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함대]][[분류:영국 해군]][[분류:1902년 설립]][[분류:1967년 해체]] Home Fleet [목차] == 개요 == 본토함대(Home Fleet)는 1902년부터 1904년, 1907년부터 1914년, 1932년부터 1967년까지 존재한 [[영국 해군]]의 [[함대]]이다. == 상세 == === 창설 ~ [[제1차 세계 대전]] === 20세기 초 영국 본토에 있는 해군은 노어, 포츠머스, 플리머스 등 해군 기지의 사령관이 자체적으로 지휘하고 있었지만, 1902년 본토의 해군을 묶을 단위로 본토함대가 창설되었다. 이후 1904년 기존에 존재하던 해협함대가 대서양함대로 개편되고, 본토함대가 해협합대로 개편되었다. 1907년 본토함대가 재창설되어 노어, 포츠머스, 데번포트 분함대를 예하에 두게 되었고, 1909년 해협함대를 흡수해 제1분함대, 제2분함대, 제3/4분함대를 예하에 두게 된다.[[https://www.naval-history.net/xGW-RNOrganisation1900-14.htm#2|#]] 1912년 대서양함대까지 흡수해 본토함대는 제1함대, 제2함대, 제3함대를 예하에 두게 되었으며, 제1함대는 완편 함대, 제2함대는 감편 함대, 제3함대는 예비 함대로 기능했다. [[대장(계급)|대장]] 계급의 본토함대 사령관이 제1함대를 직접 지휘했고, 제2함대와 제3함대는 [[중장]] 계급의 제독이 함께 지휘했다. 1914년 8월, 본토함대는 제1함대 예하에 드레드노트급 전함 19척,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9척, 순양전함 4척, 장갑순양함 8척, 정찰순양함 3척, 경순양함 4척, 구축함 76척, 소해용 포함 5척을 편제하고 있었고, 제2함대 예하에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5척, 장갑순양함 5척, 경순양함 1척, 기뢰함 7척을 편제하고 있었으며, 제3함대 예하에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4척, 장갑순양함 7척, 방호순양함 22척을 편제하고 있었다. 본토함대는 [[제1차 세계대전]] 개전 이후 제1함대가 [[대함대]]로, 제2함대와 제3함대가 해협함대로 개편되었다. ==== [[https://www.naval-history.net/xGW-RNOrganisation1914-1918.htm#4|1914년 편제]] ==== ===== 제1함대 ===== * 제1전투전대 / 1st Battle Squadron * 제2전투전대 / 2nd Battle Squadron * 제3전투전대 / 3rd Battle Squadron * 제4전투전대 / 4th Battle Squadron * 제1순양전함전대 / 1st Battlecruiser Squadron * 제2순양함전대 / 2nd Cruiser Squadron * 제3순양함전대 / 3rd Cruiser Squadron * 제1경순양함전대 / 1st Light Cruiser Squadron * 제1구축함전단 / 1st Destroyer Flotilla * 제2구축함전단 / 2nd Destroyer Flotilla * 제3구축함전단 / 3rd Destroyer Flotilla * 제4구축함전단 / 4th Destroyer Flotilla ===== 제2함대 ===== * 제5전투전대 / 5th Battle Squadron * 제6전투전대 / 6th Battle Squadron * 기뢰부설전대 / Minelaying Squadron ===== 제3함대 ===== * 제7전투전대 / 7th Battle Squadron * 제8전투전대 / 8th Battle Squadron * 제7순양함전대 / 7th Cruiser Squadron * 제9순양함전대 / 9th Cruiser Squadron * 제10순양함전대 / 10th Cruiser Squadron * 제11순양함전대 / 11th Cruiser Squadron * 제12순양함전대 / 12th Cruiser Squadron === [[전간기]] ~ [[제2차 세계 대전]] ===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대함대]]의 주력은 대부분 대서양함대로 배치되었고, 1919년 말까지 본토함대는 예비함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1932년 대서양함대의 명칭이 본토함대로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개전 당시 본토함대는 최전선에서 독일 함대와 충돌했다. 그러나 북해 남부와 영국 해협은 독자적인 사령부로 분리되었고, [[대서양 전투]]의 격화에 따라 서부접근해역사령부가 설치되었다. 1944년 [[티르피츠]] 격침 이후 본토함대에 배치되어있던 대부분의 주력함이 극동으로 이동해 [[영국 태평양함대|태평양함대]]로 재배치되었다. ==== [[http://www.niehorster.org/017_britain/40-09-10_Sealion/Navy/home-fleet.html|1940년 편제]] ==== * 제2전투전대 / 2nd Battle Squadron * 순양전함전대 / Battlecruiser Squadron * 중장, 항공모함 / Vice Admiral, Aircraft Carriers * 제1순양함전대 / 1st Cruiser Squadron * 제2순양함전대 / 2nd Cruiser Squadron * 제15순양함전대 / 15th Cruiser Squadron * 제18순양함전대 / 18th Cruiser Squadron * 소장, 구축함 / Rear Admiral, Destroyers 제3구축함전단 / 3rd Destroyer Flotilla 제4구축함전단 / 4th Destroyer Flotilla 제6구축함전단 / 6th Destroyer Flotilla 제12구축함전단 / 12th Destroyer Flotilla * 중장, 잠수함 / Vice Admiral, Submarines 제2잠수함전단 / 2nd Submarine Flotilla 제3잠수함전단 / 3rd Submarine Flotilla 제6잠수함전단 / 6th Submarine Flotilla 제7잠수함전단 / 7th Submarine Flotilla 제9잠수함전단 / 9th Submarine Flotilla * 제1소해함전단 / 1st Minesweeper Flotilla * 제1기뢰부설전단 / 1st Minelaying Flotilla * 오크니 & 셰틀랜드사령부 / Orkney & Shetlands Command === [[냉전]] ~ 해체 === [[냉전]]이 시작되면서 본토함대의 임무 역시 [[소련]]으로부터 북대서양 항로를 보호하는 것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항공모함]]의 시대가 오면서 불필요해진 전함과 항공모함 대다수가 훈련전대로 배치되었고, 훈련전대에 배치된 항공모함이 [[수에즈 위기]] 당시 헬기항모로 동원되기도 했다. 1953년 본토함대 사령관은 [[NATO]]의 대서양연합 최고사령부 예하 동대서양 총사령관을 겸직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토함대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90만 명에 달하던 영국 해군이 식민지들의 독립과 함께 20년도 지나지 않아서 7만 5천 명까지 축소되어 몰락하는 상황 속에서 1967년 지중해함대와 통합되어 서부함대로 재편되며 본토함대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서부함대 역시 1971년에 극동함대와 통합되며 현재의 [[함대 총사령관|함대]]로 재편된다. ==== [[http://www.naval-history.net/xGW-RNOrganisation1947-2013.htm#3|1966년 편제]] ==== * 항공모함 제독 / Flag Officer, Aircraft Carriers * 잠수함 제독 / Flag Officer, Submarines * 순양함 / Cruisers * 제21호위함전대 / 21st Escort Squadron * 제23호위함전대 / 23rd Escort Squadron * 제27호위함전대 / 27th Escort Squadron * 제29호위함전대 / 29th Escort Squadron * 제30호위함전대 / 30th Escort Squadron * 제7프리깃전대 / 7th Frigate Squadron * 제8프리깃전대 / 8th Frigate Squadron * 제9프리깃전대 / 9th Frigate Squadron == 역대 사령관 == === 1902년 ~ 1904년 === || '''사진''' || '''이름''' || '''기간''' || '''계급''' || '''비고''' || || [[파일:Gerald Noel.png|width=100]] || 제럴드 노엘(Gerald Noel) || 1902년 10월 ~ 1903년 5월 || [[영국 해군|해군]][br][[중장]] || || || [[파일:Arthur Wilson.gif|width=100]] || 아서 윌슨(Arthur Wilson) || 1903년 5월 ~ 1904년 12월 || [[영국 해군|해군]][br][[중장]] || [* 63대 [[해군참모총장#s-9|제1해군경]].] || === 1907년 ~ 1912년 === ||
'''사진''' || '''이름''' || '''기간''' || '''계급''' || '''비고''' || || [[파일:Francis Bridgeman.jpg|width=100]] || 프랜시스 브리지맨(Francis Bridgeman) || 1907년 3월 ~ 1909년 3월 || [[영국 해군|해군]][br][[중장]] || [* 64대 [[해군참모총장#s-9|제1해군경]].] || || [[파일:William May.jpg|width=100]] || 윌리엄 메이(William May) || 1909년 3월 ~ 1911년 3월 || [[영국 해군|해군]][br][[중장]] || || || [[파일:Francis Bridgeman.jpg|width=100]] || 프랜시스 브리지맨(Francis Bridgeman) || 1911년 3월 ~ 1911년 12월 || [[영국 해군|해군]][br][[중장]] || || || [[파일:George Callaghan.jpg|width=100]] || 조지 캘라한(George Callaghan) || 1911년 12월 ~ 1912년 7월 || [[영국 해군|해군]][br][[중장]] || || === 1912년 ~ 1914년 === ||
'''사진''' || '''이름''' || '''기간''' || '''계급''' || '''비고''' || || [[파일:George Callaghan.jpg|width=100]] || 조지 캘라한(George Callaghan) || 1912년 7월 ~ 1914년 12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1931년 ~ 1945년 === ||
'''사진''' || '''이름''' || '''기간''' || '''계급''' || '''비고''' || || [[파일:John Kelly.jpg|width=100]] || 존 켈리(John Kelly) || 1931년 10월 ~ 1933년 9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파일:William Boyle.jpg|width=100]] || 윌리엄 보일(William Boyle) || 1933년 9월 ~ 1935년 8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파일:Roger Backhouse.jpg|width=100]] || 로저 백하우스(Roger Backhouse) || 1935년 8월 ~ 1938년 4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73대 [[해군참모총장#s-9|제1해군경]].] || || [[파일:Charles Forbes.jpg|width=100]] || 찰스 포브스(Charles Forbes) || 1938년 4월 ~ 1940년 12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파일:John Tovey.jpg|width=100]] || 존 토베이(John Tovey) || 1940년 12월 ~ 1943년 5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비스마르크 추격전]] 당시 본토함대사령관.] || || [[파일:Bruce Fraser.jpg|width=100]] || 브루스 프레이저(Bruce Fraser) || 1943년 5월 ~ 1944년 6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노스케이프 해전]] 당시 본토함대사령관. 이후 [[영국 태평양 함대|태평양함대]]사령관을 역임. 77대 [[해군참모총장#s-9|제1해군경]].] || || [[파일:Henry Moore.jpg|width=100]] || 헨리 무어(Henry Moore) || 1944년 6월 ~ 1945년 12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1945년 ~ 1967년 === ||
'''사진''' || '''이름''' || '''기간''' || '''계급''' || '''비고''' || || [[파일:Edward Syfret.jpg|width=100]] || 에드워드 사이프렛(Edward Syfret) || 1945년 11월 ~ 1948년 1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파일:Rhoderick McGrigor.jpg|width=100]] || 로더릭 맥그리거(Rhoderick McGrigor) || 1948년 1월 ~ 1950년 1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78대 [[해군참모총장#s-9|제1해군경]].] || || [[파일:Philip Vian.png|width=100]] || 필립 비안(Philip Vian) || 1950년 1월 ~ 1952년 1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파일:George Creasy.jpg|width=100]] || 조지 크리시(George Creasy) || 1952년 1월 ~ 1954년 1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파일:Michael Denny.jpg|width=100]] || 마이클 데니(Michael Denny) || 1954년 1월 ~ 1956년 1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파일:John eccles.jpg|width=100]] || 존 에클스(John Eccles) || 1956년 1월 ~ 1958년 1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파일:William Davis.jpg|width=100]] || 윌리엄 데이비스(William Davis) || 1958년 1월 ~ 1960년 7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파일:Admiral Wilfrid Woods.jpg|width=100]] || 윌프리드 우즈(Wilfrid Woods) || 1960년 7월 ~ 1963년 1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 [[파일:Charles Madden.jpg|width=100]] || 찰스 매든(Charles Madden) || 1963년 1월 ~ 1965년 7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부자가 해군대장을 역임. 아버지 찰스 매든은 [[유틀란트 해전/전력#s-2.1.1|유틀란트 해전]] 당시 [[대함대]] 참모장을 역임했으며 이후 대함대 부사령관 겸 제1전투전대장, 대서양함대 사령관을 거쳐 70대 [[해군참모총장#s-9|제1해군경]]을 지내고 해군[[원수(계급)|원수]]로 퇴역.] || || [[파일:John Frewen.jpg|width=100]] || 존 프루웬(John Frewen) || 1965년 7월 ~ 1967년 10월 || [[영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본국함대, version=74)] * [[나무위키:문서 삭제식 이동|문서 삭제식 이동]](본국함대 → 본토함대)