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독일의 前 F1 드라이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lfgang von Trips.jpg|width=100%]]}}} || ||<-2> {{{#000000,#e5e5e5 '''이름''' }}} || {{{+1 '''볼프강 폰트립스'''}}}[br]'''Wolfgang von Trips''' || ||<-2> {{{#000000,#e5e5e5 '''본명''' }}} ||볼프강 그라프 베르게 폰트립스[* 더 긴 본명은 볼프강 알렉산더 알베르트 에두아르트 막시밀리안 라이히스그라프 베르게 폰트립스(Wolfgang Alexander Albert Eduard Maximilian Reichsgraf Berghe von Trips)였다.] [br] Wolfgang Graf Berghe von Trips || ||<-2> {{{#000000,#e5e5e5 '''출생''' }}} ||[[1928년]] [[5월 4일]] [br] {{{-1 [[독일]] [[라인란트]]}}} || ||<-2> {{{#000000,#e5e5e5 '''국적''' }}}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 ||<-2> {{{#000000,#e5e5e5 '''사망''' }}} ||[[1961년]] [[9월 10일]] (향년 33세) [br] {{{-1 [[이탈리아]] [[몬차]]}}} || || {{{#000000,#e5e5e5 '''소속''' }}} || {{{#000000,#e5e5e5 드라이버 [br] (F1)}}} ||페라리 (1956~1961) || ||<-3> '''정보 더 보기'''[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000000,#e5e5e5 '''출전 횟수'''}}} || 29경기 || || {{{#000000,#e5e5e5 '''월드 챔피언'''}}} ||0회 || || {{{#000000,#e5e5e5 '''그랑프리 우승'''}}} ||2회 || || {{{#000000,#e5e5e5 '''포디움'''}}} ||6회 || || {{{#000000,#e5e5e5 '''폴 포지션'''}}} ||1회 || || {{{#000000,#e5e5e5 '''패스티스트 랩'''}}} ||0회 || || {{{#000000,#e5e5e5 '''첫 경기'''}}} ||1956년 영국 그랑프리 || || {{{#000000,#e5e5e5 '''첫 그랑프리 우승'''}}} ||1961년 네덜란드 그랑프리 || || {{{#000000,#e5e5e5 '''마지막 그랑프리 우승'''}}} ||1961년 영국 그랑프리 || || {{{#000000,#e5e5e5 '''마지막 경기'''}}} ||1961년 이탈리아 그랑프리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전 [[포뮬러 1]] 드라이버. 1956년에 데뷔하여 1961년까지 활동하였다. '귀족 스포츠'로서의 포뮬러 1을 대표하는 인물로, 'von'이 붙는 성씨에서 알 수 있듯이 정말로 독일 귀족이었다. 1956년 F1에 데뷔한 후 한두 경기씩 띄엄띄엄 출전하다가 1958년 마지막 6경기 중 5경기에 연달아 참여했고, 1960년부터 페라리 워크스 소속으로 풀 시즌 참가를 시작하게 된다. F1 말고도 F2와 타르가 플로리오 등의 경기에 출전하며 우승하기도 했고, 1960 F1 챔피언십 시즌에서 남들 다 [[MR(자동차)|리어 미드십]]으로 넘어가는 와중에 프론트 엔진이었던 디노 246으로 수 차례의 포인트 피니시를 기록하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남겼으며, 1961년 페라리가 새로운 규정을 잘 해석하여 위닝 카를 내놓자 우승권에서 다투기 시작한다. 1961 챔피언십 시즌의 2라운드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첫 우승 컵을 들어올린 것을 시작으로 우승과 2위를 각각 2번 달성하였고, 팀메이트 [[필 힐]]과 챔피언 경쟁을 하였다. 7라운드 이탈리아 그랑프리를 앞두고 폰트립스는 33포인트, 힐은 29포인트로 폰트립스가 챔피언십을 리드하고 있었고, 경기 하나에 배정되는 포인트가 적었던 당시로서는 폰트립스의 우승 가능성이 매우 높게 점쳐지는 상황이었다. == 사망 == 그러나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레이스 도중 [[짐 클락]]과 충돌해 관중 무리를 전복된 채로 휩쓸면서 15명의 관중과 함께 사망하였다. [[필 힐]]은 이 그랑프리에서 우승하여 34포인트를 만들었다. 페라리는 8라운드이자 최종전인 미국 그랑프리에 참전하지 않았고, 어쨌거나 폰트립스의 사망으로 힐이 1961년 월드 챔피언이 되었다. 관중과 연관된 사고가 적었던 F1에서 관중이 무려 15명이나 사망한 사고였고, [[르망 참사]]의 상처가 아직 다 아물지 않은 시기였기 때문에 당시에 난리가 났었다. 클락은 이 일로 인해 비난을 받기도 했는데, 모두가 피할 수 없는 사고였다며 클락을 변호했지만 클락도 크게 동요했다고 한다.[* 클락은 1960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앞에서 사고가 나 트랙 위에 널브러진 드라이버의 시체를 칠 뻔하고 간신히 피한 적도 있었는데 폰트립스와의 사고까지 겪게 되어 심적으로 좋지 않은 시기를 보내게 되었다.] 초창기 F1이 잃은 수많은 보석들 중 하나. 특히 챔피언을 눈앞에 두고 사망한 만큼 많이 아쉬운 드라이버이다. == 기타 == * 진단 받은 적은 없지만 당뇨가 있었다고 한다. 어렸을 때는 배고프면 쓰러지는 경우도 있었다.[* 부모님이 집 밖에서도 자식이 잘 먹고 다니길 위해 학교 근처 호텔에 매달 돈을 지불하고 아들이 배고플 때 밥을 먹을 수 있게 했다.] 때문에 경기 도중 혈당이 낮아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항상 경기 전에 단것을 먹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때 자기 성에 침입한(...) 미군들에게서 영어를 배웠다. 따라서 유럽인이지만 미국식 영어를 구사했다고. * 성씨 중 하나인 Reichsgraf는 [[제국백]]이라는 [[신성 로마 제국]]에만 있는 희귀한 작위로, 트립스 외에 [[막시밀리안 폰 슈페]] [[제독]]도 이 작위를 가졌다. [[분류:독일의 포뮬러 1 드라이버]][[분류:1928년 출생]][[분류:1956년 데뷔]][[분류:라인란트팔츠 주 출신 인물]][[분류: 스쿠데리아 페라리/은퇴, 이적]][[분류:1961년 사망]][[분류:자동차 사고로 죽은 인물]][[분류:포뮬러 1 드라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