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덴마크의 록 밴드, rd1=볼비트(밴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88960e><-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312_f00_s0.png|width=40]] 0312 [[마이농]] || [[파일:icon0313_f00_s0.png|width=40]] '''0313 {{{#000,#fff 볼비트}}}''' || [[파일:icon0314_f00_s0.png|width=40]] 0314 [[네오비트]] || ||<#88960e><-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cc3366><-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3세대#호연도감 목록|{{{#FFFFFF 호연도감(ORAS)}}}]]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01MS.png]] 088 [[붐볼]]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13MS.png]] '''089 {{{#000,#fff 볼비트}}}'''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14MS.png]] 090 [[네오비트]] || ||<#5a5aff><-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6세대#센트럴칼로스도감|{{{#FFFFFF 센트럴칼로스도감}}}]] || || [[파일:685스위치아이콘.png]] 132 [[나루림]]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13MS.png]] '''133 {{{#000,#fff 볼비트}}}'''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14MS.png]] 134 [[네오비트]]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북신도감(DLC)|북신]] || || [[파일:262MS.png|width=40]] 008 [[그라에나]] || [[파일:313MS.png|width=40]] '''009 볼비트''' || [[파일:314MS.png|width=40]] 010 [[네오비트]] || }}}}}}}}} || }}} ||<#88960e>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모습|모습]][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앵커-전용기|전용기]][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313 볼비트.png|width=50%]] || || 볼비트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88960e> {{{#FFFFFF 이름}}} ||<#88960e> {{{#FFFFFF 도감 번호}}} ||<#88960e>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313_f00_s0.png|width=40]][br]'''볼비트''' [br] バルビート(바루비-토) [br] Volbeat || 전국: 0313[br]호연: 086^^RSE^^ / 089^^ORAS^^[br]센트럴칼로스: 133[br]팔데아: 009^^북신^^ || [include(틀:벌레타입)] || [anchor(앵커-특성)] ||<-2><#88960e> [[포켓몬스터/특성|{{{#white 특성}}}]]{{{#FFFFFF (}}}[[포켓몬스터/특성#s-1.1|{{{#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은 *)}}} || || [[포켓몬스터/특성/ㅂ#발광|발광]] || 이 포켓몬이 선두일 시 야생포켓몬의 출현률이 2배로 오른다. || || [[포켓몬스터/특성/ㅂ#벌레의알림|벌레의알림]] || 체력이 ⅓ 이하일 시 벌레 타입 기술의 위력이 1.5배 오른다. || || *[[포켓몬스터/특성/ㅈ#짓궂은마음|짓궂은마음]] || 변화 기술의 우선도가 1씩 오른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88960e> {{{#FFFFFF 포켓몬}}} ||<#88960e> {{{#FFFFFF 분류}}} ||<#88960e> {{{#FFFFFF 신장}}} ||<#88960e> {{{#FFFFFF 체중}}} ||<#88960e> {{{#FFFFFF 포획률}}} || || 0313 볼비트 || 반딧불 포켓몬 || 0.7m || 17.7kg || 15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100% || 벌레, 인간형 || 15 || 600,000 || [anchor(앵커-모습)] ||<#88960e><-2> {{{#FFFFFF 모습}}} || ||<#88960e> {{{#FFFFFF 모습}}}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volbeat.gif]] [br]0313 볼비트 || [anchor(앵커-방어 상성)] ||<-3><#88960e>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풀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8960e><-8> [[종족치|{{{#FFFFFF 종족치}}}]] || ||<#88960e> {{{#FFFFFF 포켓몬}}} ||<#88960e> {{{#FFFFFF HP}}} ||<#88960e> {{{#FFFFFF 공격}}} ||<#88960e> {{{#FFFFFF 방어}}} ||<#88960e> {{{#FFFFFF 특수공격}}} ||<#88960e> {{{#FFFFFF 특수방어}}} ||<#88960e> {{{#FFFFFF 스피드}}} ||<#88960e> {{{#FFFFFF 합계}}} || || [[파일:icon0313_f00_s0.png|width=40]][br]볼비트 || 65 || 73 || 75 || 47 || 85 || 85 || 430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313_f00_s0.png|width=40]][br]{{{#FFFFFF 볼비트}}}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88960e>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볼비트#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88960e> [[파일:icon0313_f00_s0.png|width=40]][br]{{{#FFFFFF 0313 볼비트}}} || || 루비/OR ||<|2>해가 지면 꼬리에서 빛을 내고 밝기나 깜박임으로 동료와 대화한다.[br][[네오비트]]의 [[달콤한향기]]에 끌려 다닌다. || || 포켓몬 GO || || 사파이어/AS ||꼬리의 빛을 사용해 집단으로 밤하늘을 기하학적인 도형을 그린다.[br][[네오비트]]가 내는 달콤한향기를 매우 좋아한다. || || 에메랄드 ||꼬리의 빛을 밝혀서 집단으로 밤하늘에 기하학적인 모양을 그린다.[br]연못의 물이 더러워지면 거처를 옮긴다. || || FRLG ||<|3>물이 깨끗한 연못에 서식. 밤이 되면 엉덩이가 빛나고 빛을 깜박여서 동료와 대화. || || Y || || 스칼렛 || || DPPt/BDSP ||<|3>밤이 되면 엉덩이를 빛나게 해 동료와 대화한다.[br][[네오비트]]가 내는 [[달콤한향기]]를 매우 좋아한다. || || BW/BW2 || || X || || HGSS ||<|2>엉덩이의 빛을 반짝거려 동료와 대화한다.[br][[네오비트]]가 내는 달콤한향기를 아주 좋아한다. || || 바이올렛 || ||<-2><#88960e>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anchor(앵커-전용기)] || {{{#white 전용기}}} || || [[반딧불(포켓몬스터)|반딧불]], [[시그널빔]]^^전 전용기^^ || == 소개 == 3세대에서 가장 먼저 공개된 포켓몬 중 하나로, 모티프는 보다시피 [[반딧불이]]. 암컷만 있는 [[네오비트]]와 대조적으로 볼비트는 수컷만 있다. [[니드킹]]/[[니드퀸]]처럼 같은 종의 암/수가 분리된 형태로, [[니드런]]처럼 도감 번호는 다르게 배정되었으나 네오비트의 알에서 50% 확률로 볼비트가 부화할 수 있다. == 스토리 및 포획 == || {{{#fff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 사용불가 || || {{{#ffffff 사유}}} || 너무 낮은 종족값, 수많은 상위호환의 존재 || || {{{#ffffff 기타 사용처}}} || 도감용 || 3세대에서는 [[117번도로]]에서 등장하며, [[네오비트]]와 비교하면 사파이어 버전에서의 출현율이 루비나 에메랄드 버전보다 높다. 리메이크작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얻을 수 있으며 알파 사파이어 버전에서의 출현율이 더 높다. 3세대 당시에는 벌레 타입 포켓몬 중 유일하게 [[시그널빔]]을 자력으로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이었고, 당시에는 이게 물리 기술이었기에 벌레 타입 중에서는 오히려 화력이 강한 편이었다. 그러나 자속 시그널빔 하나를 보고 채용하기에는 전체적인 종족값이 너무 낮다. 리메이크작에서는 네오비트와 달리 [[치근거리기]]나 [[사념의박치기]] 같은 물리기를 제대로 쓸 수 있으므로 네오비트보단 자력기가 좀 낫나 싶지만, 역으로 자속 물리기를 [[유턴(포켓몬스터)|유턴]] 외에는 배우지 못해 딱히 더 좋다고 말할 수도 없게 되었다. [[반딧불]]의 사용자로도 유명하지만 문제는 반딧불 같이 좋은 랭크업 기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특공 종족값이 제일 낮은 사양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4세대 DPPt에서는 [[229번도로]]에서나 네오비트와 함께 등장하기에 스토리에서 쓸 수 없다. BDSP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등장하며, [[지하대동굴]]에서도 등장하지만 전국도감을 입수한 후에야 해금된다. HGSS에서는 [[자연공원]]의 곤충채집 대회와 [[사파리존]]에서 잡을 수 있다. 5세대에서는 블랙, 블랙2에서만 [[하나 3번도로|3번 도로]]에서 [[대량발생]]한다. 6세대에서는 [[칼로스 7번도로|7번도로]]와 벌레 타입의 [[프렌드 사파리]]에서 등장한다. 스토리에서 사용할 수는 있지만, XY 당시에는 치근거리기를 배우지 못해 쓸 수 있는 물리 기술이라곤 노말 타입 기술과 사념의박치기 밖에 없어 상황이 더욱 안 좋다. 대응하는 기술머신은 그럭저럭 있지만, 대부분 낮은 위력이라 네오비트보다 못한 화력이다. 게다가 특수형인 네오비트와 달리 물리형인 볼비트에게는 [[비퀸]], [[아이스크]], [[펜드라]], [[암팰리스]], [[쁘사이저]], [[헤라크로스]], [[스라크]] 등의 너무나 많은 상위호환이 존재한다. 7세대에서는 방어 종족값이 상향해 조금 단단해졌지만 정작 등장이 없다. 8세대에서는 잘려서 없고, 9세대에서는 겨우 DLC로 부활한 포켓몬이다. == 대전 == 4세대에서 [[마나피]]가 등장하기 전까는 [[반딧불]] 기술을 쓸 수 있는 유일한 포켓몬이었다. 반딧불은 특공을 무려 3랭크나 올려주는 최상급 랭업기이지만, 정작 볼비트는 가뜩이나 종족값 총합도 낮은데 물공이 높고 특공은 낮은 이상한 분배까지 받아 도저히 쓰이지 않는 포켓몬이었다. 그러다가 5세대에서 숨겨진 특성이 [[깜까미]]를 [[환골탈태]]시킨 무시무시한 특성인 '''짓궂은마음'''임이 밝혀지면서 화려하게 재조명을 받았다. [[배턴터치]]로 반딧불의 3랭업을 전해줄 수 있는 포켓몬으로 일단 배턴터치만 성공하면 그다음 포켓몬은 3랭업을 받는 괴랄한 포켓몬으로 변하는데, 잘 되면 [[팬텀(포켓몬스터)|팬텀]] 같은 포켓몬으로 '''[[크레세리아]]와 휘석 [[럭키(포켓몬스터)|럭키]]를 원턴킬하는 장관'''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구가 약한 볼비트 입장에서는 기합의 띠를 지니고 반딧불을 쓰는 것이 우선적인 전법. 마땅한 랭업기가 없어 뒷전으로 밀려난 네오비트와는 대조적. 짓궂은 마음을 받아버림으로써 까딱했다간 특공 3랭을 거저 주는 랭크업 후 [[배턴터치]] 전법이 강력해졌지만, 역으로 볼비트가 나온 시점에서 이걸 예상하기 쉽기 때문에 [[도발]] 같은 기술은 주의하자. 그 외에 [[뽐내기]], [[트릭]], [[앵콜(포켓몬스터)|앵콜]], [[순풍]], [[빛의장막]], [[전기자석파]], [[이상한빛]] 등을 입맛대로 활용할 수 있다. 시너지가 잘 맞는 포켓몬은 [[샹델라]], [[후딘]], [[폴리곤(포켓몬스터)|폴리곤Z]] 등의 특수 화력이 강한 포켓몬들이다. 또 특수 쪽에서 요새로 불리우는 [[탱탱겔]]이나 [[크레세리아]]에게 바톤을 던져 주면, 안 그래도 금강불괴 같은 내구에 화력까지 끌어올려지면서 '''진짜 요새가 되어 버린다.''' 또 부가 무장으로 [[번개]]와 [[솔라빔]]을 배우기 때문에 비팟, 쾌청팟과도 상당히 잘 맞는다. 쾌청팟은 불 2배에 쾌청 화력까지 받는 것이 뼈아프지만 그 강력한 기띠가 서폿을 해 주기 때문에 문제 없다. 이 경우엔 [[베이리프]] 같은 벽 포켓몬에게 바톤을 던지는 것이 우선적. 6세대에서 선공으로 비행 타입 기술을 날려대는 [[파이어로]]가 나오면서 주춤한 감이 없잖아 있지만, 여전히 나름 높이 평가받고 있는 바톤형 포켓몬이다. 하지만 6세대 이후로 자주 보이는 선공기들에 한없이 약해진다는 것이 큰 단점이다. 파이어로의 [[브레이브버드]]는 둘째 치더라도 메가[[쁘사이저]]의 [[페인트]]는 배턴터치로 먹고사는 볼비트에게는 그야말로 사형 선고나 다름없다. 7세대에서는 방어가 20, 특방이 10씩 증가하였다. 8세대에서는 메가쁘사이저가 잘렸으나 [[포켓몬 홈/가라르도감 외 포켓몬 전송 불가 논란|볼비트도 존재 자체가 삭제돼버려]]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되었다. 그리고 [[반딧불(포켓몬스터)|반딧불]] 기술 자체가 삭제되면서 복귀해도 암울 그 자체인 상황이었다. 9세대에서는 북산의 고장에서 네오비트와 함께 복귀했다. 그런데, 삭제되었던 반딧불이 다시 복각되면서 짓맘 반딧불 배턴터치 요원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기타 == 가장 비슷하게 운용할 수 있는 녀석은 [[펜드라]]. 안정성 면에서는 짓맘 특성이 받쳐주는 볼비트가 한 수 위이지만, 종족치 자체나 상승폭 면에서는 펜드라가 더 우수하다. 그 전에 펜드라는 [[칼춤]] + 가속인 물리 쪽이고 이 녀석은 특수라 무턱대고 비교하면 안 되겠지만. 색이 다른 모습의 색배치는 마치 [[네오비트]]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다만 색이 다른 네오비트의 색상은 볼비트와 완전 딴판인데다가, 색이 다른 볼비트의 색이 네오비트와 얼굴 색깔과 목에 있는 풍선(?)의 색이 뒤바뀐 모습이라 제작진이 노리고 만들었다고 보긴 힘든 부분. == 관련 문서 == * [[네오비트]] [[분류:3세대 포켓몬]][[분류:벌레타입 포켓몬]][[분류:진화체가 없는 포켓몬]][[분류:단성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