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함선)] [include(틀:현대전/미국 함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68 볼티모어.png|width=100%]]}}} || || '''Baltimore-class Heavy Cruiser''' || [목차] [clearfix] == 개요 == 볼티모어급 중순양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에서 건조된 [[중순양함]]이다. 조약으로 인한 배수량 제한 때문에 화력에 비해 방어력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는 각국의 중순양함과는 다르게 빈슨-웰치법에 근거해 조약의 제한을 받지 않아 8인치 탄에 대한 대응방어능력 및 적절한 어뢰 방어 능력을 갖추었고, 초중량탄(Super Heavy Shell)[* 약칭 SHS. 중량을 늘린 신형탄을 고장약으로 사격하여 더 나은 에너지 보존성과 관통 후 위력을 목지한 탄이다.][* 사정거리 주는 것이 문제라는 생각이 들겠지만 30킬로미터 이상이면 비유도 탄이면 어지간 해서는 맞추기 쉽지 않다. 거기다 이동중인 해상 표적이다.] 사용이 가능한 8인치 3연장 함포 3기[* 3x3으로 총 9문]라는 준수한 화력, 그리고 VT 신관 사용이 가능한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5인치 양용포 2연장]] 6기[* 2x6으로 총 12문]및 40mm 기관포 및 20mm 기관포 다수[* 기본적으로 40mm 보포스 4연장 12기(=48문), 20mm 오리콘 단장 22문]로 이루어진 막강한 대공화력을 갖춘 자타공인 2차대전 중 최강의 중순양함이다. 독일이나 일본과는 달리 어뢰를 탑재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원래 1차 대전기까지는 대형함도 [[어뢰]]를 탑재해서 수선하에 어뢰 발사관이 있는 전함도 있었지만 점점 대형함은 장착하지 않게 되었다. 1차대전기 전함의 특징인 포곽식 부포와 수선하 어뢰 발사관, 그리고 [[https://www.google.co.kr/search?hl=ko&q=%EB%B0%A9%EB%A2%B0%EB%A7%9D&sourceid=ie7&rls=com.microsoft:ko-KR:IE-Address&ie=&oe=&rlz=&gfe_rd=cr&ei=9wq3VLXaCqmT8QeqioGoAQ&gws_rd=ssl|방뢰망]]은 항해성능을 깎아먹고 데미지 컨트롤에 마이너스가 된다는 결론이 나 후기로 갈수록 없어졌다. 볼티모어급도 이런 추세를 따라간 셈이다. 물론 [[자바 해전]]이나 [[사보섬 해전]]처럼 중순양함에 의한 뇌격이 성공한 사례도 있다. 그러나 미국은 반응성과 명중률이 낮은 어뢰보단 우수한 사격통제와 함포의 화력으로 즉각 대응하는게 압도가 가능하다고 보아 어뢰를 과감히 배제하고 중장갑 고화력에 집중하였다. 후계 함급인 [[디모인급 중순양함]]은 대전이 끝난 이후에나 배치되었으므로 실제적으로 2차대전 중순양함의 최종보스. 대형화된 함체와 우수한 전자장비로 항해 능력도 뛰어난 편이었다. 볼티모어급은 14척 건조가 예정되어 14척 모두 완공되었고 일부는 전후에 완공되었다. 볼티모어급을 약간 개량한 [[오리건시티급]]이 볼티모어급의 후계함으로 10척 건조가 예정되었으나 4척만이 완공되었다. == 외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136 시카고.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G-1 보스턴.png|width=100%]]}}}|| || {{{#fff '''CA-136 시카고,,(1945.05.07),,'''}}} || {{{#fff '''CAG-1 보스턴,,(1967.01.10),,'''}}} || ||<-2> {{{#fff '''Baltimore-class heavy cruiser'''}}} ||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볼티모어급 중순양함 ==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볼티모어급의 제원 || ||진수 ||[[1942년]] [[7월]] || ||취역 ||[[1943년]] [[4월]] ~ [[1971년]] || ||퇴역 ||[[1946년]] [[7월]] || ||재취역 ||[[1951년]] [[11월]] || ||퇴역 ||[[1956년]] [[5월]] || ||충돌 ||[[1971년]] [[2월]] || ||해체 ||[[1972년]] [[5월]] || ||건조 ||14척 || ||기준배수량 ||14,472톤 || ||만재배수량 ||17,273톤 || ||전장 ||205.3m || ||전폭 ||21.6m || ||흘수 ||7.3m || ||최대출력 ||120,000hp || ||최대속력 ||33노트 || ||항속력 ||15노트 순항시 10,000해리(설계 당시), 15노트 순항시 7,900해리(실제 수치)|| ||<|4>무장 ||8인치(203mm) 3연장 주포탑 3기 (총 9문) || ||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5인치(127mm) 2연장 양용포탑 6기]] (총 12문) || ||40mm 4연장 기관포 12기 (총 48문) || ||20mm 단장 기관포 24기 (총 24문) || ||탑재기 ||수상기 x 2기 || ||승무원 ||1,146명 || == 실전 == 네임쉽인 볼티모어는 1941년 5월 26일에 메사추세츠 주 퀸시의 베들레헴 사의 폴 리버 조선소에서 기공해 1942년 7월 28일에 진수 후 1943년 4월 15일에 완공되어 초대함장 W. C. 켈러헌 대령의[* 과달카날 해전에서 일본군 함대와 교전 중 전사, 명예훈장을 사후 수훈한 다니엘 캘러헌 소장의 동생이다.] 지휘하에 취역하여 태평양함대에 배속되었다. 1943년 11월부터 1944년 6월까지 볼티모어는 마킨 섬 상륙작전, 퀘젤린 침공, 트럭 섬 공격, 에니웨톡 전투, 마리아나 제도 공격, 팔라우 공격, 홀랜디아 상륙지원, 마커스 섬 공습, 웨이크 공습, [[사이판 전투]] 및 [[필리핀 해 해전]]에 참가해 화력지원과 항모 대공호위에 종사했다. 1944년 7월에 귀국한 볼티모어는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과 일행을 태우고 진주만을 향해 출항해 대통령의 니미츠 제독, 맥아더 장군과의 회담장을 마련한 후 알래스카로 향하여 1944년 8월 9일에 귀환했다. 볼티모어는 1944년 11월에 전선에 복귀해 제 3함대에 배치되어 루손 섬 공격, 대만 공습에 참가한 후 중국 연안부의 일본군 시설과 오키나와 섬을 공격했다. 1945년 1월 26일에 볼티모어는 제 5함대와 합류해 일본본토 공격에 나선 후 2월 19일에 [[이오지마 전투]]에 종사한 후 3월에 다시 오키나와로 돌아와 제 5함대와 함께 6월 10일까지 작전에 종사했다. 8월 15일에 일본이 항복하자 볼티모어는 매직 카페트 작전에 나서 귀환병 수송에 투입되어 일본점령지의 귀환병을 싣고 1946년 2월 17일에 귀국한 후 7월 8일에 브래머튼에서 예비역이 되었다. 볼티모어는 1951년 11월 28일에 재취역해 대서양함대에 배속된 후 1954년까지 제 6함대의 일원으로 지중해에서 활동했다. 1953년 6월엔 미해군의 대표로 스핏헤드에서 열린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 기념 관함식에 참가하기도 했는데 1955년 1월 5일에 태평양함대로 이동하여 2월부터 8월까지 제 7함대의 일원으로 극동지역에 배치되었다. 볼티모어는 1956년 5월 31일에 워싱턴 주 브래머튼에서 다시 예비역이 되어 보관되다가 1971년 2월 15일에 함적에서 제적된 후, 마침내 1972년 5월 10일에 매각되어 오리건 주의 포틀랜드에서 해체가 이루어졌다. == 미사일 순양함으로 개수 == === 보스턴급 방공미사일 중순양함: CAG-1, CAG-2 ===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보스턴급 미사일 중순양함의 제원 || |||| 운용과 퇴역 || ||진수 ||[[1942년]] [[6월]] || ||취역 ||[[1955년]] [[11월]] || ||퇴역 ||[[1970년]] [[5월]] || |||| || ||총 생산 ||2척 || ||배수량 ||13,600톤 || ||전장 ||205.2m || ||전폭 ||21.9m || ||흘수 ||8.2m || ||최대출력 ||120,000hp || ||최대속력 ||33노트 || ||<|4>무장 ||8인치(203mm) 3연장 주포탑 x 2기 || ||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5인치(127mm) 연장 양용포탑]] x 5기 || ||3인치(76mm) 단장 대공포탑 12기 || ||2연장 [[RIM-2 테리어]] [[SAM]] 발사기 x 2 || ||승무원 ||1,142명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Boston_Cruiser.jpg]] [[1967년]] [[2월 10일]], 미사일 순양함으로 개장한 후의 USS 보스턴함 (CAG-1) [youtube(ghCaBHA8mD0)] '''USS Boston ( CAG-1 ) New Terrier Missiles - 1956''' 볼티모어급 [[보스턴]]과 캔버라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미사일 중순양함으로 개조되었다. 이 2척은 이후 보스턴급 미사일 순양함이나 중순양함으로 불린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IM-2_Terrier_on_board_USS_Boston_%28CAG-1%29.jpg|width=600]] 이것은 [[RIM-2 테리어]](Terrier) 2연장 [[대공 미사일]] 발사기를 장착하여 현대적인 방공망을 구성하고 있다. RIM-2 테리어는 [[SM-1]] MR의 원형에 가까운 물건으로 사거리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RIM-2 테리어]]가 구성하고 있는 미사일은 속도가 마하 3에 달하며 32km의 사거리를 가지고 있다. === CG-11, CG-12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Columbus_CG-12.jpg]] [[1965년]] [[2월 19일]], USS Columbus (CG-12) [[파일:external/e6eb79648e03560bd7808b73fdf12ce6fd3b86157d5a2c33832f22d2a75a2789.jpg]] [[1965년]] [[10월 5일]], [[RIM-24 타터]]를 운용하는 CG-12 콜럼버스함. |||| 장착된 것으로 예상되는 무장 || ||<|2>대공 선택 ||[[RIM-8 탈로스]] - 2 x 2 연장 탈로스 [[SAM]] 발사 시스템 || ||[[RIM-24 타터]] - 2 x 2 연장 탈로스 SAM 발사 시스템 || ||대잠 ||1 x 8연장 [[ASROC]] 발사 시스템 || ||대잠 ||2 x 3연장 이뢰 발사관; Mk-32 어뢰 발사 시스템 || CA-136 [[시카고]]함과 CA-74 [[콜럼버스]]는 [[알바니급 순양함|알바니급]] 방공 미사일 순양함으로 개조된 후 함번을 CG-11, CG-12로 변경했다. == 동형함 == ||<-4> '''볼티모어급 중순양함'''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함명[br](함종선체부호) ||<-2> 건조 || 비고 || ||<|3> '''볼티모어'''[br](CA-68) || 기공 || 1941-05-26||<|3> *퇴역 ,,(1946-07-08),, *재취역 *,,(1951-11-28 ~ 1956-05-31),, *해체 ,,(1972),, || || 진수 || 1942-07-28 || || 취역 || 1943-04-15 || ||<|3> '''보스턴'''[br](CA-69) || 기공 || 1941-06-30||<|3> *퇴역 ,,(1946-10-29),, *CAG-1로 함종변경 ,,(1952-01-04),, *재취역 *,,(1955-11-01 ~ 1970-05-05),, *매각 이후 해체 ,,(1975-03-28),, || || 진수 || 1942-08-26 || || 취역 || 1943-06-30 || ||<|3> '''캔버라'''[br](CA-70) || 기공 || 1941-09-03||<|3> *퇴역 ,,(1947-03-07),, *CAG-2로 함종변경 ,,(1952-01-04),, *재취역 *,,(1956-06-15 ~ 1970-02-02),, *매각 이후 해체 ,,(1980-07-31),, || || 진수 || 1943-04-19 || || 취역 || 1943-10-14 || ||<|3> '''퀸시'''[br](CA-71) || 기공 || 1941-10-29||<|3> *퇴역 ,,(1946-10-19),, *재취역 *,,(1952-01-31 ~ 1954-07-02),, *해체 ,,(1974),, || || 진수 || 1943-06-23 || || 취역 || 1943-12-15 || ||<|3> '''피츠버그'''[br](CA-72) || 기공 || 1943-02-03||<|3> *퇴역 ,,(1947-03-07),, *재취역 *,,(1951-09-25 ~ 1956-08-28),, *해체 ,,(1974),, || || 진수 || 1944-02-22 || || 취역 || 1944-10-10 || ||<|3> '''세인트폴'''[br](CA-73) || 기공 || 1943-02-03||<|3> *퇴역,,(1971-04-30),, *해체,,(1980),, || || 진수 || 1944-09-16 || || 취역 || 1945-02-17 || ||<|3> '''콜롬버스'''[br](CA-74) || 기공 || 1943-06-28||<|3> *퇴역 ,,(1959-05-08),, *CG-12로 함종 변경 ,,(1959-09-30),, *재취역 *,,(1962-12-01 ~ 1975-01-31),, *해체 ,,(1977-10-03),, || || 진수 || 1944-11-30 || || 취역 || 1945-06-08 || ||<|3> '''헬레나'''[br](CA-75) || 기공 || 1943-09-09||<|3> *퇴역 ,,(1963-06-29),, *해체 ,,(1975),, || || 진수 || 1945-04-28 || || 취역 || 1945-09-04 || ||<|3> '''브레머턴'''[br](CA-130) || 기공 || 1943-02-01||<|3> *퇴역 ,,(1948-04-09),, *재취역 ,,(1951-11-23 ~ 1960-07-29),, *해체 ,,(1974),, || || 진수 || 1944-07-02 || || 취역 || 1945-04-29 || ||<|3> '''폴 리버'''[br](CA-131) || 기공 || 1943-04-12||<|3> *퇴역 ,,(1947-10-31),, *해체 ,,(1972),, || || 진수 || 1944-08-13 || || 취역 || 1945-07-01 || ||<|3> '''메이컨'''[br](CA-132) || 기공 || 1943-06-14||<|3> *퇴역 ,,(1950-04-12),, *재취역 *,,(1950-10-16 ~ 1961-03-10),, *해체 ,,(1972),, || || 진수 || 1944-10-15 || || 취역 || 1945-08-26 || ||<|3> '''톨레도'''[br](CA-133) || 기공 || 1943-09-13||<|3> *퇴역 ,,(1960-05-21),, *해체 ,,(1975),, || || 진수 || 1945-05-06 || || 취역 || 1946-10-27 || ||<|3> '''로스엔젤레스'''[br](CA-135) || 기공 || 1943-07-28||<|3> *퇴역 ,,(1948-04-09),, *재취역 *,,(1951-01-27 ~ 1963-11-15),, *해체 ,,(1975),, || || 진수 || 1944-08-20 || || 취역 || 1945-07-22 || ||<|3> '''시카고'''[br](CA-136) || 기공 || 1943-07-28 ||<|3> *퇴역 ,,(1947-06-06),, *CG-11로 함종 변경 ,,(1958-11-01),, *재취역 *,,(1964-05-02 ~ 1980-03-01),, *해체 ,,(1991-12-09),, || || 진수 || 1944-08-20 || || 취역 || 1945-01-10 || }}}}}}}}} || CA-71 퀸시는 [[사보섬 해전]]에서 홀로 일본군 제 8함대에 대항하다가 장렬한 최후를 마친 [[뉴올리언스급 중순양함]] 퀸시의 이름을 계승했다. === CA-70/CAG-2 캔버라함(USS Canberra)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Canberra_CAG-2.jpg]] [youtube(FG-H_fQTTkk)] [[1967년]] [[남중국해]], USS COLLETT/USS ZELIMA UNREP: USS Collett (DD-730), USS Canberra (CAG-2). CA-70 캔버라는 미 해군의 볼티모어급 중순양함 3번함이다. 처음에는 [[피츠버그]]로 명명될 예정이었다. [[1942년]] [[8월 8일]] ~ [[8월 9일]], [[사보섬 해전]]에서 [[호주]]의 중순양함 [[캔버라]]가 일본군의 공격으로 침몰했다. 이에 미국은 호주의 캔버라를 기리기 위해 볼티모어급 3번함에 ''''캔버라''''라는 이름을 붙였다. [[1941년]] [[9월 3일]], [[메사추세츠]] 주 퀸시의 베들레헴 제철소의 [[폴리버]] 조선소에서 볼티모어급의 3번함인 캔버라는 건조되기 시작했고 [[1943년]] [[4월 19일]], 진수에 들어갔다. [[1943년]] [[10월 14일]], 캔버라는 제작이 완료되었다. [[1944년]] [[6월]], 여러가지 작업과 시운전, 훈련을 한 후 캔버라는 미 해군 제58 임무부대에 소속되었고 동시에 [[마리아나의 칠면조 사냥|마리아나 해전]]에 참가한다. [[1944년]] [[10월 13일]], 캔버라는 미 해군 제38 임무부대에 전속하였고 일본이 점령한 대만 공격에 참가했다. 결국 캔버라는 대만해협의 항공전에도 참가했다. 이후 캔버라급은 미사일 방공중순양함으로 개조되며 CAG-2라는 함번을 부여받았다. == 북한의 [[프로파간다|선전]] 조작 == 북한은 1950년 7월 2일 [[주문진항 해전]] 당시 북한 해군 [[어뢰정]] 4척이 미국의 순양함 '''발찌모르'''[* '볼티모어'의 러시아식 표기 발티모르(Балтимор)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표기가 이렇다.]를 격침시켰다고 주장하며 '세계해전사에 유일무이한 기적' '세계해전사에 수수께끼를 남긴 주문진 앞바다에서의 기적'이라는 식의 대대적인 선전을 하고 격침시켰다는 어뢰정을 전시하는 등 공식 역사에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결과는 북한의 선전과는 전혀 다르다. 이 해전에서 유엔 해군의 피해는 전혀 없었던 반면에 북한은 어뢰정 4척중 3척이 격침되었고 1척은 도주했다. UN군의 전력은 미국 경순양함 1척과 영국 경순양함 1척, 호위함 1척이었고 정작 볼티모어는 물론이고 볼티모어급도 해당 해역에 있지 않았다. 애초에 볼티모어는 1946년에 이미 퇴역한 상태였다.[* 주문진항 해전이 벌어진 이듬해인 1951년에 재취역하여 대서양 함대에 배치되었다.] 결국 북한의 주장은 사실일 수 없다. 한국의 [[종북주의자]]들이 이 날조 소설을 그대로 베껴서 국내 웹에 퍼트리면서 이 주장이 국내에 알려졌는데, 곧 국내 밀리터리 매니아들에 의해 애초에 그날의 전투에 볼티모어급이 참전한 적도 없고 격침된 연합국 함선도 없다는 점을 밝혀내어 논파하였다. 그러자 종북주의자들은 [[인지부조화]]를 느끼며 볼티모어함이 아니라 볼티모어급의 보스턴함이 격침되었는데 미국이 몰래 보스턴함을 재건조하여 이를 감췄다고 억지를 부렸으나 월간 [[플래툰(잡지)|플래툰]] 지에서 다시 한번[[https://bemil.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16/2016111602419.html|이 망상을 박살]]낸 후로는 잠잠해진 편이다.[* 사실 종북주의자들의 주장보다는 훨씬 신빙성이 높지만 반박으로는 그다지 정교하지 못하다. 추정이 대부분이며 실질적인 해양탐사를 통한 시원한 반박은 없다. 격침된 군함은 기본적으로 무거운 장갑이 있으므로 멀리 떠내려가지 않고 격침된 곳 부근의 해저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주문진 앞바다 해양탐사 한 번만 돌려도 이 헛소리는 확실하게 반박될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북한이 볼티모어급을 격침시켰다는 것이 말이 된다는 의미는 절대 아니다.][* 종북주의자들의 변명이 또한 우스운데, 격침된 것은 볼티모어가 아니라 한국전 기간동안 아무 기록이 없는 동형함 보스턴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굳이 한국에는 오지도 않았던 보스턴을 끌어들일 필요도 없이 동형함인 헬레나가 한국전에 참전했다([[포항 철수작전]] 당시 육군 제3사단의 철수를 엄호). 그러나 헬레나가 격침당하지 않은 것은 너무나도 자명하기 때문에 건드리지 못했던 듯하다.] 북한에서는 이 볼티모어함을 격침시킨게 김군옥 정장이었다며 대대적인 선전을 하고 있으며, 2023년 9월 공개한 전술핵 공격이 가능한 잠수함이라는 로미오급 개조 잠수함[[https://m.khan.co.kr/politics/defense-diplomacy/article/202309081709001|#]]에 [[김군옥영웅함]]이란 이름을 붙였다. == 매체에서 == [[파일:OrionCC.png]] *[[DEAD AHEAD]]에서 나오는 오리온 순양함 카파는 볼티모어를 기반으로 만들었다. [[파일:external/wiki.gcdn.co/Carousel_USS_Baltimore.jpg]] [[http://wiki.gcdn.co/images/7/71/Baltimore_02_WorldOfWarships_Screens.jpg]] * [[월드 오브 워쉽]] 미국 8티어 순양함으로 나왔다.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서는 미국 7티어 순양함으로 미국 테크트리의 최종 순양함이다. [[파일:external/navyfield.co.kr/Baltimore.gif]] * 게임 [[네이비필드]]에서 사우스다코타 라인의 첫 중순양함으로 등장한다. 탈조약 중순양함답게 강력한 성능을 보여준다. 옛날 해상전격전 레벨제가 낮았을 때는 은 4줄 볼티모어가 전격방의 깡패였었다. 주로 뉴올리언스의 주포였던 Mark.13 포를 장착하는데 이게 저레벨에서도 집탄이 잘나오는 명품포이기 때문에 안그래도 좋은 함체와 시너지를 일으켜 흔히 떡집탄으로 불리는 높은 집탄율이 나와 초보들이 타도 괜찮은 성능을 보였다. 물론 딱렙에 타면 집탄은커녕 산탄포로 변신하고 5레벨 정도 올려서 타야 슬슬 집탄이 나온다. 대전기 미국순양함답게 강력한 대공방어력도 한몫한다. 어디 흠 잡을데 없이 "이것이 중순양함이다"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명품 함선이다. 개그포로 12인치 2연장을 달 수 있는데 최대 고각이 15도밖에 안되는데다가 사거리도 구축함 수준이라 존재 이유를 모르는 포이지만 가끔 대함대전에서 볼티모어에 달고 돌격하는 굇수들이 있다. * 게임 [[Naval front line]]에서 미 해군 중순양함으로 나온다. * 게임 [[전함소녀]]에서 네임쉽 [[볼티모어(전함소녀)|볼티모어]]가 군악대 고적대장 컨셉으로 등장한다. 모티브는 [[킬라킬]]의 [[자쿠즈레 노논]]인 모양이다. 2번함 보스턴도 등장한다. [[파일:Naval Creed 볼티모어.png]] * 게임 [[Naval Creed:Warships]]에서 [[Naval Creed:Warships/미국 테크 트리/순양함 #s-1.3.2|정규트리 4티어 중순양함]]으로 등장한다, 좋은 성능을 가진 중순양함이며, 균형이 잘 잡힌 순양함으로 평가받고 있다. * 게임 [[벽람항로]]에서도 [[볼티모어(벽람항로)|등]][[브레머턴(벽람항로)|장]]한다. * 만화 [[땡땡의 모험]] 시리즈 중 <노예선>(홍해의 상어들)편에서도 CA-135 로스엔젤레스 함이 등장한다. 라스타포풀로스의 부하들과 라스타포풀로스가 매수한 [[크릭스마리네]] 승조원들이 탄 [[유보트]] 잠수함에 공격받던 땡땡 일행이 보낸 SOS 신호를 받고는 [[OS2U 킹피셔]] 수상기를 보내 폭뢰공격을 해주면서 이들을 구출하며, 이후 라스타포풀로스 체포 시도 때까지도 동행한다. *[[워 썬더]]에서 2020년 OPERATION W.I.N.T.E.R이벤트에서 보상으로 등장한다.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방공화력으로 3~4km 이내 들어온 적기는 물고기밥으로 만들어버린다...--방공순양함-- == 관련 문서 == * [[http://en.wikipedia.org/wiki/Baltimore_class_cruiser|Baltimore-class cruiser]] * [[http://en.wikipedia.org/wiki/Boston_class_cruiser|Boston-class cruiser]] * [[해상 병기/세계 대전]] [[분류:순양함]][[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1943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