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트라겔라푸스속]] ||<-2> '''{{{#white {{{+1 봉고}}}(넓적뿔영양)[br]Bong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80px-Bongo_Antelope_@_Honolulu_Zoo_(18166990873).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Tragelaphus euryceros'' '''[br]Ogilby, 1837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s-3.2|{{{#000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s-3.4|{{{#000 '''강'''}}}]] ||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경우제목(Cetartiodactyla) || ||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소과(Bovidae) || || [[생물 분류 단계#s-3.8|{{{#000 '''속'''}}}]] ||트라겔라푸스속(Tragelaphus) || || [[생물 분류 단계#s-3.9|{{{#000 '''종'''}}}]] ||'''봉고'''(T. euryceros) || ||<-2> '''아종''' || ||<-2> • '''서부봉고'''(''T. e. eurycerus'') • '''동부봉고'''(''T. e. isaaci'') ||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준위협.svg|width=24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ragelaphus_eurycerus_isaaciPCCA20071227-8374B.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프리카산 영양의 일종. 아프리카산림영양이라고도 한다. 대체로 야행성이며, 주로 숲에서 산다. == 상세 == [[시에라리온]]에서 [[케냐]]까지의 낮은 지대의 삼림이 무성한 곳에서 서식한다. 주로 아침·저녁에 활동하며, 유난히 수줍음이 많고 민첩하게 행동하여 잘 눈에 띄지 않는다. 시각이나 후각보다는 청각이 더 발달되었다. 상처를 입으면 격렬하게 반격한다. 몸길이 1.7~2.5m, 어깨높이 1.1~1.3m, 몸무게 210~400kg, 뿔길이 60~100cm 정도며 삼림에 사는 영양 가운데 가장 몸집이 크다. 전체적으로 묵직하게 생겼으며, 몸통은 굵고, 귀가 크다. 어깨에서 엉덩이까지 곧추 선 갈기가 있으며, 꼬리 끝에 긴 술과 같은 털이 있다. 뿔은 암수 모두 있고, 1회 비틀어져 위로 향한다. 몸에는 12∼14개의 흰 줄무늬가 있으며, 몸빛깔은 붉은빛을 띤 갈색인데, 늙은 수컷은 검은색이다. 수컷은 단독으로 생활하며 암컷은 새끼와 함께 8마리에서 20마리 정도의 중간 규모 정도의 무리를 짓는다. 천적은 [[아프리카표범|표범]], [[아프리카비단뱀]], [[사람]]이다. == 기타 == 국내에선 찾아볼 수 없으며 [[서울동물원]]의 입식 계획이 1997년에 기사화됐으나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주타이쿤]]에서 1차 DLC[* 나머지는 퓨마, 예티, 해양 휴양지 시나리오, 팬시 건물 팩이다.]로 제공되었는데, 복잡한 환경을 요구하지 않아 초반부터 입식하기에 무리가 없어 키우기는 쉬운 편이다. [[기아]]의 판매 차종의 하나인 [[기아 봉고]]가 이 동물에서 이름을 따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봉고, version=65, paragraph=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