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팔]][[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coracobrachialis'' '''}}}[br]{{{#ffffff ''' ''(부리위팔근, 오훼완근)'' '''}}} || |||| [[파일:부리위팔근.png|width=100%]][* 어깨뼈 앞면을 덮은 근육은 [[어깨밑근]](subscapularis m.), 부리위팔근 뒤의 근육은 [[큰원근]](teres major m.)이다.] || || 이는 곳[br](origin) || 어깨뼈 부리돌기[br](coracoid process of scapula) || || 닿는 곳[br](insertion) || 위팔뼈 안쪽모서리 중간[br](medial border of middle humerus) || || 동맥[br](artery) || 위팔동맥[br](brachial artery) || || 신경[br](nerve) || 근육피부신경[br](musculocutaneous nerve) || || 기능[br](action) || 위팔뼈 굽힘, 모음[br](flexion, adduction of humerus)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리위팔근(coracobrachialis muscle)은 위팔 앞칸의 위안쪽에 위치하는 비교적 작은 근육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오훼완근([[烏]][[喙]][[腕]][[筋]])[* [[까마귀 오]], [[부리 훼]], [[팔뚝 완]], [[힘줄 근]].], 또는 '부리 훼'만 '입 구'로 바뀐 오구완근(烏[[口]]腕筋). == 구조 == 부리위팔근의 이는곳은 [[어깨뼈]]의 부리돌기 끝쪽이다. 이 부리돌기에서는 [[작은가슴근]](pectoralis minor m.)이 닿으며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 m.)의 짧은갈래가 같이 일어난다. 닿는곳은 [[위팔뼈]]의 안쪽모서리에서도 중간 높이쯤이다. 부리위팔근 아래쪽 일부는 겉쪽의 위팔두갈래근에 의해서 덮인다.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은 다른 위팔 앞칸 근육들처럼 [[위팔동맥]](brachial a.)이다.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 역시 다른 위팔 앞칸 근육들과 똑같이 [[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의 종말가지 중 하나인 [[근육피부신경]](musculocutaneous n.)이다. == 기능 == || [[파일:부리위팔근굽힘.jpg|width=100%]] || || '''부리위팔근의 수축과 위팔뼈 굽힘''' || 부리위팔근이 수축하면서 어깨관절(shoulder joint)에서의 위팔뼈 굽힘을 일으킨다. 또한, 위팔뼈 안쪽에 닿으므로 수축했을 때 위팔뼈의 모음 역시 약하게 일으킨다. 이를 통해 어깨관절을 안정화시켜 어깨가 탈구되는 것을 위팔두갈래근, [[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 m.)과 함께 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