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구(부산)의 초등학교]][[분류:1922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부산광역시 서구의 초등학교)] ||<-2> '''{{{#white {{{+1 부민초등학교}}}[br]Bumin Elementary School[br]富民初等學校}}}''' || ||<-2> [include(틀:지도, 장소= 부민초등학교, 너비=100%)] || || {{{#black '''개교'''}}} || '''1922년 4월 1일''' || || {{{#black '''운영 형태'''}}} || [[공립]] || || {{{#black '''교훈'''}}} ||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향해 도전하는 어린이 || || {{{#black '''교장'''}}} || 임혜경 || || {{{#black '''교감'''}}} || 이OO || || {{{#black '''학생 수'''}}} || 655명[* 남 353명 / 여 302명][br](2023년) || || {{{#black '''교직원 수'''}}} || 43명[* 남 9명 / 여 34명][br](2023년) || || {{{#black '''상징'''}}} || 교목: [[은행나무]][br]교화: [[동백꽃]] || || {{{#black '''전화'''}}} || 교무실 051-603-2100 행정실 051-603-2180 팩스 051-248-2132[br] || || {{{#black '''해당 교육청'''}}} || [[부산광역시교육청]] 서부교육지원청 || || {{{#black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고운들로]] 12 ([[부용동2가]]) || || {{{#black '''홈페이지'''}}} || [[http://www.bumin.e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부용동2가]]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로 무려 [[일제강점기]] 시절인 [[1922년]]에 개교한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초등학교로 [[부민동]]에 위치한 유일한 초등학교다. 바로 건너편에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가 위치해 있다. == 역사 == [[1919년]] [[3.1 운동]] 뒤 부산에서 민족적 자각이 크게 일어나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어 지어진 학교이다. 당시 [[부민동]] 일대 주민들 319명이 5,062원을 기부하여 1921년 10월 25일 ‘부산공립보통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1922년 4월 1일 개교하였다. 교사 역시 기부금으로 신축되어 같은 해 6월 28일 신축 교사로 이전하여 지금의 부민초등학교로 이어지게 되었다. === 연혁 === 1921.10.25. [[부민초등학교|부민공립보통학교]] 설립인가 1922.04.01. 6학급 406명으로 개교[* 남 325명 / 여 81명] 1922.07.05. 개교기념일 1924.04.26. 부민공립보통학교 부설 속수학교 설치 인가 1924.05.01. 부민공립보통학교 부설 속수학교 개교[* 남 50명] 1925.03.23. 제1회 졸업식 1925.09.20. 서동 4교실 증축 1926.03.00. 부민공립보통학교 부설 속수학교 폐지 1931.05.00. 보통학교 학교학급 경영연구학교 지정 1932.09.01. [[남부민초등학교|남부민보통학교]]가 개교하여 제2학년 1조를 분리 1941.04.01. [[부민초등학교|부민공립국민학교]]로 교명 변경 1945.00.00. [[부민초등학교|부민국민학교]]로 교명 변경 1959.12.15. 강당(부민관) 낙성식 1965.01.23. 교육부 지정 연구학교 (음악과) 1968.05.24. 교육부 지정 부산교대 대용 부속국민학교 1984.03.01. 교육부 지정 연구학교 (영어특별활동) 1986.09.03. 부민공원 조성 1996.03.01. [[부민초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1.03.01. 교실수업개선 중심학교 지정 2002.12.23. 학교재정운영 우수학교 2004.07.25. 한일교류행사 (세타카마치 교육청 2004.07.25. ~ 07.28.) 2005.11.01.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정 체육교육연구학교 보고회 2007.03.13. 과학실 현대화 2008.03.12. 방송시설 현대화 2009.02.21. 제85회 졸업식 (남 57명 여 53명 계 110명 / 누계 32,287명) 2009.03.25. 영어체험교실 개관 2010.12.28. [[Wee 클래스|Wee Class]] 설치 공사 2011.02.24. 장애인 승강기 설치 공사 2011.11.29. 보건영역 시범학교 운영보고회 2012.10.11. 배움터 지킴이실 설치 2012.12.28. 운동장 놀이기구 설치 2013.02.28. 영어 1, 2 교실 전자칠판 설치 2017.02.10. 도서실 및 보건실 현대화 공사 2018.03.01. 2018학년도 4학급 증가 개편 2018.08.16. 창의융합형 과학실 구축공사 2018.12.07. 2019학년도 교육실습협력학교 지정 2020.11.01. 본관•신관 연결 캐피노 설치 2020.12.31. 2021년 생태환경연구학교 지정 2023.03.01. 2023학년도 IB 연구학교 운영(2023.3.1.~2025.2.28.) == [[교표]] == == 교가 == == 학교 특징 == [[일제강점기]]시절 [[부민동]] 주민들의 기부금을 받아 지어진 학교이다. == 학교 시설 ==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운동부 == * 축구부: 운동부는 아니고 스포츠클럽 동아리다. 2000년대 후반까지는 전문 축구부가 있었으나 폐지되었다. 부민초등학교 내의 어린이집 옆 강당과 별관 사이에 조그만한 공터가 있는데, 그 공터 옆 창고로 사용하고 있는 건물이 과거에 축구부실이었다.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곽정출]]: [[제11대 국회의원|제11대]], [[제12대 국회의원|제12대]], [[제14대 국회의원|제14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김명성(1946)|김명성]]: 전직 야구선수 및 [[롯데 자이언츠]] 감독. * [[김수범]]: [[강원 FC]] 소속 축구선수. * [[김영구(1940)|김영구]]: 현직 [[국민의힘]] 상임고문. [[제11대 국회의원|제11대]], [[제12대 국회의원|제12대]], [[제13대 국회의원|제13대]], [[제14대 국회의원|제14대]], [[제15대 국회의원|제15대]], [[제16대 국회의원|제16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문민정부]]의 [[국무위원]] 출신. * [[양한빈]]: [[FC 서울]] 소속 축구선수. * [[정규재]] * [[정종흔]]: 전직 [[가평]]군수, 전직 [[이천시|이천]]군수, 전직 [[시흥시]] 부시장 == 대중교통 == === 버스 === * [[동아대부민캠퍼스]] 정류장: [[부산 버스 15|15]][*A 심야도 운행], [[부산 버스 16|16]], [[부산 버스 40|40]], [[부산 버스 70|70]], [[부산 버스 81|81]], [[부산 버스 96|96]], [[부산 버스 103|103]], [[부산 버스 113|113]], [[부산 버스 126|126]], [[부산 버스 161|161]], [[부산 버스 190|190]] === 도시철도 === * [[부산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토성역]] (624m) * [[부산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동대신동역]] (652m) == 사건·사고 ==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 기타 == * '''서구에서 1906년에 개교한 [[경남상업고등학교]](현 [[부경고등학교]]) 다음으로 가장 오래 전에 개교한 학교다.'''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학교인 [[경남고등학교]]도 1942년에 개교하였는데 그보다 훨씬 오래 전인 1922년에 개교하였기때문에 초등학교치곤 동문들의 파워가 막강하다. * 2004년까지만 하더라도 학교 별관 정문 앞에 아주 오래된 [[미루나무]]가 있었고, 그 나무가 학교 상징이었다. 2003년 [[태풍 매미]]에 의해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워낙 오래된 고목이었기에 학교측에서는 나무를 살리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하였으나 살리지 못하고 이듬해 철거를 결정한다. * 00년대 중반 도서관 건물이 신축되기 전에는 구관의 옆 벽면에 매점이 자리하고 있었다. 특이하게도 해당 벽면에는 창문이 전혀 없었고, 그 가운데 매점 쪽만 벽이 정사각형으로 움푹 들어가있어 매점을 운영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