2><:> 승강장 ||<|2><:> 환승노선 ||<|2><:> 소재지 ||<|2><:> 공사[br]단계|| ||<:> 형태 ||<:> 횡단 || ||<:> 111 ||<:> - ||<:> 동 천 ||<:> 東 川 || || || ||<:><|7>부산[br]진구||<|7><:> 2단계 || ||<:> 112 ||<:> - ||<:> 범 천 ||<:> 凡 川 || || || || ||<:> 113 ||<:> - ||<:> 신전포 ||<:> 新田浦 || || || || ||<:> 114 ||<:> - ||<:> 신부전 ||<:> 新釜田 || || || || ||<:> 115 ||<:> - ||<:> [[부전역(도시철도)|부 전]][* 밑에 있는 동해선 부전역하고 역명 중복이 일어날 수 있다.] ||<:> 釜 田 || || ||<:>{{{#f06a00 ●}}}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 116 ||<:> - ||<:> [[부전역(동해선)|부전역]] ||<:> 釜田驛 || || ||<:>{{{#0054a6 ●}}}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 [br] [[부전-마산 복선전철|경전선]] || ||<:> 117 ||<:> 9.1 ||<:> 시민공원 ||<:> 市民公園 || || || || === 남부 연장 === ==== 원도심연장선 ==== [include(틀:미개통, 색=#FF0000, 노선명=부산 도시철도 원도심연장선, 공사진행상황=구상중, 노선개통예정일=미정)] [[파일:원도심연장선.png]] 중앙역에서 C-BAY-Park선을 [[원도심(부산)|부산 원도심]]으로 연장하는 방안으로, 2018년 10월 부산시에서 대중교통 혁신정책을 발표하면서 포함되었다. [[중앙역(부산)|중앙역]]에서 원도심 지역인 보수사거리~부평교차로~근대역사관을 잇는 노면전차 노선으로 구상되었다. *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 역명은 가칭이다. ||<|2><:> 역번 ||<|2><:> ㎞ ||||<:><|2> 역명 ||||<:> 승강장 ||<|2><:> 환승노선 ||<|2><:> 소재지 || ||<:> 형태 ||<:> 횡단 || ||<:> W01 ||<:> 0.0 ||<:> [[중앙역(부산)|중 앙]] ||<:> 中 央 || || ||<:>{{{#F06A00 ●}}}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5> 중구 || ||<:> W02 ||<:> - ||<:> 근대역사관 ||<:> 近代歷史館 || || || || ||<:> W03 ||<:> - ||<:> 보수사거리 ||<:> 寶水四거리 || || || || ||<:> W04 ||<:> - ||<:> 부평교차로 ||<:> 富平交叉路 || || || || ||<:> W05 ||<:> 2.4 ||<:> 광복로 ||<:> 光復路 || ||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부산 도시철도 원도심연장선, version=5)] [[분류:부산 도시철도 C-BAY-Park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