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봉바르디에의 항공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ombardier_CRJ-700_%28278671483%29.jpg]] [[유나이티드 익스프레스]]의 CRJ700. 사진은 구도색으로 [[컨티넨탈 항공]] 합병 이후 깔끔하게 바뀌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he_CRJ-900ER_Flight_Deck_%282806000295%29.jpg]] CRJ900ER의 콕핏. Bombardier CRJ700 series [목차] == 개요 == [[캐나다]]의 소형 항공기 및 다양한 교통수단 제작사 [[봉바르디에]]에서 개발한 70~100석급 단거리용 [[협동체]] 쌍발 [[터보팬]] [[여객기]]. 동사의 [[봉바르디에 CRJ200 시리즈|CRJ200]]를 개량한 것이다. 항공사들은 가지고 있던 CRJ100/200의 초기 생산분들이 내구연한이 점점 다 되어가자 대체할 여객기를 요구하기 시작했고, 봉바르디에 측에서도 CRJ200 시리즈가 꽤 성공한 이후로 대체 기종 겸 여객기의 크기를 좀 더 크게 할 생각이 있었다. 하지만 이미 대부분의 항공사들이 CRJ200을 멀쩡히 운용하고 있어서 조금 보류했다가 시작했다. 그런데 막상 CRJ200의 50인승 체급을 대체할 CRJ500은 관심을 영 끌어모으지 못해 취소되었다. 그래도 CRJ700 시리즈는 2020년까지 924대가 생산되어 인도되었다. 2008년쯤부터는 NextGen 프로젝트로 그 이후 생산하는 기체들은 초기형보다 더 좋은 성능을 가졌다고 한다. 봉바르디에의 경영난으로 인하여 터보프롭기 [[드해빌랜드 캐나다 Dash 8-400|Q400]]과 함께 매각 대상에 올랐다. 2019년 6월에는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 [[미쓰비시 스페이스젯]] 사업을 벌이고 있는 미쓰비시항공기의 모기업이다.]과 [[https://www.mhi.com/news/story/190625.html|사업 매각에 합의하였다.]] 사업 양도는 2020년 6월 1일에 완료되었으며, 매각 합의 당시 50여 대 있던 수주 잔량은 봉바르디에가 생산하여 2021년 2월에 인도가 완료되었다. 이후 [[몬트리올]] [[미라벨 국제공항]]에 있던 CRJ시리즈 생산 시설은 [[에어버스]]에 매각된 [[A220]] 쪽으로 넘겨졌다. 미쓰비시는 사업 영역을 기존에 판매된 기체의 유지보수, 개조 등의 서비스로 한정하고 있다. 다만 미쓰비시가 판매권도 가져왔기 때문에 생산 재개 가능성은 열려 있으며, [[미쓰비시 MRJ 시리즈|스페이스젯]] 시리즈 중 미국 리저널 시장을 겨냥한 M100이 2023년에나 취역 가능하기 때문에 단기 대타 용도로 M100과 패키지로 판매될 수 있다는 전망이 있다.([[https://leehamnews.com/2019/06/25/mitsubishi-bombardier-reach-agreement-to-acquire-crj-program/|Leeham News]]) 실제로 매각 직전인 2019년에는 [[유나이티드 항공]]이 CRJ700의 축소 개조형인 CRJ550을 주문하여 미쓰비시의 시설에서 개조가 진행되었으며, 미쓰비시 또한 CRJ550의 추가 생산을 검토중인 것으로 보도되었다.[[https://leehamnews.com/2021/07/06/exclusive-mitsubishi-ponders-restarting-crj-production/|#]] 이 경우 이전 CRJ의 생산 라인이 사라진 만큼 공급망 재구축과 신규 공장 신설이 필요하게 되며, 기종 또한 정식으로 미쓰비시 제품으로 편입된다.[* 현재는 미쓰비시 중공업이 CRJ 사업을 자사 제품으로 명기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2023년 2월 개발사인 미쓰비시는 공식적으로 항공기 제보분야 사업 철수와 개발사 청산을 선언하였고, 따라서 CRJ700시리즈의 미래도 불투명 해졌다. [[https://www.nikkei.com/article/DGXZQOUC023ED0S3A200C2000000/?n_cid=SNSTW001&n_tw=1675676679|#]] == 제원 == || || CRJ550 || CRJ700 || CRJ900 || CRJ1000 || ||조종사|||||||| 2 || ||승무원|| 1~2 |||||| 2~3 || ||승객 정원|| ~50 (3 Class) || 66 (2 Class)[br]74 (1 Class)[br]78 (Max) || 81 (2 class)[br]88 (1 class)[br]90 (Max) || 97 (2 class)[br]100 (1 class)[br]104 (Max) || ||전장|| 32.3 m || 32.3 m || 36.2 m || 39.1 m || ||주익 면적|| 70.6 m^^2^^ || 70.6 m^^2^^ || 71.1 m^^2^^ || 77.4 m^^2^^ || ||동체 지름|||||||| 2.7 m || ||높이|||| 7.6 m |||| 7.5 m || ||엔진|||| [[GE]] CF34-8C5B1 || CF34-8C5 || CF34-8C5A1 || ||추력|||| 61.3 kN [br] (13,790 lb) |||| 64.5 kN [br] (14,500 lb) || ||무게|| || 20,069 kg || 21,845 kg || 23,185 kg || ||최대적재량|| 7,051 kg || 8,190 kg || 10,247 kg || 11,966 kg || ||최대이륙중량|| 29,484 kg || Base 32,999 kg[br]Max 34,019 kg || Base 36,514 kg[br]Max 38,330 kg || Base 38,995 kg[br]Max 41,640 kg || ||항속거리|| 1,852 km || 2,593 km || 2,871 km || 3,056 km || ||순항속도|||||||| 마하 0.78(시속 955km, 515노트) || ||최고속도|||| 마하 0.825(시속 1010km, 545노트) |||| 마하 0.82(시속 1004km, 542노트) || ||최고순항고도|||||||| 12,497 m (41,000 ft) || [* 출처: https://commercialaircraft.bombardier.com/themes/bca/pdf/Bombardier_CRJ_Series_Brochure.pdf] == 세부 기종 == 이 시리즈는 취소된 CRJ500 포함 총 7개의 세부 기종이 있다. === CRJ500 === CRJ200과 동일한 50인승 크기에 개량 및 일부 재설계로 끝낼 '''예정''' 이었으나 이상하게도 항공사들이 통 관심을 보이지 않은 탓에[* 이유는 아무래도 항공사들이 운용하는 CRJ 200들이 아직도 충분히 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취소되었고, 이후 CRJ550이 나오게 되었다. === CRJ700계열 === CRJ700은 총 4개의 세부 기종이 있다. 이 시리즈의 가장 기본형답게 NextGen 프로젝트가 가장 처음 시작된 기종이기도 하다. ==== Series 7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lta_Connection_CRJ-700_%28385600112%29.jpg]] [[델타 커넥션]] 소속 구 도색이다. CRJ700 시리즈의 가장 기본형이자 가장 작은 모델. 승객 좌석은 최대 68석까지 장착할 수 있다. ==== Series 701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_Express_CL-600-2C10_%28701_SERIES%29_ZS-NBD_%288003908242%29.jpg]] SA 익스프레스 소속의 CRJ700 Series 701. CRJ700 Series 700을 약간 개량하여 겨우 2석 추가로 총 70석이 들어간다. 마찬가지로 1클래스만 가능할 정도로 작다. ==== Series 702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ombardier_CRJ-702%2C_Air_France_%28Brit_Air%29_JP7089089.jpg]] [[에어 프랑스]]의 자회사 브릿에어에서 운항하는 CRJ 700 Series 702이다[* 몇몇 지역 항공사는 자사 브랜드를 내세우지 않고 대형항공사 도색/편명으로 운항한다.]. 조금 늘어난 CRJ700. 총 78석이 들어가며 CRJ 700 계열(900 또는 1000 제외)중에서는 가장 좌석이 많이 들어간다. 2클래스가 들어간다. ==== Series 705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99px-AC_Jazz_CRJ705_YQR.jpg]] [[에어 캐나다]]의 자회사 [[재즈(항공사)|재즈 항공]]의 CRJ 700 Series 705[* [[수직 미익]]에 있는 단풍잎 로고와 Jazz 글씨가 노란색이거나 빨간색인 비행기도 있다. 비행기를 골라보는 재미가 있을 수도.] CRJ700의 또 다른 개량형. 75석이 들어가고 2클래스를 목적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 CRJ9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Canadair-CRJ-900-NWA.jpg]] [[노스웨스트 항공]] 소속의 CRJ900.[* 현재는 [[델타 항공]]의 자회사인 [[델타 커넥션]]으로 넘어갔다.] CRJ700의 동체를 연장하여 최대 90석까지 설치 가능한 파생형이다. CRJ700 Series 705와 거의 비슷하나 조금 더 길다. [[차이나 익스프레스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등 여러 항공사에서 CRJ900을 단거리 노선에 잘 운용하고 있다고 한다. === CRJ10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NE_CRJ1000_EC-LJX_26mar16_LFBO.jpg]] [[에어 노스트룸]] 소속 [[이베리아 항공]] 신 도색의 CRJ1000이다. CRJ700의 동체를 추가로 연장하여 최대 100석까지 설치 가능한 모델이다. 대충 보면 CRJ900과 차이가 없는데, 막상 보면 날아다니는 [[연필]]이라고 한다. 실제로 주익을 크게 만들지 않고 동체를 길게 만들어서 동체가 날개에 비해 길어 보인다.[*사진 [[파일:external/techno-science.net/CRJ1000.jpg]]] === CRJ550 === [[파일:N552GJ.jpg]] 2018년 새로 발표된 CRJ700시리즈 라인업. 3클래스[* 비즈니스-프리미엄 이코노미-이코노미] 기준 50석 설치가 가능하다. 정체는 CRJ700의 다운그레이드로, 미국 항공사의 조종사 합의 규정(Scope clause)에서 허용하는 50석 이하 항공기 규정에 맞추기 위해 같은 프레임에서 정원과 최대이륙중량을 낮춘 개조형이다. === [[봉바르디에 글로벌 시리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봉바르디에 글로벌 시리즈)] CRJ700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제트기]] 시리즈다. == 기타 == * CRJ700~1000 중 한 기종의 면장을 취득하면 나머지 기종도 운항이 가능하다. 콕핏과 엔진이 모두 동일해서 그렇다고 한다. *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10.0 버전, 통칭 "[[FSX]]"에 CRJ 700 시리즈가 등장한다. 이 시리즈에서 미국제가 아닌 항공기가 추가되는 것은 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고 한다. 함께 추가된 [[봉바르디에]]의 다른 기종으로 [[Bombardier LearJet 시리즈]]도 있다. * 전작 CRJ200시리즈가 워낙 좁고 불편해서 승객들의 증오를 한 몸에 받았던 기종인지라, 이 기종은 여러모로 승객 편의성이 개선되었다. 하지만 200이 워낙 많이 팔린 기종이라 수요가 적은 미국 국내선을 탄다면 200을 탈 확률이 아직 더 높다. == 같이 보기 == *[[봉바르디에]] *[[봉바르디에 CRJ200 시리즈|CRJ200 시리즈]] *[[엠브라에르 E-Jet 패밀리]] *[[미쓰비시 스페이스젯]] *[[ARJ21]] == 참고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EB%B4%84%EB%B0%94%EB%94%94%EC%96%B4_CRJ700|(한국어 위키백과) 봄바디어 CRJ700]] * [[https://en.wikipedia.org/wiki/Bombardier_CRJ700_series|(영문 위키백과) Bombardier CRJ700 series]] [[분류: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