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배틀로봇]] [include(틀:배틀제왕)]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라퀴.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부라퀴'''}}} || ||<-2> {{{#000000,#e5e5e5 '''구호''' }}} || 로봇제왕의 꿈! || ||<-2> {{{#000000,#e5e5e5 '''파일럿''' }}} || 백재현 || ||<-2> {{{#000000,#e5e5e5 '''소속''' }}}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구 서울산업대] || ||<-2> {{{#000000,#e5e5e5 '''차체 형태''' }}} || 빗면 수직회전 드럼형 || ||<-2> {{{#000000,#e5e5e5 '''배틀제왕 재임/최대 연승''' }}} || 제 53대 / 2연승 || ||<-2> {{{#000000,#e5e5e5 '''승률''' }}} || 15전 8승 7패 [br] 0.533 || ||<|3> {{{#000000,#e5e5e5 '''출전''' }}} || {{{#000000,#e5e5e5 ''' 배틀제왕전 ''' }}} ||'''제 152회''','''제 154회'''-제 155회 [br] / 제 53대 배틀제왕 || || {{{#000000,#e5e5e5 '''기타''' }}} ||제 5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 [목차] [clearfix] == 역사 == 빗면 수직회전 드럼형으로 유명한 [[꺽지(배틀로봇)|꺽지]]를 이은 배틀로봇. 다만 아버지(?)를 닮아서인지 전적이 다소 애매했다. 첫 경기부터 천둥[* [[한양공업고등학교]] 소속의 드럼형 로봇이다.]을 가볍게 제압하고 수진의 갑작스러운 작동중지와 함께 좋은 기세를 보였지만 [[베놈(배틀로봇)|베놈]]과의 경기에서 제대로 된 유효타도 주지 못한 채 작동중지로 패배했다. 이후 제5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예선과로봇파워 정식전에서 극심한 부진을 겪으면서 꺽지처럼 재기를 노려야 했던 차에 로봇파워 제 152회에 출전해서 [[REX(배틀로봇)|REX]]를 상대로 정면 타격으로 차체를 뒤집어버렸고 REX가 어이없는 실수로 작동불능이 되면서 승리하면서 제 149회에서 당했던 패배를 설욕했다, 레드썬을 상대로 끊임없는 정면 타격으로 딱지를 쳤고 레드썬이 스스로 함정에 빠지면서 레드썬을 꺾고 배틀제왕전에 입성했다. 이후 같은 대학 소속 로봇이자 그 당시 배틀제왕이었던 [[레벤톤(배틀로봇)|레벤톤]]을 상대로도 정면 타격을 끝까지 시도하며 레벤톤의 걸쇠들을 박살내면서 좋은 유효타를 가져갔는데, 갑자기 두 로봇 모두 작동중지가 되자 경기가 중단되었고, 결국 판정승을 거두어 배틀제왕에 입성했다. 그 후 2연승 때 상대였던 나스카를 상대로도 정면 타격을 시도하면서 나스카를 손쉽게 뒤집어버렸고, 그 후 원위치로 돌아온 나스카를 또 다시 타격하더니 이번에는 아예 차체를 김상겸 파일럿 앞쪽 벽에 세워버리며 2연승에 성공했다. 이렇게 나스카를 완전히 유린하는 데 성공하면서 그 당시 디펜더들을 농락했는데, 이는 그렇게 오래가지 못했다. 그 후 3연승 때 도전자였던 [[하마(배틀로봇)|하마]]가 훌륭한 기동성을 위시한 조종술로 정면 타격을 시도하기 난해해질 때 측면을 내주면서 하마에게 제압당해 배틀제왕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이후 제 160회에 다시 출전해서 배틀제왕을 노렸지만 3라운드에 진출해 휴프노스2와 대결하기 직전 고장이 심각한 나머지 기권 처리를 하면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 기타 == 레벤톤보다는 덜하지만 존재감 없는 배틀제왕 중 하나이다. 이름의 모티브는 정황상 [[D-WAR]]의 괴수 [[부라퀴#s-2]]에서 따왔다고 추정된다. 시기도 큰 차이가 안 나고 부라퀴라는 이름이 제대로 쓰인 게 이것 뿐이기 때문. 부라퀴의 후반기 차체에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 [[분류:배틀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