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HugeGloriousHistoricalSneeze, 합의사항1=개요 서술 고정과 개요와 출신 인물 문단 제외 볼드체 금지와 기사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서 서술, 출처를 밝히기)] [include(틀:남구(광주)의 법정동)] ||<-2> '''[[남구(광주광역시)|{{{#000000,#dddddd 남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봉선동}}}'''[br]鳳仙洞 | Bongseon-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남구 봉선동,너비=100%,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남구 || || '''행정표준코드''' || 2915511500 || || '''관할 행정동''' || 봉선1동, 봉선2동 || || '''하위 행정구역''' || 61통 306반 || || '''면적''' || 2.65㎢ || || '''인구''' || 40,896명[*A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5,432.45명/㎢ || [목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선동2020.jpg|width=100%]]}}} || || '''봉선동 항공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선동학원가.jpg|width=100%]]}}} || || '''흔히 광주의 대치동이라 불리는 봉선2동 학원가''' ||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선동지리.png|width=100%]]}}} || || '''봉선동 지도''' || [[광주광역시]] [[남구(광주광역시)|남구]]에 위치한 법정동. 남구청의 소재지다. 행정동상으로는 봉선1동과 봉선2동으로 나뉘며, 북반부가 봉선1동, 남반부가 봉선2동이다. [[제석산]]이 동네를 감싸고 있다. 명칭의 유래는 옛 지명인 조'''봉'''리와 이'''선'''리에서 한 글자씩 따와서 봉선동이 되었다. 봉선동이 떠오른 이유는 학원가로, 광주 전역에서 찾아오는 광주 대표 사교육 밀집구역이다. 압도적으로 많은 학원으로 도배된 건물이 즐비해 있다. 이로 인해 지역 내에서도 땅 값, 집 값이 비싼 편이라 “'''광주의 강남'''”, “'''광주의 대치동'''” 등 다양한 수식어가 봉선동을 따라다니는데, 이 때문에 봉선동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도로인 봉선로를 경계로 도로 남쪽은 ‘봉남’, 북쪽은 ‘봉북’이라는 해괴한 신조어가 생겨났다. == 인구 추이 == ||<-102>
{{{+1 ''' {{{#000000 봉선동 인구 추이}}} {{{#000000 }}} ''' }}} || ||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 || [[1995년]] || 32,695명 ||<-65> ||<-35> || || [[2000년]] || 38,010명 ||<-76> ||<-24> || || [[2005년]] || 46,269명 ||<-93> ||<-7> || || [[2010년]] || 45,851명 ||<-91> ||<-9> || || [[2015년]] || 46,843명 ||<-95> ||<-5> || || [[2022년]] 3월 || 42,449명 ||<-92> ||<-8> || ### 상한: 5만명 == 관할 행정동 == === 봉선1동 === ||<-2> '''[[남구(광주광역시)|{{{#000000,#dddddd 남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봉선1동}}}'''[br]鳳仙一洞 | Bongseon 1(il)-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남구 봉선1동,너비=100%,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남구 || || '''행정표준코드''' || 3610023 || || '''관할 법정동''' || 봉선동 || || '''하위 행정구역''' || 29통 124반 || || '''면적''' || 0.83㎢ || || '''인구''' || 12,939명[*A] || || '''인구밀도''' || 15,589.1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동구·남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윤영덕]] ,,(초선),, || ||<-2> '''광주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서임석]] ,,(초선),, || ||<-2> '''남구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경묵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광수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남호현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봉선로51번길 21[* 봉선동 1146-7] || || [[https://www.namgu.gwangju.kr/index.es?sid=b5|봉선1동 행정복지센터]] || 1980년대 초부터 개발이 시작되었고 당시는 주택용지공급을 위주로 개발해 아파트보다는 [[단독주택]]이 많고, 아파트는 주로 [[봉선시장]] 근처에 분포하고 있다. 개발한지도 오래되었고 단독주택 위주에 상업지역이 잘 갖춰지지 않아서 봉선2동에 비해 낙후되었다. 하지만 2013년, 오랫동안 방치되었던 [[화니백화점]] 건물에 [[남구청(광주광역시)|남구청]]이 입주하고 봉선로를 따라 [[이지더원]], [[광명메이루즈]], [[남해오네뜨]] 등 신축 아파트들이 입주하면서 봉선2동으로 치우쳤던 인구도 어느 정도 분산이 되었다. 상권활성화를 위해 [[봉선시장]]에 많은 변화가 이뤄지고 있고, 또한 오래된 단독주택을 허물고 새로 고급 주택을 짓거나 상업용도로 개조해서 카페, 레스토랑으로 영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e편한세상 봉선 셀레스티지]], 남양휴튼3차, 유탑 메트로시티, 한국아델리움57 펜트윈 등의 주거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라 이 일대의 땅값과 집값이 상승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거기에 [[백운고가차도]] 철거, 도시재생사업 뉴딜사업으로 선정되어 879억이 투입될 [[백운광장]]과[* [[https://www.jnilbo.com/m/view/media/view?code=2020070715064341005|#]]] [[봉선역]], 그리고 [[효천역(도시철도)|효천역]] 방향 유일 지선 [[환승역]]인 [[백운광장역]]이 지나가게 되는 트리플 역세권으로 전망이 밝다. 또한, 법정동과 행정동의 이름이 달라 불편을 겪었던 주월동 일부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 요구에 따라 남구의회에서 주월동 일부 지역의 법정동을 봉선동으로 변경하는 것을 적극 추진하여 조례 개정안이 통과되었다. 이에 따라 일부 주월동 지역이 봉선동으로 편입되어 2021년 4월 1일부터 변경되었고, 남구청이 봉선동으로 편입되었다.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98118|#]] [clearfix] ==== 관공서 ==== * [[남구청(광주광역시)|남구청]][* 원래 광주의 향토 백화점이었던 [[화니백화점]]이 새로 짓던 건물이었으나, 1997년 부도를 맞고 방치된 건물을 2010년 남구청에서 사들여 2013년부터 청사로 사용 중이다.] * [[국토안전관리원|국토안전관리원 호남지사]] * 근로복지공단 광주업무상 질병판정위원회 * 근로복지공단 광주콜센터 * 방림지구대 * 봉선1동 행정복지센터 * 인구보건복지협회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광주전남시험센터 ==== 학교 ==== ===== 초등학교 ===== * [[봉선초등학교]] * 광주제석초등학교 ===== 중학교 ===== * [[봉선중학교]] ==== 공동주택 ==== * 무진아파트 * 삼진맨션 * 명성아파트 * 송림아파트 * [[e편한세상 봉선 셀레스티지]](예정) * 이지더원 2·3단지 * 봉선 유탑 메트로시티(예정) * 봉선로광명메이루즈 * [[봉선로 르 오네뜨]] * 봉선 남양휴튼 3차(예정) * 라인하이츠 * 라인광장 1·2·3차 * 광명맨션 * 모아1단지 1·2차 * 모아2단지 1차 * 한국아델리움57 펜트윈(예정)[* 봉선동 1134-2번지 일대에 지어질 펜트하우스형 아파트이다] * [[봉선로 남해오네뜨]] ==== 공원 ==== * 봉선근린공원 * 봉선어린이공원 * 봉선1어린이공원 * 봉선2어린이공원 * 봉선3어린이공원 === 봉선2동 === ||<-2> '''[[남구(광주광역시)|{{{#000000,#dddddd 남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봉선2동}}}'''[br]鳳仙二洞 | Bongseon 2(i)-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남구 봉선2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남구 || || '''행정표준코드''' || 3610024 || || '''관할 법정동''' || 봉선동 || || '''하위 행정구역''' || 32통 182반 || || '''면적''' || 1.80㎢ || || '''인구''' || 27,957명[*A] || || '''인구밀도''' || 15,531.6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동구·남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윤영덕]] ,,(초선),, || ||<-2> '''광주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미란]] ,,(재선),, || ||<-2> '''남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신종혁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정창수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황경아 ,,(3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봉선로 189 (봉선동 134-1) || || [[https://www.namgu.gwangju.kr/index.es?sid=b6|봉선2동 행정복지센터]] || 광주의 대표적인 [[부촌]]이자 광주에서 교육열이 가장 강한 곳으로, 중심부에 학원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을 아파트들이 둘러쌓고 있는 형태이다. 원래는 대부분 산이었지만, 2002년 봉선2지구의 개발이 시작되며 발전했다. 2004년 겨울부터 입주한 [[봉선동 포스코더샵|포스코더샵]]을 시작으로 이후 아파트들이 하나 둘씩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상권이 형성됐다. 대부분이 아파트 단지로 개발되어 좁은 면적이지만 28,242명[* 2022년 11월 기준]이 거주하고 있다. 참고로 [[상무지구]]로 개발된 [[치평동]]에 거주하는 인구가 29,473명이다. 2013년 초까지 봉선2동에 남구청사가 있었다. 그 자리에는 지금 [[봉선 제일풍경채 엘리트파크]]가 들어섰으며, 이후 남구청사는 [[백운광장]]에 있는 옛 화니백화점 건물로 이전했다. 2021년 5월 24일 노후된 기존 주민센터를 대신할 봉선2동 행정복합센터 신청사 착공이 시작되어 기존 청사 바로 옆인 유안근린공원 내에 지하 2층, 지상 2층 규모로 2022년 9월 19일에 개관하였다. 또한 행정복합센터 지하주차장과 유안근린공원 지하주차장을 연결하는 통로가 만들어져 통행이 가능해졌으며 [[https://blog.naver.com/gwangjunamgu/222889061066|#]] 건물 지상 1층에 봉선2동 작은도서관이 함께 들어서 기존의 남구문화예술회관 도서관, 남구청소년도서관에 이어 봉선2동의 3번째 도서관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선동 학원가.jpg|width=100%]]}}} || || 광주의 대표적인 [[학원가]]인 봉선동 학원가[br]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남구 봉선동에 등록된 학원은 295곳, 교습소는 82곳으로 총 377곳에 달한다.[* [[https://open.neis.go.kr/portal/data/service/selectServicePage.do?page=1&rows=10&sortColumn=&sortDirection=&infId=OPEN15920190423094641415608&infSeq=1|#]] 2022년 12월 29일 기준] || ==== 상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선 2동상권.png|width=500%]]}}} || || '''봉선2동의 상권''' || || '''쌍용사거리''' || '''삼익사거리''' || '''남양휴튼사거리''' || [[사거리]]를 기준으로 [[상권]]을 크게 3개의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모두 사거리 근방 [[아파트]] 이름을 딴 명칭인 것이 특징이다. 3개 상권의 공통점은 모두 [[스타벅스]] 매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면적도 좁고 길도 좁아 외부인이 접근하기 힘든 택지지구인 봉선2동의 지리적 위치 및 동네 규모를 고려했을 때 굉장히 많은 편이다. 심지어 쌍용사거리에는 스타벅스가 두 개나(...) 붙어있다. * [[이마트 봉선점]][*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10853726|#]] 2007년 개장 이후 14년 만에 전관을 리뉴얼하여 자연주의 매장, 노브랜드 전문점, [[일렉트로마트]], 토이킹덤, 앳홈, 애플샵 등이 새롭게 입점하였다.], 2곳의 [[스타벅스]] 매장이 위치한 봉선동의 메인스트리트이자 광주 최대의 학원가인 쌍용사거리 * [[음식점]], [[포차]], [[주점]]이 중심의 삼익사거리 * [[체인점|프랜차이즈 음식점]]과 [[카페]], 병의원 중심의 남양휴튼사거리 ===== 쌍용사거리 ===== ||<-3> [[이마트 봉선점|{{{#fff '''이마트 봉선점'''}}}]] || || [[이마트|[[파일:이마트 로고.svg|height=30px]]]] || '''대형마트''' || '''봉선로 198''' || ||<-3> {{{#ffffff '''메가스터디 러셀CORE 광주학원'''}}} || || [[파일:메가스터디 로고.svg|height=23px]] || '''입시학원''' || '''봉선로 168''' || || {{{#808080 '''봉선동 쌍용사거리 주요 프랜차이즈'''}}} || || {{{#!folding [ 목록 펼치기 · 접기 ] ||
<-3> '''카페''' || || '''업체''' || '''매장명''' || '''주소''' || ||<|2> [[스타벅스|[[파일:스타벅스 로고.svg|height=35px]]]] || [[스타벅스]][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76 || || [[스타벅스]][br]봉선이마트점 || [[이마트 봉선점]] 1층 || || [[투썸플레이스|[[파일:투썸플레이스 심볼.svg|height=35px]]]] || [[투썸플레이스]][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56 || || [[엔제리너스|[[파일:엔제리너스 BI(2021~).png|height=40px]]]] || [[엔제리너스]][br]광주봉선중앙점 || 봉선로 152 || || [[이디야|[[파일:이디야커피 심볼.svg|height=40px]]]] || [[이디야 커피]][br]광주봉선센트럴점 || 봉선로 184 || || [[커피빈|[[파일:커피 빈 앤 티 리프 심볼.svg|height=35px]]]] || [[커피빈]][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68 || || [[빽다방|[[파일:빽다방 로고 피엔지.png|height=35px]]]] || [[빽다방]][br]광주봉선쌍용점 || 봉선로 172 || ||<|2> [[메가커피|[[파일:메가MGC커피 로고.svg|height=17px]]]] || [[메가커피]][br]광주봉선점 || 봉선중앙로 28 || || [[메가커피]][br]광주봉선유안공원점 || 봉선로 205 || || [[컴포즈커피|[[파일:컴포즈커피 심볼.svg|height=35px]]]] || [[컴포즈커피]][br]광주봉선쌍용점 || 제석로80번길 47 || || [[더벤티|[[파일:bi_1-xs.png|height=12px]]]] || [[더벤티]][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58 || || [[아마스빈|[[파일:아마스빈로고.png|height=40px]]]] || [[아마스빈]][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69 || || [[봉선동|[[파일:홍콩다방로고.png|height=40px]]]] || 홍콩다방[br]광주봉선점 || 봉선중앙로 33 || || [[봉선동|[[파일:세라젬로고.png|height=18px]]]] || 세라젬웰카페[br]광주봉선직영점 || 봉선로 168 || || [[봉선동|[[파일:와플대학 logo.png|height=18px]]]] || [[와플대학]][br]광주봉선캠퍼스 || 봉선동 114-1 || ||
<-3> '''체인점 매장''' || || '''업체''' || '''매장명''' || '''주소''' || || [[버거킹|[[파일:버거킹 로고(1999-2020).svg|height=30px]]]] || [[버거킹]][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80 || || [[파리바게뜨|[[파일:파리바게뜨 엠블럼.png|height=35px]]]] || [[파리바게뜨]][br]봉선쌍용점 || 봉선로 164 || || [[서브웨이|[[파일:써브웨이 로고.svg|height=15px]]]] || [[서브웨이]][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76 || || [[맘스터치|[[파일:맘스터치 로고.svg|height=20px]]]] || [[맘스터치]][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76 || || [[배스킨라빈스|[[파일:배스킨라빈스 로고.svg|height=25px]]]] || [[배스킨라빈스]][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64 || || [[던킨|[[파일:던킨 로고.svg|height=12px]]]] || [[던킨도너츠]][br]광주봉선점 || 봉선중앙로 13 || || [[프랭크버거|[[파일:프랑크버거.png|height=40px]]]] || [[프랭크버거]][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69 || || [[명랑시대쌀핫도그|[[파일:명랑쌀핫도그 로고.svg|height=35px]]]] || [[명랑핫도그]][br]봉선점 || 봉선중앙로 15 || || [[본죽|[[파일:본죽 BI.svg|height=40px]]]] || [[본죽]][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64 || || [[홍루이젠|[[파일:홍루이젠 로고.png|height=20px]]]] || [[홍루이젠]][br]광주봉선점 || 봉선로 180 || || [[노브랜드 버거|[[파일:노브랜드 버거 로고.svg|height=18px]]]] || [[노브랜드 버거]][br]광주봉선점 || 봉선동 484-14 ||}}} || || {{{#808080 '''봉선동 쌍용사거리 주요 편의시설'''}}} || || {{{#!folding [ 목록 펼치기 · 접기 ] ||
'''업체''' || '''매장명&주소''' || || [[다이소|[[파일:다이소 로고.svg|height=20px]]]] || [[다이소]] 광주봉선2호점[br]봉선로 180 || || [[일렉트로마트|[[파일:일렉트로마트 로고.png|height=40px]]]] || [[일렉트로마트]] 봉선점[br][[이마트 봉선점]] 2층 || || [[파일:자주.png|height=19px]] || JAJU 이마트봉선점[br][[이마트 봉선점]] 1층 || || [[노브랜드|[[파일:노브랜드 로고.svg|height=40px]]]] || [[노브랜드]] 이마트봉선점[br][[이마트 봉선점]] 지하 1층 || || [[알파문구|[[파일:알파문구 로고.jpg|height=35px]]]] || [[알파문구]] 광주봉선점[br]봉선로 169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선쌍용사거리.jpg|width=100%]]}}} || || '''쌍용사거리''' 전경[br]대부분의 건물이 [[학원]]으로 가득 차 있다. || 봉선동의 메인상권이다.[* 여담으로 [[포항시]]에도 같은 명칭의 사거리가 존재한다. 원래는 봉선동이 사는 사람들끼리 편의를 위해 부르던 이름이었지만 지명으로 인정되어 인터넷 지도에 검색해도 나온다.] 쌍용사거리는 호남권 최대의 학습시설 밀집지역으로, 거의 대부분의 빌딩이 [[학원]]과 [[스터디카페]], [[독서실]]을 품고 있으며 학생과 학부모들의 허기를 달랠 수 있는 [[카페]]나 [[분식점]] 및 각종 프랜차이즈 음식점들도 밀집해있다. 때문에 쌍용사거리에 대부분 건물들이 1층은 [[음식점]] 및 [[카페]], 2층부터는 학원과 스터디카페가 위치해 있는 구조다. 이런 관계로 학원 관계자들이나 학생들이 음식점과 카페를 많이 이용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고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광주에 진출하려는 타지방 체인점들이 봉선동에 입점하는 것을 1순위로 둔다. 2021년 11월, 호남 최초로 봉선동에 ‘[[메가스터디]] 러셀코어’[* [[서연고]], [[의치한]] 전문학원.]가 입점했다. 또한 평일 저녁 10시가 되면 학원이 끝나고 자식들을 픽업해서 귀가시키려는 학원 버스차량 인파와 부모들의 불법주정차 행렬도 흔하게 볼 수 있다. 학원이 끝나기 대략 한 시간 전부터 주정차를 시키고 근처 카페에서 자녀를 기다리는 부모들 때문에 남구청에서 수시 주정차 단속을 벌이는 곳이기도 하다. 쌍용사거리 근처 은행은 [[국민은행]]과 [[하나은행]], [[농협중앙회]], [[우리은행]], [[광주은행]][* 이마트에 위치], [[신협]][* 봉선2동에 2개의 신협이 있다. 1. 쌍용사거리의 방림신협 봉선중앙로지점 2. 남양휴튼 사거리의 남광주신협 봉선지점], [[새마을금고]]가 위치해있고, 특히 [[국민은행]]과 [[농협중앙회]]는 광주에서도 특출난 부촌이라 그런지 거래량 및 매출이 광주에서 최상위권 지점으로 유명하다. 편의시설로는 [[이마트 봉선점]], [[일렉트로마트]], [[올리브영]], [[다이소]]가 있고 [[버거킹]], [[써브웨이]], [[맘스터치]], [[프랭크버거]], [[노브랜드 버거]] 같은 패스트푸드점과, [[던킨]], [[배스킨라빈스]], [[뚜레쥬르]], [[파리바게뜨]], [[커피빈]], [[투썸플레이스]],[[이디야]], [[빽다방]], [[스타벅스]], [[엔제리너스 커피]], [[메가커피]], [[아마스빈]], [[더벤티]], [[와플대학]], 세라젬 웰카페, 홍콩다방 같은 카페들도 군데군데 있다. 쌍용사거리 인근에 [[이마트 봉선점]]이 있다. 그전까지 봉선동에 대형마트는 지역업체였던 빅마트 하나 뿐이었다. 그러다가 2007년에 남구문화예술회관 건너편, 즉 현재 이마트 자리에 위치한 돌산을 모두 파버리고 이마트가 들어오자마자 빅마트는 처참하게 무너졌다. 이마트가 지어질 당시, 지반이 너무 단단해서 이마트도 지하 1층까지 밖에 만들 수 없었다고 한다. 때문에 주차장이 지상 3~7층에 위치해 있다. ===== 삼익사거리 ===== || {{{#808080 '''봉선동 삼익사거리 주요 프랜차이즈'''}}} || || {{{#!folding [ 목록 펼치기 · 접기 ] ||
<-3> '''카페''' || || '''업체''' || '''매장명''' || '''주소''' || || [[스타벅스|[[파일:스타벅스 로고.svg|height=35px]]]] || [[스타벅스]][br]광주봉선중앙점 || 봉선중앙로 51 || || [[설빙|[[파일:설빙.png|height=40px]]]] || [[설빙]][br]봉선점 || 봉선중앙로 55 || || [[디저트39|[[파일:디저트39.png|height=40px]]]] || [[디저트39]][br]광주봉선점 || 봉선2로 38 || ||<|2> [[컴포즈커피|[[파일:컴포즈커피 심볼.svg|height=35px]]]] || [[컴포즈커피]][br]광주봉선점 || 봉선중앙로 61 || || [[컴포즈커피]][br]광주봉선무등점 || 봉선2로 87 || || [[카페게이트|[[파일:카페게이트 로고.png|height=12px]]]] || [[카페게이트]][br]광주봉선점 || 봉선중앙로 51 || ||
<-3> '''체인점 매장''' || || '''업체''' || '''매장명''' || '''주소''' || || [[롯데리아|[[파일:롯데리아 아이콘.svg|height=30px]]]] || [[롯데리아]][br]광주봉선점 || 봉선중앙로 82 || || [[뚜레쥬르|[[파일:뚜레쥬르 로고 피엔지.png|height=35px]]]] || [[뚜레쥬르]][br]광주봉선금호점 || 봉선중앙로 51 || || [[역전할머니맥주|[[파일:역할맥 로고.png|height=35px]]]] || [[역전할머니맥주]][br]광주봉선점 || 봉선로133번길 15 ||}}} || || {{{#808080 '''봉선동 삼익사거리 주요 편의시설'''}}} || || {{{#!folding [ 목록 펼치기 · 접기 ] ||
'''업체''' || '''매장명&주소''' || || [[롯데슈퍼|[[파일:롯데슈퍼 로고.png|height=17px]]]] || [[롯데슈퍼]]프레시 봉선점[br]유안초등북길 1 || || [[올리브영|[[파일:올리브영 로고.svg|height=20px]]]] || [[올리브영]] 광주봉선삼익점[br]봉선중앙로 51 || || [[다이소|[[파일:다이소 로고.svg|height=25px]]]] || [[다이소]] 롯데슈퍼봉선점[br]롯데슈퍼프레시 봉선점 1층 || || [[모닝글로리(기업)|[[파일:모닝글로리 로고.svg|height=20px]]]] || [[모닝글로리(기업)|모닝글로리]] 봉선점[br]봉선2로 9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선삼익사거리.jpg|width=100%]]}}} || || '''삼익사거리''' 전경 [br] 술집, 식당들이 집중된 곳이다. || 본래 삼익사거리는 2000년대 후반까지는 ‘봉파’[* 봉선동파출소의 줄임말.]라는 명칭으로 유명했다. 버스정류장 이름도 ‘봉선파출소’였으나, 2010년부터 광주남부경찰서와 관할구역이 겹쳐 파출소를 통폐합한 이후 버스정류장 이름도 ‘봉선삼익사거리’로 바뀌고, 더 이상 봉파라는 명칭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 [[봉선동 삼익1차아파트|삼익1차]] 뒷편에 위치한 ‘삼익사거리’에는 골목 안쪽으로 많은 음식점과 포차, 주점들이 위치해있다. 광주 사교육의 메카라고 불리는 지역이라 술집이 들어오기 쉽지 않아보이지만, 봉선동이 단순히 교육열 높은 동네에서 광주 대표 부촌으로 성장하면서 2015년을 기점으로 많은 주점들이 생겨났다. 그래서인지 한 블럭을 건너면 분위기가 사뭇 달라지는 게 신기하다는 외지인들의 평가도 있다. 2020년에는 13층 높이의 더스카이빌딩이 완공되었는데, 봉선동에서는 아파트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층수를 가진 건물이다. 바로 옆에 위치한 금호1차와 높이가 비슷하다. ===== 남양휴튼사거리 ===== || {{{#808080 '''봉선동 남양휴튼사거리 주요 프랜차이즈'''}}} || || {{{#!folding [ 목록 펼치기 · 접기 ] ||
<-3> '''카페''' || || '''업체''' || '''매장명''' || '''주소''' || || [[스타벅스|[[파일:스타벅스 로고.svg|height=35px]]]] || [[스타벅스]][br]광주봉선로점 || 제석로 104 || || [[공차|[[파일:공차(버블티) 로고.svg|height=40px]]]] || [[공차]][br]광주봉선점 || 제석로 110 || || [[벌크커피|[[파일:벌크커피.png|height=40px]]]] || 벌크커피[br]봉선점 || 봉선로 106 || ||
<-4> '''체인점 매장''' || || '''업체''' || '''매장명''' || '''주소''' || || [[파리바게뜨|[[파일:파리바게뜨 엠블럼.png|height=35px]]]] || [[파리바게뜨]][br]백운광장점 || 봉선로 77 || || [[상무초밥|[[파일:상무초밥.png|height=20px]]]] || 상무초밥[br]봉선점 || 제석로 110 || || [[샐러바웃|[[파일:샐러바웃.png|height=35px]]]] || 샐러바웃[br]봉선점 || 제석로 104 || || [[베비에르]] || 베비에르[br]봉선점 || 봉선2로 1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선휴튼사거리.jpg|width=100%]]}}} || || '''남양휴튼사거리''' 전경[br]이곳은 특히 프랜차이즈형 음식점과 카페, 각종 병의원들이 집중되어 있다. || 남양휴튼2차 옆에 위치한 ‘남양휴튼사거리’에는 2016년 지상 10층의 메가시티빌딩, 2018년 지상 11층의 HR메디웰빌딩이 신축되면서 병원, 음식점, 은행, 카페 등등 편의시설이 밀집한 상권이 생겨났다. 이 쪽에는 [[공차(버블티)|공차]]와 [[스타벅스]]가 있다. 특히 사거리 일대에 초밥집 3곳이 위치해있는데, 서로 경쟁이 매우 치열하여 점심시간에는 식사하는 사람들이 많이 보인다. 참고로, [[봉선2차 남양휴튼|남양휴튼2차]] 상가에는 [[신한은행]]이 위치해있다. 메디웰빌딩과 제일풍경채 아파트 사이에 남구청소년도서관이 있어 교육 환경에 도움이 된다. 꽤 오랫동안 이곳에 자리잡았던 정자골이라는 식당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한국아델리움57 디오브가 들어올 예정이며 주변으로 한국아델리움57, 한국아델리움57 더 펜트, 한국아델리움57 리미티드, 한국아델리움57 더 힐, 남양휴튼 MVG 등의 [[펜트하우스]]형 고급아파트들이 들어서고 있어 남양휴튼사거리도 쌍용사거리 못지 않게 커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생활 환경 ==== 광주 교육의 메카답게, 조그만한 동네지만 공공도서관이 세 군데나 있다. 남구문화예술회관 내에 남구문화정보도서관이, [[봉선 제일풍경채 엘리트파크|제일풍경채]] 옆에 남구청소년도서관이, 2022년 9월 27일 봉선2동 행정복지센터 건물에 개관한 봉선2동 작은도서관이 있다[[https://blog.naver.com/gwangjunamgu/222889061066|#]]. 남구청소년도서관은 2018년에 신축한 도서관으로 깨끗하고 좋은 시설을 갖추고 있다. 상대적으로 노후되었던 남구문화예술회관도 2021년 리모델링을 통해 쾌적한 시설로 개선되었으며 도서관 외에도 공연장, 문화센터, 수영장이 함께 갖춰져 있다.[[https://blog.naver.com/gwangjunamgu/222530885907|#]] 게다가 높지는 않지만, 산책하기에 딱 좋은 [[제석산]]이 동네를 둘러싸고 있어서 자연환경도 좋은 편이다. 대략 [[봉선동 포스코더샵|포스코더샵]] 뒤에서 출발하여 [[주월중학교]]까지 길을 따라 내려오다 보면 1시간 정도 걸린다. 정리하자면 광주의 대치동이라고 불릴 정도로 [[학원]] 밀집지역이며[* 봉선동에 본원을 둔 학원 중 전국 체인망으로 성장하여 베트남에도 진출한 학원도 있다.], [[도서관]], [[독서실]], [[스터디카페]]가 즐비하여 면학 분위기가 최상이다. 또한 근거리에 학교가 많아서 유흥업소가 생기는게 불가능하며, 주변에 유흥업소가 없다는 점이 교육에 최적화 된 특징이다.[* 모텔은 아예 없으며, 중심부와 거리가 있는 삼익사거리에 노래주점이 두 곳 있다.] 쌍용사거리부터 이마트까지 이어지는 거리가 메인 상권으로 여러 학원간판과 함께 각종 은행과 카페가 즐비하고, 쌍용사거리가 압도적인 메인이었지만 2018년부터 삼익사거리와 남양휴튼사거리에도 새로 빌딩들이 들어서면서 상권이 다양화되었다. 또한 상권이 점차 확장되어 이마트와 포스코더샵, 남구문화예술회관, 봉선1동 주택가 주변에 아기자기한 레스토랑 및 카페가 많이 생기는 추세이다. 2016년 구)남구청 부지에 들어선 [[봉선 제일풍경채 엘리트파크|제일풍경채]] 이후로 봉선동에는 보편적인 규모의 아파트단지가 들어설 만한 땅이 없어졌는데, 여전히 높은 아파트 수요를 맞추기 위해서 작은 땅이라도 확보해서 남양휴튼MVG나 [[봉선로 르 오네뜨|르 오네뜨]], 한국아델리움 57, 한국아델리움 57 더 펜트, 한국아델리움 57 리미티드, 한국아델리움57 더 힐, 한국아델리움57 디오브 같은 소규모의 [[펜트하우스]]형 아파트나 고급빌라들이 계속 건설되고 있고 봉선동과 인접한 [[방림동]]이나 [[주월동]]에도 주택가 재개발을 통해 아파트를 짓거나 기존 아파트를 재건축하는 사업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봉선동에서 자녀 교육을 시키고 싶으나 봉선동에서 집을 얻지 못한 학부모들이 인근 남구 [[진월동]], [[주월동]], 동구 [[용산동(광주)|용산동]]으로 나감에 따라 그 지역 집값도 상승하고 있다. 2019년에는 용산지구가 입주하면서 남부경찰서 옆에 봉선동으로 바로 통하는 터널을 새로 뚫었다. 이 터널을 통해 용산지구에서 봉선동 쌍용사거리까지는 차로는 불과 5분, 걸어서는 15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용산지구는 봉선동에 생활권을 의존하고 있으며, 용산지구로 전입한 가구 대부분이 봉선동에서 생활을 하다가 봉선동 대비 저렴하고 가까우며 신축인 용산지구로 이사한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용산지구 입주가 시작된 이후로 봉선동 인구가 다소 줄었다. 또한 용산지구 계룡리슈빌과 모아엘가 모두 34평 기준 6-7억대 이상에 거래되며 봉선동의 확장임을 증명하고 있다. 추후 진월동과 봉선동을 연결하는 터널 역시 개통될 예정이라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10629618|#]] 진월-봉선-용산이 거의 하나처럼 이어지게 될 것이다. ==== 관공서 ==== * [[광주남부경찰서]] * 남구문화예술회관 * 남구문화정보도서관[* 남구문화예술회관의 문화정보도서관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주관‘생활SOC 복합화 공모사업' 선정에 따라 24억 5,000만원이 투입되어 2021년 리모델링 되었다. 2021년 9월 말 완료되어 재개관했다.][[https://blog.naver.com/gwangjunamgu/222530885907|#]] * 남구청소년도서관[* 남구 관내 구립도서관 3곳의 자료 보유 현황(2020년 8월 말 기준)에 따르면 남구문화예술회관에 있는 문화정보 도서관과 [[봉선 제일풍경채 엘리트파크|제일풍경채]] 옆에 있는 남구청소년 도서관에 각각 10만64권과 4만1257권을 소장하고 있으며 남구청소년 도서관은 일평균 123명이 책을 빌려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관내 구립 도서관 3곳 중 대출서비스의 하루 이용자가 가장 많은 도서관으로 나타났다][[http://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1738|#]] * 봉선2동 작은도서관 [* [[이마트 봉선점]] 건너편 '유안근린공원 내'로 '봉선2동 행정복지센터 건물'이 신축·이전하면서 2022년 9월 27일 지상 1층에 봉선2동 작은도서관이 개관하였다.] * 봉선2동 행정복지센터[* 2021년 5월 24일에 공사를 시작해 유안근린공원 내 지하 2층에 지상 2층 규모로 민원실, 봉선2동 작은도서관 등으로 구성된 봉선2동 행정복지센터가 2022년 9월 19일에 개소하였다. 유안근린공원 지하 주차장 및 산책로와 연결되는 구조로 설계됐으며 바로 건너편엔 [[이마트 봉선점]]이 위치해 있다.[[http://www.jndn.com/article.php?aid=1663840174345321068|#]]] * 봉선동우체국 ==== 학교 ==== ===== 초등학교 ===== * [[불로초등학교]] * 조봉초등학교 * 유안초등학교 ===== 중학교 ===== * 동아여자중학교 * [[문성중학교(광주)|문성중학교]] ===== 고등학교 ===== * 동아여자고등학교 * [[문성고등학교]] ==== 공동주택 ==== * 봉선지웰 * [[봉선1차 남양휴튼|남양휴튼 1차]]·[[봉선2차 남양휴튼|2차]]·MVG[* 호텔식 [[펜트하우스]]형 아파트로, 구.남문교회 자리에 지어졌다.[[http://www.kjdaily.com/read.php3?aid=1559466564472277004|#]]] * 더플레이스 봉선[* 아파트가 아닌 오피스텔이며, 처음에는 이 자리에 [[CGV]] 영화관을 포함한 8층짜리 상업시설을 짓기로 했었지만 교통난을 이유로 주민들이 반대하는 바람에 무산되었고 후에 오피스텔로 변경되었다. 남구 최초의 영화관이 될 뻔 했으나 아직도 영화관이 없다.] * 솔뫼 렉스케이원 * HR아팰리스[* 생긴건 아파트처럼 생겼지만 오피스텔로, 남양사거리 상권의 한 축인 HR메디웰빌딩이 이 곳의 부속건물이다.] * 대화아파트 * 라인 1·2·3차 * [[봉선동 금호타운 1차|금호타운 1차]]·[[봉선동 금호타운 2차|2차]] * [[봉선 제일풍경채 엘리트파크|제일풍경채 엘리트파크]] * [[봉선동 삼익1차아파트|삼익 1차]]·[[봉선동 삼익2차아파트|2차]][*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중이며 [[포스코건설]]과 [[쌍용건설]]의 리모델링 사업설명회를 개최한 바 있다. [[현대엔지니어링|현대]]·[[포스코건설|포스코]]·[[대우건설|대우]]·[[쌍용건설|쌍용]]·[[두산건설|두산]] 등이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2022년 6월 18일 ‘조합창립총회'를 개최하였고 2023년 1월 2일 광주광역시 남구청으로부터 조합설립을 인가받았고 [[DL이앤씨]]를 시공자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하였다.][[http://www.ar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511|#]][[http://www.ar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696|#]][[http://www.areyou.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457|#]] * [[봉선동 쌍용스윗닷홈|쌍용스윗닷홈]] * [[봉선동 한국아델리움1단지|한국아델리움 1]]·2단지·[[봉선3차 한국아델리움|3차]]·57[* 봉선동 603번지 일대에 지어진 [[펜트하우스]]형 아파트이다.]·57 더 펜트(예정)[* 봉선동 457-1번지 일대에 지어질 예정인 [[펜트하우스]]형 아파트이다.]·57 리미티드(예정)[* 봉선동 475번지 일대에 지어질 예정인 [[펜트하우스]]형 아파트이다.]·57 노블리티(예정)[* 봉선동 156-1번지 일대에 지어질 [[펜트하우스]]형 아파트이다.]·57 디오브(예정)[* 봉선동 624-1번지 일대에 지어질 [[펜트하우스]]형 아파트이다.]·57 더 힐(예정)[* 봉선동 599-7번지 일대에 지어질 [[펜트하우스]]형 아파트이다]· * [[봉선동 포스코더샵|포스코더샵]] * 봉선더쉴 1·2단지 * 무등파크맨션 1·2·3·4차 * 모아엘가 * 골든뜨레빌[* 광주에서 몇 없는 연립고급빌라다. 층이 낮아서 방범위험이 있을 수 있지만 바로 옆이 광주남부경찰서인지라... 치안이 좋은 동네 전국 1위를 수상하였다고 동사무소에 현수막이 걸린 적이 있다.] ==== 공원 ==== * 방죽어린이공원 * 봉선2근린공원 * 봉선2지구어린이공원 * 불로어린이공원 * 유안근린공원[* 지금 유안근린공원은 사실 쓰레기 매립장으로 이용되던 곳이었다가 봉선2동 개발을 하게 되며, 공원으로 개발을 한 것. 참고로 유안근린공원의 당시 최초 명칭은 '석산공원'이었다.] * 제석꿈샘어린이공원[[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421419?sid=102|#]] == 교통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시내버스]] === ==== 간선 ==== * [[광주 버스 봉선27]][* 주월중입구~남구문화예술회관] * [[광주 버스 일곡28]][* 주월중입구~송림주택] * [[광주 버스 봉선37]][* 송림주택~남구문화예술회관] * [[광주 버스 운림50]][* 송림주택~주월중입구] * [[광주 버스 금남59]][* 봉선1동행정복지센터~문성고] * [[광주 버스 송정98]][* 주월중입구~남구문화예술회관] ==== 지선 ==== * [[광주 버스 금남55]] * [[광주 버스 지원56]] * [[광주 버스 송암68]] * [[광주 버스 봉선76]] ==== 마을 ==== * [[광주 버스 남구713]][* 수요 저조 문제로 운행중단 되었으나, 7월 5일을 기점으로 운행을 재개하였다.] * [[광주 버스 남구714]] === [[광주 도시철도|도시철도]] === ==== [[광주 도시철도 2호선]] ==== * [[백운광장역]][* 백운광장역에서 내려 버스로 환승시 봉선동 학원가 밀집지역인 휴튼사거리 및 쌍용사거리까지 2~4 정거장 거리이다. 쌍용사거리 기준 도보로는 20분 정도 소요.] * [[봉선역]][* 미래아동병원 근처에 위치. [[양림동]]과 가까운 봉선동 사이에 위치해 있다.] == 정치 == 고소득층 전문직이 많이 거주하는 영향으로 광주에서 가장 보수정당 지지가 강한 동네이다. 오죽했으면 별명이 ‘광주의 강남’일 정도이다.[* 2007년부터 언론에 “광주의 강남”이라 보도되기 시작했다.] 봉선2동은 2007년 [[17대 대선]]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에게 15%의 득표율을 안겨서 호남 지역에서 최고 득표율을 기록한 곳이다. [[18대 대선]]에서 봉선2동은 [[박근혜]] 후보에게 남구에서 제일 높은 11.43%의 지지를 보냈으며, [[21대 총선]] 광주에서 비례대표 [[미래한국당]]에 가장 많은 표를 줬다.[* 다만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는 수준은 아니었다.] [[20대 대선]]에서 봉선2동은 21.87%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선택했다. 이는 광주 전체에서 동별 단위 퍼센트로는 최고 득표율이고, 역대 보수정당 대선 후보 중에서도 제일 높은 수치이다. 특히 포스코, 쌍용, 아델리움 단지의 유권자가 투표한 [[불로초등학교]]의 제5투표소에서는 40%에 육박하는 39.1%의 득표율[* 유효표 1800표 중 704표를 득표.]을 기록하였다. 윤석열 당선 다음 날인 2022년 3월 10일,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광주를 찾아 감사 인사를 하며 응한 지역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윤석열에게 많은 지지를 보내준 봉선동과 [[동구(광주광역시)|동구]] 주민들에게 감사의 메시지를 남기기도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660&aid=0000003366|#]] === [[제18대 대통령 선거]] === ||<:><-5> {{{#000000 '''18대 대선 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새누리당(2012년)|{{{#fff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3AB34A '''민주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000000 '''문재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11,307 [br] (8.24%)''' ||<:> {{{#000000 '''125,439 [br] (91.49%)'''}}} ||<:> '''-114,132 [br] (▼83.25)''' ||<:> '''80.18%''' || || '''봉선1동''' ||<:> 7.77% ||<:> {{{#ffd400 92.10%}}} ||<:> {{{#808080 ▼84.33}}} ||<:> 77.16 || || '''봉선2동''' ||<:> 11.43% ||<:> {{{#ffd400 88.30%}}} ||<:> {{{#808080 ▼76.87}}} ||<:> 84.86 || === [[제19대 대통령 선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8> {{{#FFFFFF '''19대 대선 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fff '''자유한국당'''}}}]] ||<:> [[국민의당(2016년)|{{{#fff '''국민의당'''}}}]] ||<:> [[바른정당|{{{#fff '''바른정당'''}}}]]||<:> [[정의당|{{{#000 '''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85,642 [br] (58.82%)'''}}} ||<:> '''2,521 [br] (1.73%)''' ||<:> '''47,663 [br] (32.73%)''' ||<:> '''3,085 [br] (2.11%)''' ||<:> '''6,013 [br] (4.12%)''' ||<:> '''+37,979 [br] (△26.09)''' ||<:> '''82.39%''' || || '''봉선1동''' ||<:> {{{#004ea2 58.26%}}} ||<:> 1.92% ||<:> 33.97% ||<:> 1.71% ||<:> 3.64% ||<:> △24.29 ||<:> 79.05 || || '''봉선2동''' ||<:> {{{#004ea2 57.09%}}} ||<:> 2.48% ||<:> 33.39% ||<:> 2.56% ||<:> 4.01% ||<:> △23.70 ||<:> 85.27 ||}}} === [[제20대 대통령 선거]] === ||<-4> {{{#fff '''제20대 대통령선거 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2> '''격차''' || || '''후보''' || [[이재명|{{{#fff '''이재명'''}}}]] || [[윤석열|{{{#fff '''윤석열'''}}}]]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득표수[br](득표율)'''}}} || {{{#fff '''124,572[br](84.27%)'''}}} || 19,927[br](13.48%) || ▲ 70.79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봉선1동'''}}} || {{{#004ea2 81.39%}}} || 16.27% || ▲ 65.12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봉선2동'''}}} || {{{#004ea2 76.12%}}} || 21.87% || ▲ 54.25 || == 관련 인물 == || 출신은 볼드체 처리, 현재 거주하고 있거나 거주한 경험이 있는 나무위키에 등재 가능한 인물만 서술 || * [[강운태]]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456830622372411002|#]] * [[고재유]]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62554|#]] * '''[[김가연]]''' * [[김기욱]] * [[김녹원]] * '''[[김민정(쇼트트랙)|김민정]]''' * '''[[김용명]]''' * '''[[모르는지]]''' * [[문인(정치인)|문인]]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90619|#]] * '''[[Mill(OnlyOneOf)|Mill]]''' * [[양부남]] [[http://www.d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70|#]] * '''[[Hezz|의진]]''' * [[이강철]][* 은퇴 후 KIA 코치 시절에 포스코아파트에 거주했다.] * [[이종범]][* 선수 생활 당시 말년에 [[봉선동 쌍용스윗닷홈]]에 거주했다. 은퇴 후 현 거주지인 [[압구정 현대아파트]]로 이사를 갔다.] * [[이재석(인터넷 방송인)|이재석]][* 초, 중, 고를 모두 봉선동에서 다녔다.] * [[정동하]][* 2014 광주 부활 콘서트에서 봉선초등학교에 다녔다는 사실을 밝혔고, 그 후 콘서트에서도 봉선동에 살았다고 직접 언급했다.] * [[정용운]]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5/2018112500662.html|#]] * [[정종순]] [[https://mnews.sarangbang.com/detail/article/1357590|#]] * [[채영]][* 어린 시절, 봉선동과 양동시장에서 거주했다고 팬싸인회 당시 밝혔다.] * '''[[홍진영]]'''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268991|#]] * [[황주홍]] [[http://www.ohmynews.com/NWS_Web/Event/Special/open_property_a.aspx|#]] * [[김영준(작곡가)]][* 대한민국의 전자음악그룹 [[클럽헌터]]의 음반제작자이자 대중가요 작곡가이다.[[젝스키스]]의 '그날까지' '기도'를 작곡,편곡하였고 2006년 '볼케이노디제이팀'의 멤버로도 활동하며 데뷔앨범 '더 퍼스트 레볼루션' 전곡을 작곡,편곡 하였다.] == 여담 == * [[한끼줍쇼]]에서 [[박나래]]가 친동생이 거주한다고 밝힌 바 있으며 학군이 좋아서 광주의 [[대치동]]이라고 불린다고 언급하기도 하였다.[[https://news.joins.com/article/21732287|#]] *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 아직 아직 중·고등학교와 학원들이 거의 없다보니 연쇄반응으로 봉선동이 더욱 더 인기가 많아졌다는 뉴스기사 분석도 존재한다.[[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190529/95743544/1|#]] * 인구밀도가 높은 초밀집지역이자 주변에 학교가 많고, 고소득자의 학부모들이 많으며, 유흥업소가 없고, 고가의 아파트, 대형평수 아파트가 많아 학원 형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 남구는 문화교육특구 사업 지역이며 중소벤처기업부의 사업 연장 승인 결정에 따라 오는 2023년까지 4년간 문화교육특구 사업이 연장됐다. 이에 따라 봉선동의 혜택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9708310|#]] * 봉선동의 학군은 매우 좋은편이다. 봉선동의 ‘학군이 좋은 학교’는 과학고, 외고, 자사고 등에 매년 4~12명의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으며, 인기가 좋아 과밀학급인 편이다. 이런 문제가 벌어지자 봉선동 모 학교는 최근 6칸의 교실을 증축하기도 하였다. [[http://m.gwangnam.co.kr/article.php?aid=1559641582328605023#_enliple|#]] * 진월동, 노대동, 봉선동, 효천지구, 용산지구 주민들의 숙원이었던 제2순환도로 진월IC 진출입로 3곳 개설이 확정되어 봉선동의 교통 편리성 및 접근성이 더욱 더 좋아질것으로 예상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1203179|#]] * 남구에서는 [[포켓몬 GO]]를 플레이 하기에 제일 좋은 동네로 알려져있다. 특히 봉선2동 이마트 부근 200미터에 체육관 7개가 밀집되어있다. * 2021년 4월 1일 봉선동으로 편입 된 일부 아파트들이 '봉선동 프리미엄' 효과인지 가격이 크게 올라 화제가 되기도 하였으며 뉴스 기사에도 언급이 된 바 있다.[[https://mnews.sarangbang.com/detail/article/2790770|#]] * 봉선동에서 [[용산IC]], 봉선동~[[용산동(광주광역시 동구)|용산지구]]터널, 방림터널 등이 가까워 [[화순]], [[나주]] 등 전남 남부 지역로 이동이 용이하다. [[분류:남구(광주)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