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보트럭|[[파일:볼보 로고.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Volvo_FH_2020.jpg|width=100%]]}}} || || {{{#ffffff '''FH'''}}} || [목차] '''Volvo FH[* ''''F'''orward Control '''H'''igh Height Entry'의 약자.]''' == 개요 == [[스웨덴]] [[볼보트럭]]에서 개발한 캡오버 타입 대형[[트럭]]/[[트랙터(트럭)|트랙터]] 제품군. [[1993년]]에 [[https://c1.staticflickr.com/9/8288/7794295758_3ab96a0ba9_h.jpg|볼보 F 시리즈]]의 후속으로 등장하여 지금까지 40만대 이상 판매되었고, 여전히 생산 중인 볼보의 베스트셀러 트럭이다. [[대한민국]]에서는 [[https://www.volvotrucks.kr/|볼보트럭 코리아]]에서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 역사 == === 1세대 (1993) === || [[파일:Volvo_FH12_460(1998).jpg|width=100%]] || [[파일:Volvo_FH16_520(1995).jpg|width=100%]] || || '''FH12 460 트랙터'''[* 버전98 사양.] || '''FH16 520 트랙터''' || [[1993년]]에 출시된 1세대(Mk1)는 340, 380, 420마력의 12리터급 [[볼보 D12 엔진|D12 디젤 엔진]]을 적용한 '''FH12'''와, 470, 520마력의 16리터급 [[볼보 D16 엔진|D16 디젤 엔진]]을 적용한 '''FH16'''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되었다. 다음 해인 [[1994년]]에 글로브트로터(Globetrotter) XL 캡을 추가, '[[올해의 트럭]]'을 수상하였고, 이듬해인 [[1995년]]에 대형트럭 최초로 SRS [[에어백]]을 적용하는 등 여러모로 혁신적이였던 트럭이었다. 한국에는 대우자동차(현 [[타타대우상용차]])를 통한 볼보트럭의 위탁 판매를 종료한 이후인 [[1997년]] [[6월 10일]]에 볼보트럭코리아가 직접 판매에 나서면서 처음으로 출시했었던 차종이었다. 당시 판매되었던 1호차는 빨간색 FH12 420마력 차종이다.[[http://www.vtk-magazine.co.kr/_img_m/2017/02/cont/20th_01_01.jpg|#]] [[1998년]]에 하위 모델인 [[볼보 FM|FM 시리즈]]를 출시하면서 FH12 시리즈도 몇몇 부분이 개량된 버전98이 출시되었다. FM 시리즈와 공유하는 새로운 420마력 D12C 엔진과 [[유럽 배출가스 기준|유로]] 3 충족의 새로운 460마력 엔진, VT2514 [[수동변속기]], TEA(Truck Electronic Architecture) 전자제어 시스템을 적용했다. 한국에 [[1999년]] [[8월 27일]]에 [[http://www.carpang.com/job/bbs/board.php?bo_table=cl_2_1&wr_id=11297|출시]]되었으며 파란색 캡으로 일명 청볼보 또는 보라돌이라고 불리웠으며 이때부터 한국서 볼보 FH12의 판매량이 늘기 시작하였으며, 지금도 길에서 가끔씩 볼 수 있다. [[2000년]]에 '올해의 트럭'을 수상했다. 참고로 1999년 [[몽블랑 터널 화재]] 참사의 시발점이 바로 이 모델이었다. 해당 사고로 볼보트럭은 고소당할 뻔했지만 이후 밝혀진 사고 원인이 볼보트럭과 전혀 관계가 없었기 때문에[* 다른 차량 운전자가 도로에 버린 담배꽁초가 트럭 공기흡입구로 빨려들어가면서 화재가 발생했다.] 없던 일로 처리되었다. 오히려 볼보트럭 입장에서는 차량의 이미지를 말아먹은 억울한 케이스. ==== 차량 옵션 ==== * '''엔진''' || '''엔진''' || '''기관 형식''' || '''배기량''' || '''최대 출력''' || '''최대 토크''' || '''유로규제''' || ||<|3> '''D12A''' ||<|13> 직렬 6기통 ||<|3> 12.1리터 || 340마력 || 173 kgf·m ||<|5> 유로1[br]유로2 || || 380마력 || 189 kgf·m || || 420마력 || 204 kgf·m || ||<|2> '''D16A''' ||<|2> 16.1리터 || 470마력 || 220 kgf·m || || 520마력 || 245 kgf·m || ||<|4> '''D12C''' ||<|4> 12.1리터 || 340마력 || 173 kgf·m ||<|5> 2[br]3 || || 380마력 || 189 kgf·m || || 420마력 || 204 kgf·m || || 460마력 || 224 kgf·m || ||<|5> '''D16B''' ||<|2> 16.1리터 || 520마력 || 245 kgf·m || === 2세대 (2002) === || [[파일:Volvo_FH12_500(2002).jpg|width=100%]] || [[파일:Volvo_FH16_660(2006).jpg|width=100%]] || || '''FH12 500 트랙터''' || '''FH16 660 트랙터''' || [[2002년]]에 출시된 Mk2는 새롭게 유선형으로 디자인된 캡과 FUPS(Front Underrun Protection System) 하부 범퍼[* 상대적으로 차고가 낮은 일반 승용차들과 충돌했을 경우 트럭 아래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주는 범퍼다.]를 적용했으며, 내부적으로는 [[과급기|터보차져]]의 효율을 높여주는 [[터보 컴파운드]](Turbo Compound, TC)와 현 볼보 상용차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I-shift [[자동화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2003년]]에 FH16 시리즈에 새로운 D16C 엔진을 선보였다. 550마력, 610마력 두 모델이 출시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2년 3월 28일에 2세대 볼보 FM12(일명 오렌지 볼보)가 출시되면서 FM12를 밀어주기 위해 FH12를 일시적으로 단종시키면서 신모델이 아예 투입되지 않았다가, 이듬해인 2003년 8월 18일에 6X2 트랙터로 다시 투입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0436229|#]] 캡의 색갈이 쑥색이라서 일명 '''쑥볼보'''라고 불리웠다.[* 초반엔 은색으로 출시 후 2004년부터 쑥색으로 출시] [[파일:Volvo_FH_480(2005).jpg|width=600]] [[2005년]]에 13리터급 480마력 [[볼보 D13 엔진|D13 엔진]]을 출시하면서 D12 엔진을 단종시켰고[* 2006년에 [[일본]] 시장 전용 모델 엔진인 D12F(최대 500마력)를 마지막으로 생산이 종료된다.], 이와 동시에 기존 FH12의 명칭에서 배기량 숫자를 삭제하여 FH로 수정했다. 즉, 이때부터 '''13리터급 FH'''와 '''16리터급 FH16''' 두가지 모델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비공식적으로는 FH13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SCR]]이 적용된 D16E 엔진은 580마력, 600마력, 660마력 세 모델이 출시되었다. 이때 생산된 모델들을 FH16 인텔리전트 파워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에는 [[2006년]] [[3월 23일]]에 출시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0366119|#]][* FH 덤프와 표준캡 사양은 청록색, 글로브트로터캡 사양은 황금색] ==== 차량 옵션 ==== * '''엔진''' || '''엔진''' || '''기관 형식''' || '''배기량''' || '''최대 출력''' || '''최대 토크''' || '''유로규제''' || ||<|4> '''D12D''' ||<|17> 직렬 6기통 ||<|4> 12.1리터 || 380마력 || 189 kgf·m ||<|6> 유로3 || || 420마력 || 204 kgf·m || || 460마력 || 224 kgf·m || || 500마력 || 245 kgf·m || ||<|2> '''D16C''' ||<|2> 16.1리터 || 550마력 || 286 kgf·m || || 610마력 || 286 kgf·m || ||<|3> '''D12F''' ||<|3> 12.1리터 || 390마력 || 204 kgf·m ||<|6> 유로4 || || 430마력 || 219 kgf·m || || 500마력 || 245 kgf·m || ||<|3> '''D16E''' ||<|3> 16.1리터 || 580마력 || 286 kgf·m || || 600마력 || 286 kgf·m || || 660마력 || 316 kgf·m || ||<|5> '''D13A[br]D13B''' ||<|9> 12.8리터 || 400마력 || 204 kgf·m ||<|5> 유로3[br]유로4 || || 440마력 || 224 kgf·m || || 480마력 || 245 kgf·m || || 500마력 || 255 kgf·m || || 520마력 || 255 kgf·m || === 3세대 (2008) === || [[파일:Volvo_FH_500_2009.jpg|width=100%]] || [[파일:Volvo_FH16_600_2009.jpg|width=100%]] || || '''FH 500 리지드''' || '''FH16 600 트랙터''' || [[2008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Mk3가 출시되었다. 각종 편의시설이 보강됨과 더불어 유로 5 700마력 모델을 선보이면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트럭' 타이틀을 차지했고[* 이 타이틀은 2010년 [[스카니아]]에서 730마력 DC16 엔진을 선보이며 빼앗겼다가, 이후 750마력 모델을 출시하면서 돌려받았고, 2020년 9월 28일 스카니아가 770마력 모델을 공개하면서 다시 빼앗기게 된다.] [[2011년]]에 볼보트럭의 16리터급 엔진 개발 25주년을 맞아[* 볼보트럭의 16리터급 엔진 라인업은 1987년 볼보 F16으로 선보인 TD162F 엔진부터 시작되었다.] 750마력 D16G 엔진 모델을 출시했다. 특히 풀체인지 직전에 생산된 유로5 540마력 모델의 평가가 가장 좋았으며, 지금도 중고시장에서 경쟁차종 대비 가격을 높게 쳐주고 중고 거래도 활발하다. ==== 차량 옵션 ==== * '''엔진''' || '''엔진''' || '''기관 형식''' || '''배기량''' || '''최대 출력''' || '''최대 토크''' || '''유로규제''' || ||<|2> '''D16C''' ||<|19> 직렬 6기통 ||<|6> 16.1리터 || 550마력 || 286 kgf·m ||<|2> 유로3 || || 610마력 || 286 kgf·m || ||<|4> '''D16E''' || 540마력 || 265 kgf·m ||<|4> 유로4 || || 580마력 || 286 kgf·m || || 600마력 || 286 kgf·m || || 660마력 || 316 kgf·m || ||<|5> '''D13A[br]D13B''' ||<|9> 12.8리터 || 400마력 || 204 kgf·m ||<|5> 유로3[br]유로4 || || 440마력 || 224 kgf·m || || 480마력 || 245 kgf·m || || 500마력 || 255 kgf·m || || 520마력 || 255 kgf·m || ||<|4> '''D13C''' || 420마력 || 214 kgf·m ||<|8> 유로5 || || 460마력 || 235 kgf·m || || 500마력 || 255 kgf·m || || 540마력 || 265 kgf·m || ||<|4> '''D16G''' ||<|4> 16.1리터 || 540마력 || 270 kgf·m || || 600마력 || 286 kgf·m || || 700마력 || 321 kgf·m || || 750마력 || 362 kgf·m || === 4세대 (2012) === || [[파일:Volvo_FH_540_2012.jpg|width=100%]] || [[파일:Volvo_FH16_750_2012.jpg|width=100%]] || || '''FH 540 트랙터''' || '''FH16 750 트랙터''' || 풀체인지 모델인 Mk4는 [[2012년]]에 '뉴 FH'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캡을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했으며, 유로6에 대응하는 D13K 엔진 모델을 처음 선보였으며, FH16은 2014년에 D16K 엔진 모델을 선보이면서 전 제품군에 유로6를 지원하게 되었다. 능동식 비상 브레이크인 [[AEB|AEB]]와 새로운 I-Shift '''[[듀얼 클러치 변속기]]'''[*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내구력과 신뢰성이 낮아서 엄청난 토크를 가진 대형 트럭에는 적용하기 힘들다. 근데 볼보가 모두의 편견을 뒤엎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적용한 것이다(!)]를 선보이는 등 여전히 혁신적인 트럭. [[2014년]] '올해의 트럭'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에 2014년부터 유로 5 한정적으로 수입 판매되었고 [[2015년]]부터 유로 6 사양이 발매됐다. 되었다. 추가로 Mk4부터는 모든 캡 옵션이 슬리퍼 캡으로 상향조정 되었기 때문에 데이캡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Mk3까지는 데이캡 사양이 존재했었다.][*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와 닮은 꼴이다. 악트로스도 MP4 모델부터는 슬리퍼 캡만 존재한다.] 덕분에 일반적으로 데이캡 사양으로 출고되는 덤프트럭 라인업조차 [[http://www.sangyongch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97|슬리퍼 캡으로 출고된다]].[* 일종의 고급형 덤프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기존의 일반형 덤프(데이캡) 포지션은 FMX와 FM 덤프 모델이 담당한다.] 또한, 덤프의 경우 맨 뒤에 있는 축이 가변축인 태그액슬 형식(트라이뎀)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MAN TGX]]에서도 같은 형식의 덤프를 선보이는 중.][* 이 가변축이 조향도 담당하기 때문에 후륜 조향으로 인한 선회 시의 이득을 볼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FH 540 6X2 트랙터가 강력한 힘과 뛰어난 연비로 수입트럭 시장서 동급 차종 판매 1위에 오를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http://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9976|2018년 1월~10월 통계]]를 보면 볼보트럭 내 '''FH 트랙터'''만 405대가 판매되었다. 동 기간 동안 스카니아가 G, R, S 시리즈 트랙터들을 다 합쳐 291대를 판매한 것을 보면 정말 압도적인 판매량이다.] [[파일:Volvo_FH_460_LNG_2017.jpg|width=600]] [[2017년]]에 [[천연가스|LNG]]를 사용하는 차량이 스웨덴에서 최초로 공개되었고,[* 일반적인 압축천연가스(CNG) 방식이 아닌, 영하 161도 이하의 액화천연가스를 사용하는 모델이다. 덕분에 여타 CNG 차량들에 비해서 1회 충전시 주행가능한 항속거리가 상당한 편.] 아시아에는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된 제 2회 [[코리아 트럭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 [[파일:Volvo_FH_540_XXL_2019.jpg|width=100%]] || [[파일:Volvo_FH_540_XXL_2019_cab.jpg|width=100%]] || || '''FH 540 XXL 캡 트랙터''' || '''XXL 캡 인테리어''' || [[2019년]]에 기존의 글로브트로터 XL 캡보다 더 커진 글로브트로터 XXL 캡 옵션이 등장했다. 이 XXL 캡은 원래 [[2009년]] Mk3 시절 [[오세아니아]] 시장 전용 옵션으로 출시된게 최초인데, Mk4 모델에도 등장하게 된 것. 전폭과 전고는 기존 글로브트로터 XL 캡과 동일하지만 캡 전장이 250 mm 더 늘어나서 후방 침실이 확장되었다. [[우측통행]]용 모델은 [[노르웨이]] 시장 옵션으로만 나오는 중. 참고로 국내에 XXL 캡은 커녕 기존 글로브트로터 XL 캡 옵션조차 들어오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런거 없다. ===== 차량 옵션 ===== * '''엔진''' || '''엔진''' || '''기관 형식''' || '''배기량''' || '''최대 출력''' || '''최대 토크''' || '''배출가스 기준''' || ||<|7> '''D13A''' ||<|26> 직렬 6기통 ||<|11> 12.8리터 || 400마력 || 204 kgf·m ||<|4> 유로3 || || 440마력 || 224 kgf·m || || 480마력 || 245 kgf·m || || 520마력 || 255 kgf·m || || 420마력 || 214 kgf·m ||<|3> 유로4 || || 460마력 || 235 kgf·m || || 540마력 || 265 kgf·m || ||<|4> '''D13C''' || 420마력 || 214 kgf·m ||<|8> 유로5 || || 460마력 || 235 kgf·m || || 500마력 || 255 kgf·m || || 540마력 || 265 kgf·m || ||<|4> '''D16G''' ||<|4> 16.1리터 || 540마력 || 270 kgf·m || || 600마력 || 286 kgf·m || || 700마력 || 321 kgf·m || || 750마력 || 362 kgf·m || ||<|2> '''D13H'''[* [[일본]] 시장 전용] ||<|8> 12.8리터 || 440마력 || 224 kgf·m ||<|2> PNLT[* 포스트 신장기 규제('''P'''ost '''N'''ew '''L'''ong '''T'''erm)] || || 520마력 || 240 kgf·m || ||<|4> '''D13K''' || 420마력 || 214 kgf·m ||<|9> 유로6 || || 460마력 || 235 kgf·m || || 500마력 || 255 kgf·m || || 540마력 || 265 kgf·m || ||<|2> '''G13C'''[* [[천연가스#s-4.2|액화천연가스]] 엔진.] || 420마력 || 214 kgf·m || || 460마력 || 235 kgf·m || ||<|3> '''D16K''' ||<|3> 16.1리터 || 550마력 || 296 kgf·m || || 650마력 || 321 kgf·m || || 750마력 || 362 kgf·m || * '''변속기''' || '''변속기''' || '''공중량''' || '''최대 입력토크''' || '''탑기어 유형''' || '''기어 단수''' || '''기어비'''[* 기어비가 높을수록 강한 견인력을, 낮을수록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 || '''AT2412F''' ||<|6> 278 kg || 245 kgf·m ||<|2> 다이렉트 드라이브 ||<|7> 전진 12단 / 후진 4단 ||<|2> 14.94 - 1.00 || || '''AT2612F''' ||<|2> 265 kgf·m || || '''ATO2612F''' || 오버 드라이브 || 11.73 – 0.78 || || '''AT2812F''' || 286 kgf·m || 다이렉트 드라이브 || 14.94 – 1.00 || || '''ATO3112F''' || 321 kgf·m ||<|3> 오버 드라이브 ||<|3> 11.73 – 0.78 || || '''ATO3512F''' || 362 kgf·m || || '''[[듀얼 클러치 변속기|SPO2812]]''' || '''433 kg''' || 286 kgf·m || * '''캡''' || '''캡 종류''' || '''실내 높이''' || '''캡 전장''' || '''캡 전폭''' || '''엔진 터널''' || || '''글로브트로터 XXL''' ||<|2> 2,110 mm || 2,475 mm ||<|5> 2,495 mm ||<|5> 90 mm || || '''글로브트로터 XL''' ||<|4> 2,225 mm || || '''글로브트로터''' || 1,960 mm || || '''슬리퍼''' || 1,620 mm || || '''Low 슬리퍼''' || 1,380 mm || ==== 1차 페이스리프트 (2020) ==== || [[파일:Volvo_FH_500_2020.jpg|width=100%]] || [[파일:Volvo_FH16_750_2020.jpg|width=100%]] || || '''FH 500 트랙터''' || '''FH16 750 트랙터''' || [[2020년]] [[2월 27일]], FM, FMX 라인업이 패밀리룩 풀체인지를 하면서 FH 라인업도 페이스리프트가 [[https://www.volvotrucks.com/en-en/news-stories/press-releases/2020/feb/pr-200227-range.html|적용되었다]]. 하위 트림인 [[볼보 FM|FM]]이 플라스틱 그릴을 가져가면서 FH도 FH16와 동일한 크롬 그릴이 적용된 것이 특징. 대신 FH16은 I자 모양의 새로운 전용 그릴이 적용되었다. 전면부는 풀 LED 헤드램프가 적용되고, 후면부도 후미등과 방향지시등, 후진등이 모두 LED 램프로 바뀌었다. 실내는 기어레버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풀 LCD 계기판이 적용되고, 내비게이션이 기존 매립형에서 플로팅 타입으로 변경되고 더 커졌다.[* 기존 내비게이션 위치에는 작은 크기의 수납 공간으로 바뀌었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21년]] [[5월 20일]]에 출시되었다.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nkey=202105201122471|#]] 출시 당시에는 전 세대 모델과 마찬가지로 글로브트로터 캡 까지만 출시되었고, 글로브트로터 XL, XXL캡은 여전히 소식이 없었다가 [[2022년]] [[6월]] 볼보트럭코리아 25주년 한정판 모델을 출시하면서 글로브트로터 XL캡 옵션이 처음으로 적용되어 들어왔다. [[https://www.volvotrucks.kr/ko-kr/news/press-releases/2022/apr/2022-04-04.html|#]][* 링크 속 디자인 도안 차량 이미지는 글로브트로터 캡 모델로 표현되었지만, 실제 차량은 글로브트로터 XL캡이 적용되어 들어왔다.] 이후 2023년형에는 FH540 모델부터 고객의 요구사항에 따라 글로브트로터 캡, 풀 에어서스 사양인 글로브트로터 XL캡 두가지 선택사항이 가능한 옵션이 추가되어 정규 라인업으로 편성하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144/0000888564?sid=101|#]] 다른 트럭들에 비해 [[요소수]]를 꽤 적게 소모한다고 한다고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경쟁 차종에 비해 요소수를 더 많이 소모한다. 신형 스카니아가 요소수를 가장 많이 소모하고[* 이쪽은 [[EGR]]을 퇴출시키면서 트윈 [[SCR]] 방식으로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시키기 때문이다.] 그 다음은 볼보다. 이는 국내 스톡 판매분의 종감속 기어비가 중저속 위주로 세팅되어 있어 엔진 RPM을 높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요소수는 추운 동절기와 고알피엠 조건에서 소모량이 늘어난다.[* 요소수비용이 감당 안돼 불법으로 요소수를 막고 운행하는 차량들도 더러 있다. 걸리면 과태료로 안 끝날 수도 있으니 제발 그러지 말자. 환경에도 안 좋고 차도 쉽게 고장난다.] [[파일:엑시언트트럭 rpm.jpg]] ZF 미션이 탑재된 현대 엑시언트, 대우 프리마(맥쎈), 이베코, MAN TGX, 스카니아 이외 MB 파워시프트 미션이 탑재된 벤츠 악트로스는 기어비가 높아서 90km/h 기준 1,200~1,250 RPM 평균 언저리인데, [[파일:볼보트럭 rpm.jpg]] FH는 1,350 RPM 전후가 나온다. 그렇다 보니 연비도 좋은 편이 아니고 변속기 내구성도 떨어지는 편이다. 특히 I-Shift 듀얼클러치 변속기는 한번 고장이 나면 수리비 500만원 이상은 각오해야 한다 많게는 천만원 가까이도 나온다. 참고로 ZF의 AMT는 150~200만원에서 디스크 삼발이 교체가 가능하다. ===== 결함 ===== *앞차축 고정볼트 체결불량 (제작결함): [[http://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24420|#]] *차량통신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와이퍼 비작동 가능성(안전관련리콜):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79805|#]] ===== 차량 옵션 ===== * '''엔진''' || '''엔진''' || '''기관 형식''' || '''배기량''' || '''최대 출력''' || '''최대 토크''' || '''배출가스 기준''' || ||<|4> '''D13K''' ||<|11> 직렬 6기통 ||<|8> 12.8리터 || 420마력 || 214 kgf·m ||<|11> 유로6D || || 460마력 || 235 kgf·m || || 500마력 || 255 kgf·m || || 540마력 ||<|2> 265 kgf·m || ||<|2> '''D13TC'''[* 터보 컴파운드 적용 모델.] || 460마력 || || 500마력 || 286 kgf·m || ||<|2> '''G13C''' || 420마력 || 214 kgf·m || || 460마력 || 235 kgf·m || ||<|3> '''D16K''' ||<|3> 16.1리터 || 550마력 || 296 kgf·m || || 650마력 || 321 kgf·m || || 750마력 || 362 kgf·m || * '''변속기''' || '''변속기''' || '''공중량''' || '''최대 입력토크''' || '''탑기어 유형''' || '''기어 단수''' || '''기어비''' || || '''AT2412F''' ||<|6> 278 kg || 245 kgf·m ||<|2> 다이렉트 드라이브 ||<|7> 전진 12단 / 후진 4단 ||<|2> 14.94 - 1.00 || || '''AT2612F''' ||<|2> 265 kgf·m || || '''ATO2612F''' || 오버 드라이브 || 11.73 – 0.78 || || '''AT2812F''' || 286 kgf·m || 다이렉트 드라이브 || 14.94 – 1.00 || || '''ATO3112F''' || 321 kgf·m ||<|3> 오버 드라이브 ||<|3> 11.73 – 0.78 || || '''ATO3512F''' || 362 kgf·m || || '''SPO2812''' || 433 kg || 286 kgf·m || * '''캡''' || '''캡 종류''' || '''실내 높이''' || '''캡 전장''' || '''캡 전폭''' || '''엔진 터널''' || || '''글로브트로터 XXL''' ||<|2> 2,110 mm || 2,475 mm ||<|5> 2,495 mm ||<|5> 90 mm || || '''글로브트로터 XL''' [* 대한민국에서는 2022년 6월부터 볼보트럭코리아 국내판매 25주년 한정판 적용 60대 한정 판매, 2023년형 FH540 모델부터 선택사양 추가] ||<|4> 2,225 mm || || '''글로브트로터''' || 1,960 mm || || '''슬리퍼''' || 1,620 mm || || '''Low 슬리퍼''' || 1,380 mm || == 번외: 볼보 NH == [[파일:Volvo_NH12_420.jpg|width=600]] [[1999년]] [[브라질]] 시장에서 판매중이었던 볼보 NL10 EDC, NL12 EDC의 후속으로 등장한 보닛형(conventional) 모델이다.[* 유럽에서는 [[어뢰|토피도(Torpedo)]] 캡이라 부른다. 국내에서도 업계용어로 '도삐가다'라 부르는 것이 바로 이것.] 당시 [[북아메리카|북미]] 시장에서 판매중이였던 [[볼보 VNL|볼보 VN 시리즈]]와 유사해 보이지만, 이쪽은 볼보 FH 시리즈의 [[캡(트럭)|캡]]을 그대로 사용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스카니아]] T캡에 대응하는 모델로, 주로 [[남아메리카|남미]] 시장에서 인기가 있었으며 유럽과 [[오세아니아]] 시장에도 판매되었다. [[2006년]] 단종. == 한정판 == ||<-2> {{{#!folding[ 사진 모음 펼치기 · 접기 ] || [[파일:Volvo_FH12_460(1995)_SC.jpg|width=100%]] || [[파일:Volvo_FH16_610(2005)_OR.jpg|width=100%]] || || '''1995 실버캡''' || '''2005 오션 레이스''' || || [[파일:Volvo_FH16_660(2006)_660Ed.jpg|width=100%]] || [[파일:Volvo_FH16_540(2007)_80th.jpg|width=100%]] || || '''2006 660 에디션''' || '''2007 80th 에디션'''[* 볼보트럭 80주년 기념모델로 전세계 800대 생산, 대한민국에는 볼보트럭코리아가 FH 500 사양 50대를 한정 판매했다.] || || [[파일:Volvo_FH_500(2014)_OR.jpg|width=100%]] || [[파일:Volvo_FH16_750(2017)_OR.png|width=100%]] || || '''2014 오션 레이스'''[* 대한민국에는 2015년도 볼보트럭코리아에서 볼보 오션레이스 스페셜 에디션 기념모델로 FH540 사양 10대를 한정 판매했다.] || '''2017 오션 레이스''' || || [[파일:Volvo_FH_540(2017)_PE.jpg|width=100%]] || [[파일:Volvo_FH16_750_25th_2018.jpg|width=100%]] || || '''2017 퍼포먼스 에디션'''[* 대한민국에는 2017년도에 볼보트럭코리아 20주년 기념모델로 FH540 사양 20대를 한정 판매했다.] || '''2018 FH 25주년 에디션''' || }}} || == 특징 == [youtube(ETmFLHfyaOM)] 뉴 FH 충돌 테스트 [youtube(ridS396W2BY)] 국내에서는 '볼보트럭의 위엄'으로 잘 알려진 AEB(CW-EB) 테스트다.[* 베스트 댓글의 내용은 '''"왜 이건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ETS2]]에 없냐?!"'''(...) --1.44버전에서 생겼다!--] [youtube(5Y7y9cde0P0)] I-Shift 듀얼 클러치 변속기 '''안전의 볼보'''답게 눈 돌아가는 안전장비들이 탑재된다. 이런 장비들을 트럭에 적용시켰다는 것이 대단할 뿐이다.[* 유럽은 상용차 시장이 박터지게 싸우는 구조(볼보트럭, [[스카니아]], [[MAN]], [[메르세데스-벤츠#상용차|메르세데스-벤츠]], [[이베코]], [[DAF]], [[르노트럭]] 등)이기 때문에 상용차 기술력의 발전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엔진의 힘도 매우 강력한데, 최상위 트림의 750마력 엔진은 2011년 9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트럭' 타이틀을 보유했었다.[* 2020년 9월 28일 부로 스카니아가 770마력 트림을 공개하면서, 해당 타이틀은 다시 스카니아로 넘어가게 되었다. 단! 볼보트럭에서는 750마력 사양에 I-Shift ASO-ULC라는 중량물 대응 크롤러 기어를 옵션으로 선택할수 있다. 스카니아가 770마력 엔진을 선보이면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트럭 타이틀을 뺏어온건 사실이지만, 볼보트럭의 750마력 사양인 FH16에선 최대 32.04 기어비를 가진 크롤러 기어를 옵션으로 택할수 있어서 스카니아가 770마력 DC16 V8엔진으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트럭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면 볼보트럭은 750마력에 크롤러 기어를 적용하여 250톤에 달하는 중량물도 견인할수있는 다른의미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트럭이 될수있다.][* 물론 스카니아도 바보가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크롤러 옵션이 적용된 변속기가 나오고 있다. 이쪽은 최대 기어비가 13 수준으로 꽤 낮은 편이지만 [[종감속장치|종감속비]] 등의 조합으로 중량물 수송의 기준이 되는 250톤 정도는 무리없이 견인이 가능하다. 참고로 일반적인 스톡 옵션이 아닌, 커스텀 옵션 쪽으로 눈을 돌리면 [[켄워스]]나 [[피터빌트]] 같은 북미 트럭 메이커들에서 변속기 + 보조 변속기 + 종감속비를 전부 커스텀 빌드로 선택해 '''최대 기어비가 무려 200:1에 달하는 차량도 주문할수 있다'''.] == 기타 == *[youtube(PlFiKo64kQw)] '''볼보 FH 540 (I-Shift [[듀얼 클러치 변속기|듀얼클러치]]) vs [[코닉세그 아제라|코닉세그 One:1]]''' [youtube(5UUz1zTZFfU)] '''볼보 FH16 750 + I-Shift [[크롤러]] 기어[* 변속기에 크롤러 옵션을 적용하면 전진 13단(ASO-C 옵션, 크롤러 1단 + 12단) or 14단(ASO-ULC 옵션, 크롤러 2단 + 12단)) / 후진 6단(ARSO-MSR 옵션, 크롤러 1단 + 5단)이 되는데, 2단 크롤러 기준 '''전진 최저기어비 32.04, 후진 최저기어비 37.49'''라는 어마어마한 수치를 자랑한다. 위의 변속기 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기존 변속기의 3배에 달하는 수치이다.]로 컨테이너 750톤(!!!) 견인하기''' 뭔가 약을 빤 듯한 [[프로모션]] 영상들이 많다(...). *[[파일:볼보트럭충돌.gif]] 실사판 볼보트럭의 위엄.[* [[북아메리카|북미]] 지역에서는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스쿨버스]]가 승/하차를 진행하는 동안 도로 주변의 모든 차량들은 정차해야 한다. 이걸 무시하고 지나가다가 경찰에게 적발되거나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신고를 당할 경우 엄청난 벌금을 내야 한다. 그러나 여기 보이는 버스는 스쿨버스가 아니라 시내버스다...] 여담으로 저 트럭에 써있는 '''Kreiss'''라는 회사는 [[라트비아]]의 물류회사이다. *VEB(Volvo Engine Brake)라 부르는 [[제이크 브레이크]]가 기본사양으로 들어간다. 절대적인 제동력은 [[리타더 브레이크]]에 비할 바가 못되지만 리타더 옵션의 선택비용, 차량 중량증가, 관리요소 증가 없이 보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참고로 국내에 시판되는 볼보트럭 코리아 스톡 차량들은 전부 리타더 옵션이 빠져있다. 따로 인디오더를 하지 않는 이상 리타더 옵션을 만나볼 수 없는 덕분에 현직 종사자들조차 "볼보 트럭들은 리타더 옵션이 없다"라고 착각하고 있는 사람들의 비율이 꽤 높은 편.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VEB의 제동력은 리타더보다 떨어지는 편이다. 이는 트럭의 브레이크 라이닝 소모로 바로 알 수 있는데, 라이닝 교체 주기가 짧다. 43톤으로 긴 내리막을 내려갈때 VEB는 끝까지 잡아주지 못하고 답력이 불규칙해진다.[* 엔진 RPM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제이크, [[배기 브레이크]]의 단점이다.] 반면 리타더는 한번 물리면 대체로 끝까지 잡아주는 편이다. 그래서 풋의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라이닝에 부하가 많이 걸리는 것이다. 상차한 화물의 종류, 차량 총중량에 따라 소모가 극과 극이다. 꽃길이라 할 수 있는 자동차 부품 납품 컨테이너 등은 소모가 적은 편인 반면, 충중량이 43톤이 넘어가고 험로를 다니는 트럭들은 소모가 크다. == 등장 매체 == * [[파일:ETS1.jpg]]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에는 Valiant라는 이름으로 Mk2 FH/FH16 모델이 등장한다. * [[파일:external/b89698972fd979954351f2d657afd6e764a2e354796bd857496710a540143379.jpg]]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02060/|트럭 & 트레일러(Trucks & Trailers)]]에는 Mk3 모델이 등장한다. * [[파일: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jpg]]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에는 Mk3, Mk4 FH/FH16 모델이 등장한다. * [[파일:external/www.igcd.net/120.jpg]] [[Big Rigs: Over the Road Racing]] 에는 Mk2 FH12 모델을 베이스로 한 ‘SUNRISE W12’가 등장한다. * 웹툰 [[하이브(웹툰)|하이브]]에서는 주인공 일행이 곤충으로 인해 폐허가 된 서울 시내를 이동할때 비중있게 자주쓰는 트럭으로 나온다. 차종은 Mk4 FH 540. 참고로 처음에 주인공 일행이 습득했을 때는 3축까지만 있는 [[윙바디]] [[카고트럭]]이었는데, [[할아브]]가 서울 일대에 형성된 군벌 중 하나의 수장이 되어 기술자들을 시켜 마개조해 로우베드 트랙터로 만든 뒤 로우베드 트레일러에 [[K200 APC|K200 장갑차]]를 싣고 다닌다! (이 장갑차 또한 20mm [[발칸포]]를 포탑에 장착한 무서운 물건이다.) * [[아스팔트 9: 레전드]]에는 2세대 FH 트랙터 모델을 기반으로 한 차량이 트래픽 차량으로 등장한다. * [[쉬리(영화)|쉬리(1999)]]에서 빨간색 Mk1 FH12 트랙터가 CTX 수송용 트레일러 차량으로 등장한다. [[707 특임대]]로 위장한 [[북한군]]에게 털린다. * [[로보카 폴리]]에 등장하는 트랙터 트럭 테리가 1세대 초기형을 모티브로 했다. == 관련 문서 == * [[볼보트럭]] * [[볼보 FM]] * [[트럭]] == 둘러보기 == [include(틀:볼보그룹의 상용차량)] [include(틀:현대전/대만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볼보트럭/생산차량]][[분류:1993년 출시]][[분류:대만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