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관직]][[분류:일본의 역사]] [목차] == 개요 == 봉행([ruby(奉行, ruby=ぶぎょう)])은 [[헤이안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일본에서 사용되었던 관직들 중 하나이다. 이 봉행직에 자리한 사람을 '''봉행인'''([ruby(奉行人, ruby=ぶぎょうにん)]), 봉행인이 업무를 보았던 관청을 '''봉행소'''([ruby(奉行所, ruby=ぶぎょうしょ)])라고 칭했다. 봉행이라는 단어는 원래 奉行する[*해석 명령을 받아 수행한다.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 단어이다.]라는 동사에서 비롯하였으며, 말 그대로 상관이 특정한 명령을 내리면 그 명령을 받아서 수행하는 직함이었다. 원래 봉행은 헤이안 시대 공사(公事) 혹은 궁중행사(宮中行事)를 주관하기 위해 만들어진 '''임시직'''으로써, 그조차도 원래 봉행은 이 직무를 받은 책임자가 아니라 그 책임자 밑에서 따르는 사람들을 뜻하는 단어였다. 그러나 후에는 이러한 특정한 일이 아닌 실무직을 담당하는 사람들을 뜻하는 단어로 변하였고, [[가마쿠라 시대]] 이후로는 [[바쿠후|막부]] 혹은 지방 [[다이묘]]들의 가정(家政)을 담당하는 직함으로 변하였다. 이러한 봉행직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인 시대는 [[에도 시대]]로, 우리가 아는 봉행직은 거의 대부분 이 에도 시대의 봉행직이다. == 시기별 봉행 == === 헤이안 시대 === 극초기의 봉행으로, 상술하였듯 특수한 궁중행사를 위해 가끔 설치되는 임시직이었다. 이 시기에는 특별한 봉행명도 없이 그냥 봉행이라고만 불렀다. === 가마쿠라 시대 === 역시 임시직으로써 작용하였으나 이 시기부터 상설 봉행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 대표적 봉행 ==== * '''진서봉행'''([ruby(鎮西奉行, ruby=ちんぜいぶぎょう)]): 진서지방([[규슈]])의 통치를 위해 만든 봉행. [[원나라의 일본 원정]] 이후 진서탐제([ruby(鎮西探題, ruby=ちんぜいたんだい)])로 개편되면서 사라졌다. * '''수호인봉행'''([ruby(守護人奉行, ruby=しゅごにんぶぎょう)]): 지방의 [[율령국]]을 통치하기 위해 만든 봉행. 이들이 나중에 [[슈고 다이묘]]로 발전한다. === 무로마치 시대 === 막부에 찬동한 문관집단을 모아 '''봉행중'''([ruby(奉行衆, ruby=ぶぎょうしゅう)])을 조직하며, 이들을 봉행인이라고 부르기 시작하면서 봉행인이라는 단어가 생겨난다. 이 봉행중은 정부 문서를 작성하거나 소송기관에 배치되어 활동하였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자신을 보좌할 실무관료들을 봉행으로 임명하였으며, 이들 중에서도 특히 공이 많고 강력한 권한을 가졌던 사람들을 [[오봉행]]이라고 불렀다. === 에도 시대 === 일반적으로 알려진 봉행은 이 시기에 조직되었으며, 임시봉행도 설치된 적이 있긴 하지만 거의 대부분 상설봉행이었다. 또한 전근대 일본에서 가장 관료제가 잘 발달한 시대답게 봉행체계 역시 가장 정교하게 짜여있어서 사실상 이 시기 막부의 권력은 이 봉행을 통해서 행사되는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렇기에 봉행직이 이름이 없거나 아니면 이름이 있어도 기록이 잘 안 내려오는 이전 시대와는 다르게 에도 시대는 사소한 봉행직까지도 다 이름이 있고 기록이 내려오는 중이다. ==== 3봉행 ==== 상설 봉행들 중에서도 특히 권력이 강했던 봉행 3개를 부르는 명칭이다. 특별히 막부에서 3봉행을 지정하지는 않았기에 공식적인 구분은 아니다. * '''사사봉행'''([ruby(寺社奉行, ruby=じしゃぶぎょう)]): 3봉행 중에서도 최상위의 권력을 가졌다고 평가받는 봉행으로, 무로마치 시대부터 설치되었으나 에도 시대에 공식화되었다. 이름 그대로 신사나 사찰 등을 관리하고 관련 성직자들을 모집하는 등의 역할을 맡았으며, 동시에 [[음양사]] 관리 및 [[바둑]], [[쇼기]][* 일본식 장기. 한자도 [[장기]]와 같다.]의 규칙을 제정하는 등의 역할도 맡았다. * '''학문소봉행'''([ruby(学問所奉行, ruby=がくもんじょぶぎょう)]): 막부 말기에 설치한 봉행으로, 쇼헤이자카 학문소[*昌平坂学問所 일본의 문묘. 흔히 유시마 성당이라고 부르는 곳이다.]와 번서조소[*蕃書調所 양학연구소. 후에 [[도쿄대학]]과 [[도쿄외국어대학]]으로 발전한다.]를 관리감독하였다. * '''감정봉행'''([ruby(勘定奉行, ruby=かんじょうぶぎょう)]): 막부의 재정을 담당하는 감정방(勘定方)의 우두머리를 뜻하였으며, 동시에 막부의 소송기관이었던 판정소(評定所)를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 '''장봉행'''([ruby(蔵奉行, ruby=くらぶぎょう)]): 막부의 쌀 창고를 관리하는 봉행. *'''임봉행'''([ruby(林奉行, ruby=はやしぶぎょう)]): 막부 직할령에 속한 숲을 관리하는 봉행. * '''정봉행'''([ruby(町奉行, ruby=まちぶぎょう)]): 막·번 구분 없이 거의 모든 지방에 존재하였지만, 여기서 설명하는 건 막부 직할령 중 에도의 행정·사법·치안 등을 담당하는 봉행직으로써, 당연히 가장 직무가 많았기에 [[1604년]]을 기점으로 남북으로 쪼개진다. * '''북정봉행'''([ruby(北町奉行, ruby=きたまちぶぎょう)]) * '''남정봉행'''([ruby(南町奉行, ruby=みなみまちぶぎょう)]) * '''뇌옥봉행'''([ruby(牢屋奉行, ruby=ろうやぶぎょう)]): 막부의 감옥 및 수감자를 관리하는 봉행. * '''중정봉행'''([ruby(中町奉行, ruby=なかまちぶぎょう)]): [[1702년]]부터 [[1719년]]까지 잠시 존재한 봉행으로, 후에 남정봉행에 흡수되면서 사라진다. ==== 하3봉행 ==== 3봉행 급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권력이 강했던 봉행 3개를 칭하는 봉행으로, 下를 앞에 붙여서 구별하였다. 이 셋은 공통적으로 토목공사와 관련이 있다. * '''보청봉행'''([ruby(普請奉行, ruby=ふしんぶぎょう)]): 성 혹은 상수의 건설 및 보수 등, 대규모 토목공사를 맡았던 봉행이다. * '''소보청봉행'''([ruby(小普請奉行, ruby=こふしんぶぎょう)]): 역시 토목공사를 맡았으나 위의 보청봉행과는 다르게 주로 사찰의 건립 및 보수를 담당하였다. 다만 [[에도 성]]의 건설관리는 이쪽이 맡았다. * '''작사봉행'''([ruby(作事奉行, ruby=さくじぶぎょう)]): 막부가 직접 시행하는 건축사업을 관리하였으며, 그렇기에 주로 어전을 유지 및 보수하는 역할을 맡았다. *'''다다미 봉행'''([ruby(畳奉行, ruby=たたみぶぎょう)]): 이름 그대로 [[에도 성]]의 [[다다미]]를 관리하는 봉행이었다. ~~이런 관직까지 있다고?~~ ==== 원국봉행 ==== 막부 직할령 중 [[에도]] 외, 즉 지방을 관리하는 봉행이다. 각 지역마다 봉행이 존재하며, 해당 지역의 봉행이 그 지역의 통치를 담당하였다. 당연하지만 [[다이묘]]의 영역인 번에는 설치되지 않았다. * '''나가사키 봉행'''([ruby(長崎奉行, ruby=ながさきぶぎょう)]): [[나가사키]] 및 [[데지마]]를 담당하였으며, 원국봉행의 수장직을 담당하였다. * '''교토 정봉행'''([ruby(京都町奉行, ruby=きょうとまちぶぎょう)]) * '''오쓰 봉행'''([ruby(大津奉行, ruby=おおつぶぎょう)]): [[1722년]]에 교토 정봉행에 통합되어 사라진다. * '''오사카 정봉행'''([ruby(大坂町奉行, ruby=おおさかまちぶぎょう)]) * '''사카이 봉행'''([ruby(堺奉行, ruby=さかいぶぎょう)]): [[1696년]]에 오사카 정봉행에 통합되었다. 하지만 [[1702년]]에 재설치된다. * '''후시미 봉행'''([ruby(伏見奉行, ruby=ふしみぶぎょう)]) * '''야마다 봉행'''([ruby(山田奉行, ruby=やまだぶぎょう)]): [[이세시|이세]]를 관리하는 봉행이었기에 자동적으로 [[이세 신궁]]의 관리도 맡았다. * '''닛코 봉행'''([ruby(日光奉行, ruby=にっこうぶぎょう)]): [[닛코시|닛코]]를 관리하는 봉행이었기에 자동적으로 [[닛코 동조궁]]의 관리도 맡았다. * '''나라 봉행'''([ruby(奈良奉行, ruby=ならぶぎょう)]) * '''슨푸 정봉행'''([ruby(駿府町奉行, ruby=すんぷまちぶぎょう)]) * '''시미즈 봉행'''([ruby(清水奉行, ruby=しみずぶぎょう)]): 원래는 독자적인 봉행이었으나 [[1696년]]에 슨푸 정봉행에 통합되어 사라진다. * '''사도 봉행'''([ruby(佐渡奉行, ruby=さどぶぎょう)]): [[사도 금광]]을 같이 관리하였기에 원국봉행 치고는 권력이 좀 있었다. * '''우라가 봉행'''([ruby(浦賀奉行, ruby=うらがぶぎょう)]) * '''시모다 봉행'''([ruby(下田奉行, ruby=しもだぶぎょう)]): [[1842년]]부터 [[1844년]] 및 [[1854년]]부터 [[1860년]]까지 우라가봉행에 통합되었다가 분리되기를 반복하였다. * '''하네다 봉행'''([ruby(羽田奉行, ruby=はねだぶぎょう)]) * '''니가타 봉행'''([ruby(新潟奉行, ruby=にいがたぶぎょう)]) * '''하코다테 봉행'''([ruby(箱館奉行, ruby=はこだてぶぎょう)]): 존속과정이 좀 복잡한데, 원래 이 지역은 [[마츠마에 번]]으로, 지방 번주가 통치하는 지역이었다. 그러다가 [[1802년]] 2월에 마쓰마에 번이 폐번되고 에조 봉행([ruby(蝦夷奉行, ruby=えぞぶぎょう)])이 설치되었으며, 동년 5월에 하코다테 봉행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이후 [[1807년]]에 마쓰마에 봉행([ruby(松前奉行, ruby=まつまえぶぎょう)])이라는 이름으로 변경, [[1821년]]에 마쓰마에 번의 재설치로 폐지하였다가 [[1856년]]에 하코다테 봉행이라는 이름으로 재설치된다. * '''가나가와 봉행'''([ruby(神奈川奉行, ruby=かながわぶぎょう)]) * '''효고 봉행'''([ruby(兵庫奉行, ruby=ひょうごぶぎょう)]) * '''아라이 봉행'''([ruby(新居奉行, ruby=あらいぶぎょう)]): [[1702년]]에 요시다 번과 통합되면서 사라진다. *'''하시리미즈 봉행'''([ruby(走水奉行, ruby=はしりみずぶぎょう)]) *'''미사키 봉행'''([ruby(三崎奉行, ruby=みさきぶぎょう)]) ==== 파손봉행 ==== 성을 관리하는 봉행으로, 슨푸와 오사카에 각각 파손봉행을 설치하여 관리하였다. ==== 군사총재직 ==== 막부 말기에 설치된, 막부군을 관리하는 봉행들을 모아놓은 일종의 합동참보본부다. *'''육군봉행'''([ruby(陸軍奉行, ruby=りくぐんぶぎょう)]) *'''기병봉행'''([ruby(騎兵奉行, ruby=きへいぶぎょう)]) *'''보병봉행'''([ruby(歩兵奉行, ruby=ほへいぶぎょう)]) *'''철병봉행'''([ruby(撤兵奉行, ruby=てっぺいぶぎょう)]) *'''총대봉행'''([ruby(銃隊奉行, ruby=じゅうたいぶぎょう)]) * '''해군봉행'''([ruby(海軍奉行, ruby=かいぐんぶぎょう)]) * '''군함봉행'''([ruby(軍艦奉行, ruby=ぐんかんぶぎょう)]) ==== 그 외 ==== * '''망봉행'''([ruby(網奉行, ruby=あみぶぎょう)]): 막부가 매 사냥을 할 때 쓰는 매를 관리하는 봉행. * '''이쿠노 봉행'''([ruby(生野奉行, ruby=いくのぶぎょう)]): 이쿠노 은광을 관리하는 봉행. 지역명이 붙기는 했지만 특정 도시를 관리하는 봉행은 아닌지라 원국봉행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 '''유칠봉행'''([ruby(油漆奉行, ruby=うるしぶぎょう)]): 칠기 및 기름, 종교시설에서 관리되는 신보(神宝)를 관리하는 봉행으로 원래는 유봉행과 칠봉행으로 각기 다른 봉행이었으나 [[1695년]]에 통합된다. * '''금봉행'''([ruby(金奉行, ruby=かねぶぎょう)]): [[오사카 성]] 내의 금을 관리하는 봉행으로, 원국봉행에 맡기지 않고 막부 직속봉행으로 관리하였다. * '''오사카 철포봉행'''([ruby(大坂鉄砲奉行, ruby=おおさかてっぽうぶぎょう)]): [[오사카 성]]의 화약무기를 관리하는 봉행으로, 원국봉행에 맡기지 않고 막부 직속봉행으로 관리하였다. * '''창봉행'''([ruby(槍奉行, ruby=やりぶぎょう)]): 전쟁 시 사용되는 창을 관리하는 봉행. 평화기가 지속되면서 사실상 명예직으로 전환된다. * '''기봉행'''([ruby(旗奉行, ruby=はたぶぎょう)]): 전쟁 시 사용되는 깃발을 관리하는 봉행. 평화기가 지속되면서 사실상 명예직으로 전환된다. * '''무구봉행'''([ruby(武具奉行, ruby=ぶぐぶぎょう)]): 정이대장군의 갑옷과 창 등을 관리하는 봉행. 원래는 구족봉행([ruby(具足奉行, ruby=ぐそくぶぎょう)])이었으나 1863년에 명칭이 변경된다. * '''외국총봉행'''([ruby(外国惣奉行, ruby=がいこくそうぶぎょう)]): 막부 말기 외교를 담당하기 위해 만든 봉행. 하위에 외국봉행을 따로 두었다. * '''외국봉행'''([ruby(外国奉行, ruby=がいこくぶぎょう)]) *'''궐소물봉행'''([ruby(闕所物奉行, ruby=けっしょものぶぎょう)]): 형벌 등으로 몰수된 재산을 관리하는 봉행. 단 토지는 보청봉행이, 가옥은 작사봉행이 담당하고 동산만 관리하였다. *'''요물봉행'''([ruby(腰物奉行, ruby=こしものぶぎょう)]): 정이대장군의 장식품 혹은 헌상받거나 하사할 물건을 관리하는 봉행. *'''재목석봉행'''([ruby(材木石奉行, ruby=ざいもくいしぶぎょう)]): 건축 등에 사용되는 목재 및 석재를 생산 및 관리를 하는 봉행으로, 원래는 재목봉행과 석봉행으로 각기 다른 봉행이었으나 [[1689년]]에 통합되었다. *'''산릉봉행'''([ruby(山陵奉行, ruby=さんりょうぶぎょう)]): [[천황]]의 능원을 관리하는 봉행으로, 꽤 일찍 만들어졌을 것 같지만 의외로 막부 말기에 설치되었다. 또한 황실과 관련된 봉행이기 때문에 봉행인을 막부가 아닌 조정에서 임명하며, 막부는 봉행의 통제권만 가지고 있는 직위였다. *'''제철소봉행'''([ruby(製鉄所奉行, ruby=せいてつじょぶぎょう)]): [[제철소]]를 관리하는 봉행으로, 이름에서 유추가 가능하듯 막부 말기에 설치되었다. *'''살생봉행'''([ruby(殺生奉行, ruby=せっしょうぶぎょう)]): 이름이 참 살벌해서 무슨 사형수 관리처럼 보이지만, 의외로 사냥을 관리하는 봉행이었다. *'''선봉행'''([ruby(膳奉行, ruby=ぜんぶぎょう)]): 정이대장군에게 바칠 과자나 선식 등을 관리하는 봉행. *'''도정봉행'''([ruby(挑灯奉行, ruby=ちょうちんぶぎょう)]): [[에도 성]] 내부의 등을 제작 및 관리하는 봉행. *'''후키아게 봉행'''([ruby(吹上奉行, ruby=ふきあげぶぎょう)]): [[에도 성]] 니시노마루에 위치하였던 후키아게 어원을 관리하였던 봉행. *'''도봉행'''([ruby(道奉行, ruby=みちぶぎょう)]): 에도를 연결하는 5개의 가도를 관리하는 봉행. *'''야마봉행'''([ruby(野馬奉行, ruby=のまぶぎょう)]): 목장을 관리하는 봉행으로, 이 봉행이 관리했던 목장은 현재 [[카츠시카구]]에 존재하였다. *'''하마 어전봉행'''([ruby(浜御殿奉行, ruby=はまごてんぶぎょう)]): 현재의 하마 이궁 은사공원에 위치한 별궁이었던 하마 이궁(浜離宮)을 관리하였던 봉행이다. *'''혼죠 봉행'''([ruby(本所奉行, ruby=ほんじょぶぎょう)]): 에도 외곽의 지역인 혼죠를 관리하였던 봉행으로, 우리로 치자면 [[성저십리]]에 대응되는 지역이었기에 원국봉행에 속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